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국가고시] 성인간호학 심혈관계/혈액장애 총정리 (+요약본 파일)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파트에 이어서 심혈관계와 혈액장애를 준비했습니다. 심혈관계 파트는 내용이 워낙 방대하여 특별히 많은 내용을 담는 것보다 주요 핵심 증상 및 간호 위주로 정리하고 공부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심혈관계 파트는 심전도 그림을 보여주고 어떤 질환의 심전도이며 어떤 약물을 투여해야 효과가 있는지 반드시 구분해야 국가고시와 학기고사에 대비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혈액장애도 주요 특징과 간호 위주로 준비했으니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요약본을 아래에 준비했으니 출력 및 태블릿으로 공부하기를 원하신다면 언제든지 아래 댓글로 남겨주시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심도관술
· 관상동맥조영술과 병행
· Pre: 6h NPO, 금기(심각한부정맥, 급성심근경색, 울혈성심부전)
· Post: 맥박 사정, 12~14h 완전침상안정, 수액 (조영제배출), 카테터 부위 모래주머니 적용
· 간호: 6시간 동안 시술한 다리 구부리지 않기, 측부순환 관찰
정상범위
· 맥압(30~40mmHg), 중심정맥압(5~10cmH20. 1~7mmHg)
· 폐동맥쐐기압(25mmHg시 폐수종/Swan-Ganz카테터로 측정)
· 1회분 출혈액량(70ml), 경정맥압(4cmH2O 이하), 심박출량(45~65%), 콜레스테롤(LDL 100 이하/HDL 60 이상)
Lasix 부작용
· 저칼륨혈증 (간호: 주스나 바나나 섭취로 보충)
· 노인에게 탈수, 혈전증, 색전증 발생 위험
· 술, 수면제와 함께 복용 시 체위성 저혈압 위험
주요 심장 약물
· 니트로프루시드: 혈관확장제 - 급성폐수종
· ACE억제제(캡토프릴): 동맥확장제 - 후부하감소
· 리도카인: 부정맥
· 디기탈리스(디곡신): 심근수축력 강화
심장조직 관류장애
1. 울혈성 심부전
증상 및 특징 | · 악화: 스트레스, 감염, 빈혈, 갑상선기능항진증 · 야간 발작성 호흡곤란 → 폐울혈로 인한 폐수종, 기관지경련 · 합병증: 폐수종(분홍색 거품있는 객담) |
간호 | · 식이: 저염식이, 수분제한, 고단백, 고열량 · 반좌위/좌위, 농도 산소, 윤번지지대, 잦은 체위변경(피부손상예방) · 모르핀(불안 호소 시) |
치료 | · 강심제(디기탈리스: 디곡신) / 간호: 투여 전 심첨맥박 확인, 저칼륨혈증 관찰 · 이뇨제(Lasix) · 정맥확장제(Nitrate) · ACE 억제제(캡토프릴): 후부하감소(구갈, 마른기침 부작용 관찰 필요) |
2. 폐수종
증상 및 특징 | · 진단검사: 폐모세혈관쐐기압 25mmHg 이상 · 붉은 거품있는 객담, 청색증, 불안감 |
간호 | · 좌위, 다리와 발을 침대 아래로 내린 자세 취함 |
치료 | · 양압호흡, 인공호흡기, 기관지 삽관 |
3. 관상동맥질환
진단검사: CPK, CK-MB, AST(SGOT), LDH, 미오글로빈(첫혈청지표), 트로포닌T
(1) 협심증
안정형 | · 2-3분 통증, ST분절 하강 |
불안정형 | · 휴식 시나 작업 시 15분 이상 흉통, NTG 효과 있음, ST분절하강, T파역전 |
이형성 | · 흡연이 원인 / ST 분절 상승 · 간호: 따뜻한 방에서 수면, 통증 시 NTG(건조 서늘한 곳 보관), 소량씩 자주 식사 · 치료: NTG, 프로프라놀롤(베타교감신경차단제: 심근수축력 감소) |
(2) 심근경색
증상 및 특징 | · 30분 이상 통증 · 심전도 특징: T파 역전, ST분절 상승, 깊은 Q파 → 비가역적손상 |
간호 | · 좌위, 산소 및 습도 유지, 담요(사지냉감 감소) · 급성기에 고섬유식이 금기 · 합병증: 심실세동으로 인하여 사망 초래 |
치료 | · NTG, 모르핀(심근 산소요구량 감소) → 정맥 투여 / 근육주사는 CK수치 상승시킴 |
