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성간호학] 임산부의 생리적 변화 요약 및 정리 (간호사 국가고시)

널스드림 발행일 : 2023-03-19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여성간호학을 넘어 모든 여성과 가족 그리고 아이를 위해서 모든 분만 과정은 중요합니다. 그중에서도 임신을 하게 된 여성의 경우에는 많은 생리적 변화를 경험하게 될 텐데 간호학과 학생들의 지식을 넘어 임신 계획을 가진 분들이나 임신 중인 모든 여성과 가정을 위해서도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임산부는 임신 중에 어떤 생리적인 변화가 오고 경험하는지 쉽고 보기 편하게 정리했으니 국가고시를 대비하는 간호학과 학생들과 이 글을 읽게 될 모든 독자분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임신에 따른 생리적 변화

1. 생식계

(1) 자궁(Uterus)

ⓐ 혈관의 증가와 확대

ⓑ 탈락막 발달에 의한 증대

ⓒ 임신 초기: 자궁근 섬유의 증시에 대한 반응(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에 대한 반응) / 임신 말기: 자궁근 섬유의 비대

HOF(Height of Fundus. 자궁저부 높이): 임신 주수 측정 가능함 ()

임신 임신 주수 자궁의 모양 및 자궁저부의 위치
8주 자궁은 아직 복부에서 촉진되지 않으며, 서양배 모양을 유지함
12주 자궁이 골반강을 채울 정도로 커져 저부가 치골결합 위로 올라오고 이 때 자궁저부는 오른쪽으로 기울어짐
16주 자궁저부는 치골결합과 제와부 사이에 위치함
20주 제와부 아래 2횡지, 임신 주수와 자궁저부 높이가 거의 비슷함
24주 제와부 바로 위
29주 제와부 위 3횡지
36주 치골결합 위 30cm 높이로 최고 높이로 검상돌기 바로 아래까지 올라옴
40주 자궁저부 하강(초산부: 분만 2~4주 전 / 경산부: 분만 직전)

Point: 특히, 간호학과 학생이라면 국가고시를 대비하기 위하여 자궁저부 높이와 위치는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 자궁 수축

 · 수축과 이완이 교대로 오는 것이 특징

 · 자궁 내 압력: 20~75mmHg

 · Braxton-Hick's 수축(가진통. 불수의적 수축): 간헐적으로 일어나는 불규칙한 무통성 자궁 수축(산소 운반 목적) → 임신 1기부터 시작되나 12주 이후 강하게 나타납니다.

 · 혈액, 림프액의 자궁 공급 증가: 임신 말기에는 450~650mL를 유지합니다.

 

(2) 경부(Cervix)

① 모양: 초산부(pin- point), 경산부(transverse slit, 물고기 입모양)
② 임신 중 경관의 역할
- 자궁 내의 부속물이 자궁 밖으로 나가지 못하도록 함
- 질내 상주균과 물리적 침입 방지
- 분만 초기 약간의 혈액에 섞여 배출 -> 이슬 : 분만 전구 증상
- 분만 시 경부를 유연하게 만들어 개대, 소실 -> 태아만출 돕기

③ 임신 후 혈류 증가(vasoularity 1) - 매우 부드러워짐, 쉽게 출혈
* Goodells sign(굿델 징후) : 경부가 매우 부드러워짐(임신 6주)임신의 가정적 징후

 

(3) 질(Vagina)
① 혈류 증가와 혈액의 충혈로 자줏빛 색깔 (Chadwicks sign)
② 질 점막 비후, 근조직 비대 및 길이 증가, 결체조직의 유연성 증가
→ 분만 중 태아 만출 시 확장이 용이함
③ 임신동안 에스트로겐 영향으로 글리코겐 풍부, 유산 간균의 작용으로 산도 유지 (pH : 4.5~5.5 ~ 3.5~5,5)
→ 질내 병원균 증식 억제. 그러나 영양분(글리코겐)이 풍부하여 곰팡이 감염 증가

