본문 바로가기

역류성 식도염 (Reflux esophagitis)

널스드림 발행일 : 2023-03-25
728x90
반응형

역류성 식도염 (Reflux esophagitis)

역류성 식도염 (Reflux esophagitis) 이란?

역류성 식도염(Reflux Esophagitis)은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의 내막을 손상시키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소화 과정 중 발생하는 위산은 식도와 위가 분리되어 있어 식도 내막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위의 유출이나 역류가 발생할 경우, 위산은 식도에 접촉하여 식도 내막을 손상시키고 염증을 일으킨다.

 

역류성 식도염은 상당히 흔한 질환으로, 일반적으로는 위식도역류병(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의 일부로 분류된다. 식도의 역류성 변화로 인해 역류성 식도염은 통증, 역류, 구토, 위산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일시적이거나 만성적일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식도 내막에 궤양이 생길 수도 있다.

역류성 식도염 원인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은 주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1. 위액의 역류: 위액은 위에서 만들어져 식도로 내려가는데, 이 때 역류가 발생하여 식도 내막을 자극합니다.
  2. 하부식도괄약근(LES)의 이상: 하부식도괄약근(LES)은 식도와 위를 연결하는 입구 부분의 근육입니다. 이 근육이 이상하게 작동하면 위액이 식도로 역류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3. 비만: 비만은 LES의 이상과 위액의 역류를 유발하는데, 이는 복부 내부압력이 증가하면서 발생합니다.
  4. 흡연: 담배는 LES의 이상을 유발하여 위액이 식도로 역류할 가능성을 높입니다.
  5. 음식물: 특히 지방이 많은 음식이나 카페인, 알코올, 탄산음료, 초콜릿 등은 역류성 식도염을 유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6. 임신: 임신 중에는 자궁이 크기 때문에 복부 내부압력이 증가하고 LES의 이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7. 기타: 스트레스, 소화기관 질환, 특히 위암 등의 질환도 역류성 식도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증상

역류성 식도염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속쓰림: 가슴 아래쪽에서 위로 올라오는 듯한 불쾌한 느낌입니다. 일반적으로 식사 후나 누워있는 동안 증상이 나타나며, 구토나 복부 팽만감과 함께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2. 역류: 입에 쓰린 맛이나 산 냄새의 위액이 입으로 올라올 수 있습니다.
  3. 통증: 가슴이나 복부에서 느껴지는 통증입니다. 속쓰림과 함께 나타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식사 후나 누워있는 동안 증상이 나타납니다.
  4. 인후통: 인후나 목에 불쾌한 느낌이 들거나, 미열과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5. 구토: 구토는 역류성 식도염의 심각한 증상 중 하나입니다. 위액이 입으로 올라오는 것은 물론, 식사 후 구토가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6. 역류성 기침: 식도의 역류로 인해 기관지가 자극되어 기침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일시적일 수도 있지만, 만성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이 심각한 경우에는 식도 내막에 궤양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출혈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적극적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역류성 식도염 진단

역류성 식도염의 진단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검사가 이루어집니다:

  1. 내시경검사: 식도 내막의 염증, 궤양, 식도암 등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내시경 검사를 할 때는 전신마취를 사용하고, 식도에 카메라를 삽입하여 정확한 진단을 수행합니다.
  2. 식도 적색염증표시검사 (MII-pH 검사): 식도 내부에 작은 센서를 삽입하여 위산과 식도의 운동을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역류성 식도염의 정도와 발생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3. 식도 내시경초음파검사: 식도와 주변 조직의 구조적인 문제와 염증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4. 혈액 검사: 혈액 내에 위산과 같은 화학물질의 양을 측정하고, 식도암 등 다른 질병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5. 바륨 검사 (Barium swallow test): 흰색 유동체인 바륨을 마시고 X선 검사를 통해 바륨의 흐름을 확인하여 식도 내부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들을 통해 역류성 식도염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 치료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 방법은 다양하며, 환자의 증상과 역류의 정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치료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생활 습관 개선: 역류를 유발하는 생활 습관을 개선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식사 시간을 규칙적으로 가지고, 식사 후 바로 누워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흡연과 과음은 피해야 합니다.
  2. 약물 치료: 위산을 줄여주는 PPI(Proton Pump Inhibitor)나 H2 차단제 등의 약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약물들은 위산 분비를 억제하여 역류를 예방하거나 완화시켜줍니다.
  3. 수술 치료: 만약 치료가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나 심각한 역류성 식도염인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역류를 유발하는 위의 부분을 감싸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4. 진료 참여: 식이요법, 체중 감량, 운동 등의 방법을 통해 역류성 식도염을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영양사나 식품과학 전문가와 같은 전문가의 진료 참여를 통해 적합한 식이요법 및 운동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은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증상이 있을 경우에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어떤 치료 방법이 가장 적절한지는 환자 개개인에 따라 다르므로, 전문의와 상의한 후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역류성 식도염 예방법

역류성 식도염을 예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건강한 식습관 유지: 역류를 유발하는 음식이나 음료는 피해야 합니다. 과도한 커피나 알코올, 탄산음료, 치즈, 초콜릿, 기름진 음식, 향신료 등은 역류를 유발할 수 있는 음식입니다. 대신, 채소, 과일, 고기류, 생선, 계란, 견과류 등 건강한 식습관을 유지해야 합니다.
  2. 적절한 체중 유지: 비만은 역류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운동: 꾸준한 유산소 운동을 통해 체중 감량을 도모하고, 위장관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4. 흡연, 음주 줄이기: 담배와 알코올은 역류를 유발하는 요인 중 하나이므로, 줄이거나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5. 식사 후 바로 눕지 않기: 식사 후 바로 눕거나 누워있으면 역류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식사 후에는 적어도 2시간은 눕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6.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역류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 중 하나이므로,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역류성 식도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예방 방법을 통해 역류성 식도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증상이 있거나 진단을 받은 경우에는 전문의와 상의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역류성 식도염에 좋은 음식

역류성 식도염에 도움이 되는 음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채소: 야채는 역류를 예방하는데 좋습니다. 특히, 녹색 채소나 국화류(브로콜리, 브로콜리 스프라우트 등)는 역류를 예방하는데 특히 효과적입니다.
  2. 과일: 사과, 바나나, 멜론 등은 역류를 예방하는데 좋은 과일입니다.
  3. 유제품: 저지방 우유, 치즈, 요구르트 등은 역류를 예방하는데 좋습니다. 다만, 과도한 섭취는 역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당한 양으로 섭취해야 합니다.
  4. 고기류: 낮은 지방 함량의 닭가슴살, 양고기, 소고기 등은 역류를 예방하는데 좋습니다.
  5. 생선: 지방 함량이 낮은 생선은 역류를 예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6. 견과류: 적당한 양의 아몬드, 호두, 땅콩, 캐슈넛 등은 역류를 예방하는데 좋습니다.
  7. 물: 적절한 수분 섭취는 역류를 예방하는데 중요합니다.

하지만, 역류성 식도염의 심각한 증상이 있거나, 음식별 반응이 다르기 때문에, 음식 섭취 전에는 전문의와 상의하여 적절한 식습관을 유지하고 식사를 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의학정보 > 소화기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상피화생 (Intestinal Metaplasia)  (0) 2023.03.26
게실염 (Diverticulitis)  (0) 2023.03.25
위경련 (Gastrospasm)  (0) 2023.03.25
혈변 (Hema feces)  (0) 2023.03.25
위염 (gastritis)  (0) 2023.03.2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