4. 부정맥
심방조동 | · 심방의 하나의 세포가 흥분함 |
심방세동 | · 심장의 여러 세포가 흥분함 / 노인 흔함 · 폐색전증 위험 가능성 → 혈전색전증 예방: 헤파린, 와파린 · 원인: 류마티스 질환, 관상동맥질환, 고혈압, 승모판 질환, 갑상샘기능항진증 · 치료: 제세동 |
3도 방실블록 | · 심방과 심실이 따로 노는 것 · 아담 스토크스 징후: 뇌혈류량 감소하여 실신 가능성 있음 |
BBB (각블록) | · 심실이 따로 노는 것 · 심전도 특징: QRS군이 넓어지고(0.12초 이상 지연) 독특한 모양 |
심실조기수축 | · 원인: 흡연, 음주, 카페인 과량 섭취 · 심전도 특징: P파 없음, QRS군 넓어지고 변형됨(0.12초 이상), 보상 유지기가 2배 / 60~100회 · 위기: 연속 3번 혹은 분당 5번 이상 발생 시 심실세동으로 발전 · 치료: 리도카인(심실세동 방지) |
심실빈맥 | · P파 없어지고 QRS군 넓어짐 / 150~250회 · 3회 이상 나타날 시 심실세동 가능성 있음 |
5. 치료
(1) 개심술
합병증: 출혈, 쇼크, 심장압전, 지남력 상실, 환청, 폐색전증 등
(2) 심장리듬전환술
목적: 만성 부정맥 제거 위함
적응증: QRS군 존재하는 심방세동, 심장조동, 발작성 심방성 빈맥
금기: 디기탈리스제제 복용하고 있는 환자(심실 부정맥 유발) → 2일 동안 약 끊기
(3) 인공심박동기
적응증: 2도 블록, 3도 블록
시술 전 간호: 24시간 삽입 부위 움직임 제한, 48시간 후 아스피린/헤파린, 6주간 무거운 물건 들지 않기, 매일 1회 요골동맥 측정, MRI 촬영 금기, 전자레인지 사용 가능
심폐소생술(CPR): 4분 이내로 분당 100회 이상의 속도로 압박
6. 판막성 염증성 심장질환
특징: 판막 이상 시 호흡부전 따름 / 승모판 협착 치료: 항생제(류마티스열 재발 예방 위함)
(1) 숭모판막 폐쇄부전증
원인: 류마티스열 → 항생제 투여
(2) 대동맥판막 폐쇄부전증
원인: 류마티스열
합병증: 좌심실 비대, 폐울혈, 뇌혈류 감소
치료: 강심제, 염분 제한, 이뇨제, 혈관확장제
(3) 대동맥판막 협착증
특징: 후부하 증가
합병증: 폐수종, 기좌호흡, 심장비대, 피로감
(4) 세균성 심내막염
아급성 시 원인: 연쇄상구균
급성 시 원인: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구균, 진균
증상: 발열, 빈맥, 비장비대, 고상지두, 점상출혈, 관절염, 심장잡음
치료: 항생제, 침사안정, 수분섭취, 아스피린, 통증 시 모르핀
합병증: 판막 손상, 색전증(반신불수, 비장비대, 혈뇨, 옆구리 동통, 압통, 시력장애, 객혈, 기침, 늑막 통증 등)
(5) 판막치환술
조직 판막: 응괴 형성 위험 감소, 수명 10년 감소
인공 판막: 영구적, 출혈 위험, 임신 계획 시 금기, 출혈장애 대상자는 금기
수술 후 간호: 6주 후 일상생활 가능, 6개월 간 CT/MRI/치과 치료 금기, 비타민K 풍부한 음식 제한
말초조직 관류장애
고혈압
1차 예방: 생활습관 개선(동물성 지방 제한, 우유 제한, 스트레스 조절 및 관리, 식물성 기름 음식 권장)
2차 예방: 약물(티아지드계 이뇨제 → 니트로프루시드 정맥 투여) / 매일 아침 동일한 시간에 칼륨 사정, 임의 중단 금기
1. 동맥질환
(1) 래이노병
증상 및 특징 | · 특징: 상지 호발, 대칭성, 양측성 · 소동맥, 서동맥 혈관경련 → 혈액공급저하 → 청색증, 피부 온도변화 |
간호 | · 금연, 추위노출X, 카페인X, 초콜릿X, 스트레스 관리 |
(2) 폐색성 혈전맥관염(버거씨병)
증상 및 특징 | · 특징: 하지 호발 · 위험요인: 흡연, 남자 주증상: 간헐성 파행증 |
간호 | · 금연, Buerger-Allen 운동, 칼슘채널차단, 혈관확장제, 추위노출X |
(3) 만성동맥폐쇄성질환
증상 및 특징 | · 무증상 → 간헐적 파행 → 안정 시 통증 → 괴사 |
간호 | · 하지 수평 혹은 하지가 약간 낮게 유지매미 |
2. 정맥질환
(1) 심부정맥혈전증