 

(4) 회음(Perineum)
① 혈류 증가  ② 회음근육의 비후 ③결체 조직의 유연성 증가

 

(5) 난소(Ovary), 난관
① 배란과 난포 성숙의 중지
임신 12주까지 황체 유지 :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테론 분비
③ 난소 정맥 화장


2. 유방

① 유방 팽만, 민감성, 따끔거림, 압통 증가
② 몽고메리선(1차 유료의 피지샘) 비대 → 유두 보호를 위한 윤활유 분비
③ 유방의 정맥 충혈(초임부에게서 더 심함)
① 천초유(18주) : 유두를 짜면 엷고 밝은 액체 분비


3. 심혈관계

(1) 심음 : 임부의 90%에서 수축기 잡음이 들리나 분만 후 사라짐
(2) 혈압 : 임신 4~5개월에 5~10mmHg으로 가장 낮았다가 5개월 이후 초기 상태 회복
(3) 혈액
임신 32주에 50%(1,500ml) 증가 → 이후엔 약간 감소(분만 시 출혈 대비)
① 적혈구 : 가성빈혈(혈장의 증가 정도에 비하여 적혈구의 증가된 양이 적으므로 혈색소, 적혈구 농도, 헤마토크릿이 감소하여 나타나는 빈혈)
② 백혈구 : 분만, 산욕기 초기에 약간 증가
③ 응고요인 증가 : 피브리노겐(FIbrinogen) 증가
(정상 : 200mg/100ml- 임신 후 : 450mg/100ml)
④ 심박출량 : 임신 32주에 혈액량, 심박출량 모두 최고조 → 심장병 임부는 32주와 분만 직후가 매우 위험
⑤ 콜레스테롤 : 혈청 내 지질 증가


4. 호흡계

태아의 성장, 자궁, 유방, 심맥관계 등에서 산소 요구량의 증가로 인해 호흡기계가 변화합니다.

(1) 횡격막 : 위치상승 → 호흡곤란 유발(커진 자궁이 폐와 횡격막을 압박하기 때문)
(2) 흉곽 : 5~7cm 정도 늘어남(: 에스트로겐에 의한 곽인대 이완), 임신 6개월 후 자궁 증대로 인한 복식 호흡
(3) 임신 중 호흡흡기계 변화

호흡수 1회 호흡량 폐활량 흡기량 환기량 총 환기량 산소 소모량
변화없거나 약간 증가 30~40% 변화 없음 증가 감소 변화 없거나 야간 증가 15~20%

5) 비뇨계

(1) 방광 및 요관
① 빈뇨 (커진 자궁의 압박)
② 방광 긴장도 감소 및 방광 용적 증가
⑨ 요관 : 평활근 이완으로 요관이 붓고 늘어남(수뇨증, 요정체)


(2) 신기능
① 신장 혈류 증가, GFR(사구체 여과율) 증가, 세뇨관 재흡수율 감소

② 당뇨(glycosuria) : 경미한 정도는 정상으로 간주
③ 단백(proteinuria) : 양성-PTH(임신성 고혈압), 자간전증(preeclampsia) 의심
④ 좌측위 : 앙와위 시 자궁이 하대정맥을 눌러 신장 혈액 순환 방해 -> 좌측위
⑤ 생리적 부종 : 발목, 손가락 등 인체의 수분 축적 → 임신말기의 정상적 현상


 

6) 소화계

① 임신 초기 융모성선자극호르몬의 영향으로 오심, 구토 발생(입덧, morning sickness)
- 임신오조(hyperemesis sickness) : 입덧 심하고 임신 13주 이후에도 지속되는 경우
② 에스트로겐 증가: 염산 분비 감소하여 치육염, 결석
⑨ 프로게스테론: 평활근 이완
• 식도괄약근 이완 → 위내용물 역류 → 가슴앓이
• 장운동 감소 → 잔류시간 지연 → 소화불량, 변비
④ 이식증(pica) : 이상한 맛에 대한 욕구, 음식이 아닌 것에 대한 강박적인 섭취)


