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국가고시]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질환 총정리 (+요약본 파일)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간호사 국가고시 과목 중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파트를 준비했습니다. 성인간호학은 내용과 범위가 광범위하지만 시험에 나올 내용들만 나오고 핵심적인 내용 위주로 외우고 공부하시면 오히려 쉬운 과목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기 위하여 그런 핵심 내용들을 널스드림이 준비했습니다.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요약본을 PDF 파일로 받아 공부하시기를 원하신다면 언제든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면 되겠습니다.
관절장애
골관절염 | 류마티스관절염 | 통풍 | |
공통간호: 체중 감소(다이어트) | |||
원인 | 관절연골의 퇴행 | 활액막 염증 / 여성 자주 호발 | 활액막 |
증상 및 징후 | 편측성 / 비대칭적 한 자세로 오래 있음 → 강직 헤베르덴 결절 / 부샤르 결절 |
양측성 / 대칭적 아침 강직이 특징 Swan neck 징후 |
요석 |
치료 | 초기: 아세트아미노펜, NSAIDs 관절강 내 스테로이드, 히일루론산 |
NSAIDs 항류마티스제(메토트렉세이트, 설파라진)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인데랄 |
콜히친(요산 축적 감소) 프로베네시드(요산 배설 촉진) 알로퓨리놀(요산 생성 억제) 아스피린 금기 |
간호 | 수영 및 쪼그려 앉기는 금기 마사지, 통증 시 휴식 식이: 단백질, 비타민C 권장 열/냉요법 (냉요법은 급성기) |
급성기: 안정, 수동관절운동 만성기: 일상생활 유지 아침 강직: 더운 물 목욕 |
금기 음식: 내장류, 육즙, 정어리, 아스파라거스 권장 음식: 우유, 달걀 치즈 |
뼈 장애
골다공증(osteoporosis)
치료 | · 에스트로겐, 칼슘, 비타민D 보충 필요, 비스포스포네이트, 칼시토닌 등 |
간호 | · 칼슘 섭취(우유, 유제품, 푸른잎 채소), 체중부하운동(빠르게 걷고 낮은 강도) · 금기: 카페인, 수중운동(수영), 탄산음료, 단백질 제한 · 핵심: 단백질은 제한 / 칼슘 섭취 증가 |
골연화증(osteomalacosis)
증상 | · 혈청 내 칼슘 및 인 감소, 부갑상샘호르몬 증가 |
치료 및 간호 | · 칼슘제제, 비타민D 섭취 증가 · 인공 일광요법, 태양광선(자외선) · 단단한 침요, 코르셋 적용 |
골수염
간호 | · 통중 시 침상안정, 진통제 투여 |
728x90
반응형
근육 & 지지구조 및 척추장애
염좌
증상 | · 염좌: 인대가 늘어난 것 / 좌상: 건이 과신전 혹은 근육이 심하게 긴장될 때 나타남 |
치료 및 간호 | · PRICE 적용(P(protection): 보호R(rest): 휴식I(ice): 냉요법C(compression): 압박 E(elevation): 거상) · 휴식, 24~48시간 냉요법, 탄력붕대, 거상 |
강직성 척추염
증상 | · HLA-B27(+), ESR 증가, X-ray 상 대나무 모양의 척추 |
치료 및 간호 | · 냉요법, 온요법, 흔들의자 사용, 척추골 들어올리기 |
요통
원인 | · 디스크 퇴행, 고령 호발, 부위: L4~5, L5~S1 / 영향요인: 스트레스, 비만, 자세 문제 |
치료 및 간호 | · 근력강화운동(윌리엄 운동), 등척성 운동, 서 있을 때 발판 다리 한쪽 올리기, 누울 땐 윌리엄 자세 · 너무 낮은 베개사용 금지, 허리벨트 장기간 사용 금지, 급성기에는 마사지 금기 · 수술 후 체위변경 시 통나무 굴리기법 |
손 및 발 장애
수근관 증후군
증상 | · 특징 증상: 팔렌 징후, 티넬 징후 |
치료 및 간호 | · 수술 후 간호: 24시간 환측 거상, 2~3주 간 부목대고 부동 유지, 염증 시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 |
관절 대치술
고관절 대치술
치료 및 간호 | · 금기: 내전 금기(다리 사이 베개 두기), 90도 이상 고관절 굴곡 금기, 낮은 의자, 측위 · 외전 상태 유지, 가벼운 산책 가능 · 고관절 대치술 후 탈구시? 급격한 통증과 다리가 짧아지는 증상 나타남 |
골절
석고붕대
방법 | · 스톡키네트는 길게(끝 부분은 모두 감싸도록)하고 주름 없이 편평하게 함, 뼈 돌출 부위는 스펀지 대주기 · 24~72시간 건조시ㅣ기, 얼음주머니 간헐적 적용(이유: 부종 경감) |
치료 및 간호 | · 발가락 부위 노출시켜 감각, 운동정도, 순환 측정 · 소양감 간호: 반대 부위 얼음 적용 / 금기: 긁기, 녹말가루 · 계단 오를 때: 건강한 다리→목발→환측 다리 / 계단 내려갈 때: 목발→건강한 다리 · 부작용: 구획증후군(5P): 통증, 창백, 맥박소실, 무감각, 움직임 감소 → 치료: 석고붕대 제거 · 석고붕대증후군: 복부 팽만감, 오심, 구토, 복통 |
견인장치
골격견인
할로견인 | · 두개내압 상승, 뇌 산소 공급 부족 증상 관찰 필요 |
현수견인 | · 서혜부, 장골부 압박 관찰 / 견인부위 체위변경 금기 / 발 뒤꿈치 침요 닿지 않게 함 |
피부견인
러셀겨인 | · 골반부/대퇴부 골절치료, 무릎 골반부의 기형을 교정하기 위함 |
현수견인 | · 적용 부위: 무릎, 둔부, 대퇴부 / 8시간마다 풀고 다시 감도록 함 |
절단 환자
치료 및 간호 | · 드레싱 및 탄력붕대 적용, 알맞은 양말 신기, 절단 부위 아무 것도 바르지 않도록 함 ·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운동을 시작하여 경축 예방(1~2일부터 보행 시작) · 24~48시간 동안 절단 부위 밑에 배게 적용 → 경축예방 / 이후 거상은 금기 · 규칙적으로 내전 시킴(외전 금기) → 고관절치환술과 반대 · 구축 예방 위해 하루 3~4회 복위로 휴식 취하기 · 최소 하루 3번 정도 능동적/수동적 관절운동 실시 · 환상통: 제거된 부위 보도록 함, 전환요법, 마사지 |
728x90
반응형
'Nurse > 간호사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사 국가고시] 성인간호학 호흡기계 질환 총정리 (+요약본 파일) (258) | 2023.03.27 |
---|---|
[간호사 국가고시] 성인간호학 심혈관계/혈액장애 총정리 (+요약본 파일) (322) | 2023.03.27 |
[간호사 국가고시] 간호관리학 우리나라 간호역사 총정리 및 요약본 (10) | 2023.03.23 |
[간호사 국가고시] 간호관리학 세계 간호(ICN / WHO / 국제적십자사) 요점정리 (7) | 2023.03.22 |
[간호사 국가고시] 간호관리학 간호역사(근대 시대) 요점정리 (6) | 2023.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