증상 및 특징 | · 초기 하지부종, 종창, 표재성 정맥돌출(Homan 징후) · 위험 3요인: 정맥정체, 혈액과응고력, 정맥벽손상 · 합병증: 호흡곤란: 폐색전증 |
치료 및 간호 | · 항응고요법(헤파린, 쿠마틴), 다리 상승 · 5~7일 침상안정, 혈전용해제는 급성폐색 1시간 내 시도 |
(2) 림프절염
증상 및 특징 | · 원인균: 용혈성 연쇄상구균감염 · 통증이 있거나 없거나 함, 국소림프절 비대 |
치료 및 간호 | · 순환 정상 때(항생제, 하지 상승, 안정, 온습포) |
(3) 말기림프부종
증상: 둔한 중합감, 피부궤양, 섬유증, 비요흔성 부종
(4) 정맥류
진단검사: 도플러 혈류검사, 트렌델렌버그검사
수술 후 간호: 24h 침상안정, 1주간 탄력붕대, 다리운동과 함께(다리상승), 오래 서 있거나 앉는 자세 피함
혈액장애
적혈구 필요조건: 철분, 비타민B12, 내인성인자, 엽산 <주요 진단 정상수치> 혈색소 14~18(남) 12~16(여), hmt 42~52(남) 37~47(여), 백혈구수 5000~1만. 혈소판수 15~40만 |
적혈구 관련 질환(빈혈)
전반적인 간호: 안정 취하여 산소요구량 줄여줌, 교차 감염예방 격리, 방문객 제한, 단백질/철분/비타민류 충분한 식이 제공
(1) 악성빈혈(비타민B12 결핍성 빈혈)
원인: 위절제술, 섭취 부족, 자가 면역반응, 크론병
진단: 실링검사
치료: Vit.B 근육주사(내적인자가 없어 경구로 투여하여도 흡수가 되지 않음)
(2) 철결핍성 빈혈
치료: 철분제제(비타민C와 함께 투여 식후 복용, 액체는 빨대로 섭취(착색방지), 고섬유식이(철분제의 부작용: 변비), 검은변 관찰
간호: 철분제제 주사 시 Z자(5cm 깊이, 소량의 공기주입), 마사지 금기, 걷게 하여 흡수 돕기
(3) 재생불량성 빈혈
원인: 골수기능 장애 (자가면역 질환 형태 보임: 비정상 림프구가 골수공격)
증상: 범혈구감소증 → 백혈구 감소, 빈혈, 혈소판 감소
치료: 면역억제제, 수혈, 조혈모세포이식, 비장절제술
간호: 가능한 주사 피하기, 아스피린X, 항응고제X, 부드러운 칫솔 사용
(4) 용혈성 빈혈
증상: 창백, 피로, 고빌리루빈혈증, 활동 시 호흡곤란, 황달, 비장종대, 간비대(적혈구 조기파괴가 특징)
치료: 산소, 수분전해질투여(혈액점도감소)
백혈구 관련 질환
· 절대호중구수: 방어능력의 지표 → 500이하 시 역격리 필요
(1) 무과립구증
특징: 호중구 감소
(2) 백혈병
치료: 감염 예방, 출혈 예방
조혈모 세포 이식 전 간호: HLA(ABO불일치도 가능), 만성기 때 시행, 2주 전 무균실, 3일간 고용량 항암화학요법 및 1일 2회 방사선 후 1~3일 휴지기 가지도록 함
조혈모 세포 이식 후 간호: 이식편대숙주병(GVHD) 징후 관찰
(3) 악성림프종
①호지킨병: 무통성 림프절 비대, 소양증, 종양부위 통증, 식욕부진 / 리드-스텐베르그 세포검사로 확진
②다발성 골수종: ESR 증가, 고요산혈증, 고칼슘혈증, 과립구감소증, 혈소판감소증
진단결과 상 골수 내 혈장 세포 30~95% 증식
간호: 1일 3L 이상 수분섭취(칼슘 희석), 자주 걷기(칼슘소실예방), 감염 예방
(4) DIC (파종성 혈관 내 응고)
증상: 반상출혈, 혈전증상
(5) 골수이식
특징: 만성기 때 이식시 효과적
이식 확인 필요사항: HLA 일치 형제, 자매 / 만성골수백혈병에서는 동종골수이식이 자가골수이식보다 효과 좋음
'Nurse > 간호사 국가고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사 국가고시] 성인간호학 호흡기계 질환 총정리 (+요약본 파일) (258) | 2023.03.27 |
---|---|
[간호사 국가고시] 성인간호학 근골격계 질환 총정리 (+요약본 파일) (167) | 2023.03.26 |
[간호사 국가고시] 간호관리학 우리나라 간호역사 총정리 및 요약본 (10) | 2023.03.23 |
[간호사 국가고시] 간호관리학 세계 간호(ICN / WHO / 국제적십자사) 요점정리 (7) | 2023.03.22 |
[간호사 국가고시] 간호관리학 간호역사(근대 시대) 요점정리 (6) | 2023.03.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