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허혈성 심장질환 정의 및 심전도 변화

널스드림 발행일 : 2024-12-19
728x90
반응형

허혈성 심장질환 정의 및 심전도 변화

허혈성 심장질환 임상적 정의

허혈성 심장질환은 심근 산소 공급과 수요의 불균형으로 심근 저산소증과 노페물의 축적이 나타나는 상황을 일컬으며, 대부분 관상동맥 경화가 원원인이라 할 수 있다.

협심증
(Angina pectoris)
· 심근 허혈로 인한 흉부와 주변 해부학적 구조에서의 불편한 감각
인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 육체적 활동과 감정적 흥분에 의해 유발되는 일과성 허혈의 만성형태로 몇 분간의 휴식으로 풀린다.
· 이 증상은 종종 ST 분절의 일시적 하강과 연관되지만 영구적인 심근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① ClassⅠ
· 걷기, 계단 오르기 등과 같은 일상생활에서 협심증이 유발되지 않으나 스트레스, 평상시보다 심한 활동에 의해 협심증이 유발되는 경우
② ClassⅡ
· 일상생활에서 약간 장애가 있는 경우
· 빠르게 걷거나 층계를 오를 때, 언덕을 올라갈 때, 식사 후나 추울 때나 감정적 스트레스 하에서 또는 깨어난 후 몇 시간 내에 걷거나 층계를 오를 때 흉통 발생, 정상 상태 및 정상 속도로 두 블록 넘게 걷거나 보통 층계를 한 층 넘게 오를 때 Chest pain 발생
③ ClassⅢ
· 뚜렷하게 일상생활에서 장애가 있는 경우
· 정상 속도 및 정상 상태에서 1~2블록 걷거나 층계를 한 층 올랐을 때 Chest pain 발생
④ ClassⅣ
· 흉부 불편감 없이 어떠한 신체 활동도 할 수 없음. 흉통 증상이 휴식 때에 있을 수도 있음.
이형성 협심증
(Variant angina)
· 심근 산소 요구량의 증가보다는 관상동맥의 연축(spasm)으로 인해 주로 휴식 중에 나타나는 협심적 불편감을 말함. 이 증상은 종종 ST 분절의 일시적 상승을 동반함.
· 젊고 운동과 관련이 없는 환자에서 주로 새벽에 발생하는 흉통일 경우 의심해야 한다. 전날 음주 후 잘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 심하지 않은 활동이나, 휴식 시에 협심증 증상들의 빈도와 기간이 증가되어 나타나는 형태. 치료받지 않으면 심근경색으로 진행되는 빈도가 높다.
무증상 허혈
(Silent ischemia)
· 심근 허혈의 무증상으로 즉, 증상은 없으나 심전도, TMT, MIBI 등 다른 검사 소견상 이상이 발견된 경우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 주로 혈액 공급의 지속적인 중단에 의해 나타나는 심근의 괴사로 대부분 관상동맥 경화성 협착 부위에서의 급성 혈전 형성에 의해 발생된다.
· 허혈성 심장질환의 첫 임상 증상일 수도 있고, 협심증 병력이 있을 수도 있다.
반응형

허혈성 심장질환의 심전도 변화

인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 안정적인 죽상경화 혈괴에 의해 관상동맥 협착이 초래되어 발생한다.
· 심전도 상으로 ST depression과 함께 T wave inversion이 나타나기도 하는대, 이 경우 심내막하 허혈을 나타낸다.
불안정형 협심증
(Unstable angina)
· 보통 혈괴가 터지고 혈전이 형성되면서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막히기 시작하거나, 기존에 있던 정체 현상이 심해진 경우 또는 일부의 경우 동맥이 10~20분 정도 완전히 폐쇄되었다가 자연적 혈전 용해가 부분적으로 나타난 경우 등이 원인이다.
· 심전도 상으로 협심증이 진행되는 동안 ST depression이 T wave inversion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고 나타나는데, 이는 심내막하 허혈 상태를 의미한다.
급성 심근경색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혈괴가 터져서 큰 덩어리의 혈전이 형성되고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폐쇄되어 발생한다. 폐쇄된 혈관으로 인해 심근의 허혈, 손상, 괴사가 초래된다. 초기에는 심전도 상 ST depression or elevation과 T wave가 변회되며, 몇 시간 후 Q wave의 변화가 보이는데, 이는 심근의 괴사를 의미한다.
· 관상동맥의 폐쇄 정도에 따라 심근은 허혈, 손상 그이로 경색의 단계로 진행된다. 이 중 허혈과 손상은 회복 가능한 단계이며, 심근경색은 조직괴사의 단계로 조직의 회복이 불가능한 단계이다.
· 심전도 상에 이에 따른 심근의 변화를 반영하고, 특정적인 변화를 보인다. 심근경색의 중심 부위는 괴사성 조직으로 경색 부위이며, 그 바로 다음 층이 손상 부위, 바깥층이 허혈성 부위이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