7) 신경계

(1) 요통, 하지 통증 : 자궁 증대로 골반신경, 혈관이 압박되어 다리의 감각 변화 유발
(2) 상지 통증
① 구부정한 자세 - 상완총이 잡아당겨져 손이 쑤심
수근관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 말초신경 부종이 정중신경(median nerve)의 부종과 압박으로 이어져 손에 지 각 이상과 통증이 나타남
- 증상 : 손가락이 얼얼함, 무감각 → 출산 후 소실
(3) 긴장성 두통 : 심리적 스트레스로 불안, 긴장, 두통 발생


8) 피부계

(1) 피부 두꺼워지고 피하지방 증가
(2) 색소침착 : 임신중앙선(Linea nigra, 흑선), 기미(chloasma), 유륜, 유두, 외음부의 검은색 착색 → 분만 후 소실
(3) 임신선(Stiae gravidarum) : 부신피질 호르몬의 영향으로 임신 후반기에 복부, 유 방, 허벅지에 붉은색으로 나타나는 선으로 반영구적으로 남음
(4) 거미상 혈관종(vascular spiders): estrogen 영향으로 목, 가슴, 얼굴, 팔의 모세관 확장증

(5) 땀샘, 지방샘의 활동 활발


9) 근골결계

(1) 잇몸(gums) 비대와 과출혈 : 에스트로젠의 영향, 출혈과다
(2) 골반관절의 과다이동
릴락신(Relaxin) 분비로 연골관절(치골결합, 천장관절, 천미관절 등) 이완시킴
② waddling gait(양반 걸음, 두 발을 벌려서 걸음 -> 어그적거림)
(3) 척추 전만(Dorsolumbar lordosis) : 심한 요통, 걷기 힘듦
(4) 복직근 이개 : 자궁 증대로 복직근이 복부의 중앙선에서 분리되어 양옆으로 밀려나는 현상 → 산후 원상복구


10) 내분비계

(1) 뇌하수체
① 임신 동안 약간 커지며 성선 자극 호르몬(FSH, LH) 분비 억제됨
② 옥시토신 분비 증가, 성장호르몬 증가, 프로락틴 증가
(2) 갑상샘 : 갑상샘의 중등도 비대. 기초 대사율 증가
(3) 부갑상샘 : Ca, Vit. D 요구 증가 -, 약간의 부갑상샘 기능항진
(4) 부신 : 알도스테론, 코티졸 분비 증가
(5) 췌장 : 인슐린(Insulin)
- 임신 초기(거의 변화 없음)
- 임신 중/후기(분비 증가, 증가하지 않으면 임신성 당뇨 유발)
(6) 태반 호르몬 분비


11) 대사

(1) 체중증가 : 총 증가량(9~12kg이 바람직), 대아 체중증가는 9~10개월에 현저함
(2) 수분대사 : 나트륨, 칼륨의 농도 저하, 수분 축척
③) 단백질 대사 : 태아 발육, 태아부속물 구성 모체의 신체 변화
(4) 탄수화물 대사

임신성 당뇨(DM) 가능성: 태반 호르몬(태반 락토겐,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코티졸)은 인슐린 작용을 저하시킴

(5) 지방대사

ⓐ 신체 중앙 부위 지방 축적 증가 → 고지혈증

ⓑ 모체의 기아상태 → 케톤체 / 케톤뇨 증가함

반응형
728x90

임신 징후와 증상

임신의 주관적 객관적 증상과 징후는 대상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경험하며 추정적 / 가정적/ 확정적 징후로 분류합니다. 특히 임신 계획 중인 여성이나 임신 중인 여성에게 매우 중요한 내용임을 넘어 국가고시를 대비하는 간호학과 학생이라면 여성간호학 내용 중에서 반드시 출제되는 항목이자 내용이므로 도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임신의 징후()

