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간호학] 호르몬 및 생식작용 (프로게스테론 / 에스트로겐 / 난포자극호르몬 / 황체형성호르몬)
난소 주기와 난소 호르몬
호르몬의 종류는 난포 호르몬(에스트로겐), 황체 호르몬(프로게스테론), 릴락신(Relaxin)이 있다.
난소주기
· 난소 내에 있던 원시난포가 성장난포, 성숙난포, 배란, 황체, 백체 과정을 거쳐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일어나는 과정
원시난포(여아 출생 시 각 난소에 40~50만 개가 존재) → 성장난포(난포상피가 증식하여 과립막 형성) → 성숙난포(그리피안 난포: 난포가 커짐에 따라 난포액이 형성되기 시작) → 배란(난포액의 팽창으로 인한 내압과 난포막의 괴사변성으로 난자를 복강 내로 배출) → 황체(난포액과 난자의 배출로 쭈글쭈글해지며 밝은 황색을 띰) → 백체
① 난포기
· 원시난포가 성숙하여 배란하기 전까지
· 에스트로겐의 양이 점차 증가하는 시기
② 배란기
· 배란기에 황체형성호르몬(LH)과 난포자극호르몬(FSH)의 분비가 급상승하는 시기
· 배란기에 월경 14일 후 좌우 난소에서 번갈아 난자 방출
③ 황체기
· 배란 후 바로 시작하여 프로게스테론이 분비하는 시기로 월경 시작과 더불어 끝남.
뇌하수체 성선자극 호르몬
난포자극 호르몬 (FSH) |
·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 난소에 있는 원시난포의 성숙을 유도하고 성숙난포로 성장함 · 난포세포 자극하여 에스트로겐 분비 자극 |
황체형성 호르몬 (LH) |
·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 · 에스트로겐의 자극에 의해 분비됨 · 난포성숙의 마지막 완숙과정과 배란을 유도하고 배란 후 황체형성 유발 · 황체에서의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분비 촉진 |
난소 호르몬 (에스트로겐 / 프로게스테론 / 릴락신)
호르몬 | 기능 |
에스트로겐 (estrogen) |
자궁 - 자궁내막 비후 - 자궁근육 증대(hypertrophy),혈액 공급 증대 - 경관 점액 분비와 pH 증가시킴 → 점도가 묽어짐, 견사성 증가, 양치엽 상의 결정체 형성 난관 - 혈관 풍부, 조직 비대, 근육 수축력 증가시켜 연동작용 일어나도록 함 유방 - 유선 자극하여 유선엽 폐포(obule alveolar) 발달시킴 내분비계 - FSH(follicle stimulating hormone, 난포자극 호르몬) 분비 억제 - LH(uteinizing hormone, 황체 호르몬) 자극 전신 작용 - 뼈의 성장촉진(부족 시 : 골다공증, 칼슘혈증) - 혈액 내 단백질 양 증가시키고, 응고인자(혈전색전증 유발 가능), 섬유소 원 등을 증가시킴 - 혈관의 체액 증가시켜 혈액을 희석 - 피부의 안드로겐의 길항작용으로 지방샘 퇴행, 표피층 얇아지고 피하지방 침착 |
프로게스테론 (progesterone) |
자궁 - 자궁내막유지 : 수정란 착상, 임신 유지 - 자궁의 운동성 억제 자궁근 이완 초래(:' 뇌하수체 호르몬인 옥시토신 (oxytocin) 분비 억제) - 자궁경관 : 점액의 점성도 증가, 양 감소, 견사성 감소, 백혈구가 많아짐 - 정자가 통과하기 어려움 유방 - 포도상선과 젖샘소엽의 발달 체온 체온을 상승시킴(기초 체온을 이용하여 배란시기 측정) |
릴락신 (relaxin) |
- 자궁경관을 부드럽고 유연하게 해줌 - 조산을 예방함 |
자궁내막 주기와 월경
자궁내막의 내분비 현상을 난소 주기의 연속으로 볼 때 증식기, 분비기, 월경전기, 월경기 4단계로 구분된다.
증식기 | - 월경 5일~15일까지 약 10일 정도 지속됨 - 난소의 난포 성장 활발 → 에스트로겐 분비 증가 - 월경기 끝나고 배란기까지 기능층이 빠르게 성장 - 혈관 분포, 내막의 선 증가 |
분비기 | - 배란~월경 3일 전까지 - 자궁내막 유지 → 두깨 6mm (프로게스테론) - 혈관이 많이 분포하고 수분과 글리코겐이 풍부함 → 수정란 착상 시, 이상적인 영양분 제공 - 선과 혈관이 꼬불꼬불 해짐 → 자궁 내막의 두깨에 비해 소동맥의 빠른 성장 |
월경전기 | - 월경 시작 2~3일 전 - 자궁내막에서 황체가 퇴화하는 징후가 나타나기 시작함 - 황체 퇴행으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텐론의 분비는 감소 - 분비선과 소동맥관의 위축 → 기능층의 빈혈 상태 초래 → 기능층 박리 |
월경기 | - 월경 주기 첫 5일. 출혈은 동맥 뿐 아니라 정맥에서도 일어남 - 시작: 나선동맥 파열 / 끝: 나선동맥의 수축 시 - 기능층이 분해되고 탈락된 조직들이 혈액과 함께 배출되고 기저층만 남음 |
생식기와 관련된 유방
두 번째와 여섯 번째 늑골 사이에 위치하여 젖샘이라고 한다.
구조
① 피부: 젖샘의 주위로부터 젖무리까지 펼쳐진 부분
② 유두(mipple): 예민한 발기성 조직으로 15~20개의 젖샘관이 개구 되어 있음
③ 유류니 유두주 주위를 둘러싸고 있고 피지선인 몽고메리선으로 인해 거침
*몽고메리선: 증대된 지방샘으로 젖무리 사방에 흩어져 있으며 임신 중에 현저하게 변하는 것이 특징
유즙 분비와 호르몬
① 젖샘 발육: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인슐린, 코티솔, T3, T4, 프로락틴, 성장호르몬(GSH), 테반락토겐
② 유즙생성: 프로락틴(분만 후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감소에 의해 분비 촉진)
③ 유즙 배출: 옥시토신
· 몽고메리선: 지방샘 → 유두 윤활 (비누로 씻지 말고 물로만 닦도록 함)
· 선방세포: 유즙 생성
· 프로락틴: 젖샘 발육, 유즙 생성
· 옥시토신: 유즙 사출
참고문헌
Sharon Murray 외. 2021. 여성건강간호학 1,2. 학지사메디컬.
'Nurse > 여성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간호학] 임산부의 생리적 변화 요약 및 정리 (간호사 국가고시) (0) | 2023.03.19 |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