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부생리] 순환계 구조 및 기능(심장 / 동맥 / 정맥 / 림프계 / 심전도)

널스드림 발행일 : 2023-02-2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이번에 정리하고 다루어 볼 내용인 순환계는 개인적으로 공부한 내용 중에서 정말 어려웠던 파트였던 것으로 기억에 남습니다. 순환계의 기본 원리에 대해 먼저 이해를 먼저 해야지 순환계와 연관된 질환에 대해서 이해가 되고 그 질환에 따른 약물과 간호에 대해서 모두 연관되다 보니 암기보다도 이해가 먼저 되어야 하는 파트라고 생각이 되는 파트입니다. 이번에는 순환계의 구조와 기능을 큰 주제로 삼고 그 안에서 심장, 혈액의 순환경로, 동맥, 정맥, 특수 순환계, 림프계와 심전도 마지막으로 혈압에 대해서 핵심적으로 정해봤으니 함께 공부하고 도움 되시면 좋겠습니다.

 

 

심장

심장벽

내측부터 심내막 · 심근층 · 심외막으로 되어 있고, 심근은 횡문근이지만 불수의근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장에 출입하는 혈관

상 · 하대정맥, 관상정맥동→우심방→우심실→폐동맥→폐→폐정맥→좌심상→좌심실→대동맥

심장의 영양혈관

상행대동맥→좌 · 우 관상동맥→좌심실중격전부→우심실중격후부→관상정맥동

심장의 관

승모판 · 사첨판 · 대동맥판 · 폐동맥판

심장의 지배신경

교감신경이 운동을 촉진하고 부교감신경(미주신경)이 억제합니다.

출처: 핵심임상 간호매뉴얼

혈액의 순환경로

체순환(대순환)

좌심실로부터 산소화된 혈액을 전신에 운반하고 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돌아옵니다.

폐순환(소순환)

우심실로부터 이산화탄소가 풍부한 혈액을 로 보내고 가스교환을 받은 후에 좌심방으로 돌아와 다시 체순환으로 돌아갑니다.

동맥

동맥의 구조

내 · 중 · 외막으로 되어있고, 평활근세포를 포함하는 중막이 가장 두껍습니다.

동맥의 주행

동맥

정맥의 구조

동맥과 같은 3층으로 되어 있기는 하지만 벽은 얇습니다. 직경 1mm이상의 사지의 정맥에는 판이 존재하여 역류를 막습니다.

상대정맥

1) 두부 · 경부의 혈액: 내경 · 외경정맥→좌우쇄골하정맥→완두정맥→상대정맥

2) 뇌에서의 혈액: 경막정맥동→정맥동합류→회정맥동 · S상 정맥동→내경정맥→상대정맥

3) 상지의 정맥: 쇄골하정맥 · 상완정맥 · 피부정맥을 거쳐 상대정맥

4) 기정맥과 반기정맥: 흉복벽의 혈액을 상대정맥으로 보냄

하대정맥

1) 요정맥

2) 간장 · 부신 · 신장 · 정소 · 난소의 정맥

3) 대복재정맥→대퇴정맥 및 소복재정맥→슬와정맥

 

728x90
반응형

특수 순환계

1. 문맥계

복강 내 소화기관이나 비장으로부터의 혈액을 간장에 운반하는 정맥입니다. 영양분이 풍부한 혈액이 흐릅니다.

2. 태아순환 특징

1) 동맥관: 폐동맥→대동맥궁을 잇습니다. 

2) 난원공: 우심방→좌심방을 잇습니다. 

3) 정맥관: 간장→하대정맥을 잇습니다.

4) 제정맥: 태반에서 태아로 들어가는 정맥이니다.

3. 뇌의 혈액순환

내경동맥 · 추골동맥이 뇌저에서 만나 대뇌동맥륜을 형성한 후 뇌에 분포하고 경막정맥동에 흘러 들어갑니다.

4. 대뇌 동맥륜

좌우의 전대뇌동맥(내경동맥의 가지라고도 함)과 그것을 잇는 전교통동맥, 좌우의 중대뇌동맥, 좌우의 후교통동맥, 좌우의 후대동맥(뇌저동맥의 가지라고 함)이 형성하는 동맥륜으로, 내경동맥과 뇌저동맥의 연락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림프계

1. 림프관과 림프

모세혈관에서 혈장의 일부가 누출되어 간질액(조직액)이 되고, 그것을 모아 혈액에 되돌리는 맥관을 림프관이라고 부르며, 그 속을 흐르는 것이 림프(림프액)입니다. 림프관에는 다수의 판이 있어서 림프의 역류를 방지하고 있습니다.

2. 우림프본간

우상 반신에 분포하는 림프를 모아 오른쪽 정맥각에서 우쇄골하정맥으로 흘러 들어갑니다.

3. 흉관

좌상반신과 하반신에 분포하는 림프 및 장벽의 림프(유미)를 모아 왼쪽 정맥각에서 좌쇄골하정맥으로 흘러 들어간다.

 

자극전도계와 심전도

1. 자극전도계

Pacemaker = 동방결절→방실결절→히스다발→푸르킨예섬유

2. 자극전도계의 이상

1) 불완정 방실블록: 방실결절이나 히스다발에서의 자극전도성의 저하에 의한 심실 박동의 감소를 의미합니다.

2) 완전 방실블록: 방실간의 자극전도의 차단에 의한 심실박동의 감소를 의미합니다.

3) 심방조동 및 심방세동: 전도이상에 의한 심방의 잦은 연축을 의미합니다.

4) 기외수축: 심방과 심실의 규칙적인 보조에 여분의 흥분이 들어가 일어나는 박동의 보조의 혼란을 말합니다.

3. 심전도의 의미

1) P파: 심방의 흥분개시(심방세동에서는 미세 · 다수화)

2) QRS군: 심실의 흥분개시

3) T파: 심실흥분의 종료(심근장애에서는 평저 · 음성화)

출처: 핵심임상 간호매뉴얼

혈압

1. 정상 혈압

수축기 혈압(최고 혈압) 130mmHg 미만과 확장기 혈압(최저 혈압) 85mmHg 미만입니다.

2. 평균 혈압

맥압/3 + 확장기 혈압

맥압: 수축기 혈압 - 확장기 혈압

3. 수축기 혈압

수축기 혈압 = 혈액류량 x 혈관저항

4.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

신장의 사구체 부근의 수입세동맥의 혈압이 저하하면 방사구체 장치에서 레닌이 분비됩니다. 레닌은 안지오텐시노겐을 분해하여 안지오텐신1을 만들고, 다시 안지오텐신1은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에 의해 안지오탠신2가 됩니다. 안지오텐신2는 부신피질에서의 알도스테론 분비(신장에서의 Na+의 재흡수 증가)와 혈관의 수축을 야기하여서 혈압이 상승합니다.


참고문헌

핵심임상 간호매뉴얼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