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조영술(CAG) & 스텐트 삽입술(PCI)
728x90
반응형
관상동맥조영술 및 스텐트삽입술
관상동맥조영술 (Coronary Angiography. CAG)
관상동맥조영술(심혈관 조영술)이란 협심증, 심근경색증을 포함한 허혈성 심장질환의 진단을 위한 검사 중의 하나로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을 촬영하여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힌 부분이 있는지 해부학적 구조를 관찰하는 진단검사입니다.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흔히 스텐트 삽입술이라고도 불리는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이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인 환자의 막힌 관상동맥의 협착 부위를 넓혀주는 시술법으로, 스텐트를 삽입하거나 풍선으로 확장 시키는 방법으로, 혈관 내벽에 있는 혈전 덩어리를 밖으로 뽑아내는 혈전 제거술을 병행하기도 합니다.
관상동맥 (Coronary Artery)
관상동맥이란, 전신에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쉬지 않고 움직이는 심장 역시 다른 조직과 마찬가지로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아야 기능할 수 있는데 관상동맥은 대동맥으로부터 뻗어 나와 심장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으며,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중요한 혈관입니다.
반응형
관상동맥조영술 시술 준비 및 간호
Check Point | 어느 부위 실시하고 몇 Fr로 시술 실시할 것인지 확인하고 심혈관센터에 전달하기 동의서 받기 |
시술 전 검사 | 심전도(EKG), 심장초음파(Echo) 혈액검사: Cardiac maker(CK-MB, Troponin I, NT-ProBNP, LDH) |
시술 전 약물 loading |
아스피린 플라빅스 클로피린 → 클로피린 약은 아스피린 & 플라빅스 복합제로 보통 시술 후 환자에게 처방되는 약물 ▶ 기존에 항혈전제 복용 중인 환자인지부터 확인할 것 ▶ 항혈전제 복용 중이지 않은 환자일 경우 당일: 아스피린 3T, 플라빅스 8T / 시술 전날: 아스피린 3T, 플라빅스 4T 처방 후 다음날부터 아스피린 1T, 플라빅스 1T |
특이사항 | 진단목적 상 CAG 실시할 경우 약물 loading 안 함 → 차트 반드시 확인하기 당뇨약 복용 중인 환자일 경우 → 시술 당일 하루 당뇨약 중단 조영제 유발 신독성(CIN) 있는 환자일 경우 → N/S 1L Hydration (시술 전, 시술 후, 다음날) 고혈압 & 고지혈증 복용 중인 환자는 기존 그대로 약 복용유지 할 것 |
PCI 후 검사 | 심전도(EKG), MI 검사 2종, Post PCI 심장초음파 BUN, Creatinine → 신장 수치 안 좋거나 조영제 많이 들어갈 경우 같이 검사 나갈 것 혈소판 약물 반응검사는 Case by Case |
퇴원 | 심전도(EKG), MI 검사 2종, Post PCI 심장초음파 검사 결과 및 환자 상태 및 지혈 확인 후 퇴원 항혈전제, 고지혈증, 고혈압 등 환자 Case에 따른 약 7일분 처방 & 외래예약 퇴원약: 클로피린(아스피린 & 클로피도그렐 복합제) |
에르고노빈 CAG |
에르고노빈 약물을 통해 혈관 경련 및 관상동맥 반응성 평가하기 위함 에르고노빈 → 관상동맥 경련 유발 물질 목적: 변이형 협심증 (Variant Aangina) 진단 |
주요 심장수치
검사명 | 내용 |
CK(CPK) Creatine Phospho Kinase 크레아틴 인산 활성 효소 |
- CK-MB (Myocardium Contains B Subunits): 주로 심장 근육에서 발견 - 출현시기: 심근 손상 후 3~4시간 후 - peak: 12~20시간 - 감소시기: 2~3일 후 - 정상수치: 0~5.8ng/ml |
Troponin | - 근골격계, 심장근육섬유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종류임 - 정상에서는 검출 없음 / STEMI에서 20배 증가함 STEMI 후 7~10일 동안 지속됨 → 심근경색 재발 시 CK-MB수치 같이 확인 - Troponin C, T, I 3종류가 있지만 심장 근육세포 손상 시 Troponin T와 I가 혈액속으로 방출됨 - 정상수치: 0~0.1ng/ml |
BNP (Brain Natriuretic Peptide) 뇌 나트륨 이뇨펩티드 |
- 혈관 확장과 나트륨의 소변 배설을 촉진하는 효소 - 심장 근육세포 내 pro-BNP 가 있는데 NT-Pro BNP와 BNP로 분리되어 혈액에서 순환 - 심실벽이 과도하게 확장 혹은 심실의 압력이 너무 커지면 분비가 증가함 - 특히 NT-Pro BNP의 경우 심장에 문제가 있을 경우 초기 혈액 검사 결과로 매우 유용 - NT-Pro BNP 정상수치: 0~285pg/mL |
PCI 시술 중 Dissection 발생하는 경우
ICU Prep | ICU Prep 하기 ICU로 가면 바로 EKG 찍고 혈압, 맥박, Chest pain 관찰하기 V/S 1시간마다 확인하고 O2 2~4L 이상 적용 |
오더 | Chest pain 호소할 경우 최대한 빨리 EKG 찍고 과장님 Call 할 것 Chest pain 심하면 모르핀 PRN으로 줄 것 Foley Insert 할 것 (ICU 특성상 Foley 고려) |
다음날 검사 (Post PCI) |
심전도(EKG), MI 검사 2종, Post PCI 심장초음파 조영제 많이 들어가거나 BUN, Creatinine 수치 안 좋은 환자 경우 BUN, Creatinine 검사도 같이 나갈 것 |
728x90
반응형
'임상노트 > 심장내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허혈성 심장질환 정의 및 심전도 변화 (0) | 2024.12.19 |
---|---|
[심혈관계] 신장 수치와 조영제의 연관성 (0) | 2024.08.16 |
[심혈관계] 항혈소판제 주요 기능과 부작용 (0) | 2024.08.14 |
[심혈관계] 심장 질환과 이뇨제 (0) | 2024.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