추정적 징후 가정적 징후 확정적 징후
주로 임부에 의해 느껴지는 신
체적 변화: 비임신 시에도 발생가능
무월경(4주)
입덧(4주, 오심과 구토)
- 빈뇨(6~12주)
- 유방 팽만, 민감성 증가(6~8주)
첫 태동(Quickening, 16-18주)
: 모아애착증진
좀 더 객관적이지만 확증어려움
- 복부 증대
- 자궁크기, 모양, 경도의 변화
- 복부 촉진에 의한 태아 윤곽 확인
부구감(ballottement)에 의한 태
아 확인(16~20주)
Mcdonald's sign : 자궁저부가
경부 쪽으로 휘어지기 쉬움
Hegar's sign(6주) : 자궁 협부의
연화
Goodell's sign(6~8주) : 자궁 경
부의 연화
Chadsick's sign(8주) : 질벽과
질 전정의 자청색
- Braxton Hick's contraction(16~18주) : 무통의 간헐적인 자궁 수축
※ 임신선 등의 피부 착색(추정적
징후로 간주하기도 함)
태아 심음 청취
(Doppler : 10~12주, 청진기 : 17~18주)
의료인에 의한 태아 움 직임 확인(20주 이후)
- 초음파 및 방사선 촬영에 의한 태아 확인(6주 이후부터 가능)

임신 주수에 따른 신체적 변화 ()

임신 1기
(수정~임신 14주)
임신 2기
(임신 14~28주)
임신 3기
(임신 18~분만)
- 자각, 무월경, 오심/구 토, 빈뇨, 유방의 민감성
- 유방팽만, 색소 침착, 몽 고메리선
- Chadwick's sign
- Goodell's sign
- 기초체온 상승
(: 프로게스테론)
- 임신 반응 검사(+)
- 무월경, 오심/구토 사라짐
- 첫 태동(16~18주)
- 자궁증대
- 전초유 분비(16주)
- Braxton - Hick's contraction
-태아심음 청취 : 귀대어도 들림
- 부구감
- 피부의 색소 침착
: 임신 중앙선, 기미, 임신선
- 2기 증상 + 압박감
- 순환장애, 하지부종
- 호흡수 과다
- 하강감(ightening)
:HOF 8개월(34주)수준
하강  하강  하강 
- 태아 쉽게 촉진 가능
: 머리, 등 구분

입덧 완화 간호

- 입덧 유발 음식 섭취 피함
- 적은 양의 식사를 자주한다.
- 철분 제제가 포함된 약을 복용한다.
- 아침에 일어나기 전에 말린 식품, 고단백 스낵 등을 섭취한다.
- 자극적인 음식이나 지방 함량이 높은 식품은 피한다.

특히, 입덧 증상이 나타날 때 소량씩 자주 음식을 제공해주는 것이 입덧 간호의 핵심입니다.


3. 분만 예정일()

분만 예정일에 대한 계산법은 국가고시 여성간호학 과목에서 매년 출제되는 내용이니 계산법은 꼭 기억하셔야 합니다. 특히 네겔레 법칙을 주로 출제하오니 간호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알기 쉽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네겔레 법칙

분만예정일 = 마지막 월경일 + 7일 - 3개월 + 1년

예시1.
마지막 월경 시작일
이 2022년 1월 11일

여기서  +9개월 +7일
분만 예정일은 2022년 10월 18일

예시2.

마지막 월경 시작일이 2019년 9월 20일
여기서 +1년 -3개월 +7일
분만 예정일은 2020년 6월 27일

참고문헌

핵심임상간호 메뉴얼

Sharon Murray 외. 2021. 여성건강간호학 1,2. 학지사메디컬.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