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학] 활력징후 정상범위 (체온, 맥박, 호흡, 혈압)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임상에서 가장 기본이자 환자의 상태를 반영히는 활력징후에 대해 알아볼게요.
학생간호사라면 실습에서 가장 많이 직접 수행해보게 될 술기이기도 합니다.
활력징후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는 언제일까요?
- 입원 시 기초자료를 수집할 때
- 하나 이상의 활력징후가 비정상이면 적어도 4시간마다
- 수혈 전 · 중 · 후
- 침습적 진단검사 전 · 후
- 의사의 처방이나 기관의 규칙에 의한 정규적인 절차
활력징후 대표적인 4가지의 정상범위
액와체온 | 36.0~37.0℃ |
맥박 | 60~100회/분 |
호흡 | 12~20회/분 |
혈압 | 수축기 120mmHg 미만, 이완기 80mmHg 미만 |
활력징후의 대표적인 4가지의 정상범위를 알아두어야 환자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알 수 있겠죠?
이 4가지의 정상범위는 알아두면 도움되는 대표적인 지표입니다.
체온(Temperature)
체온조절의 중추는 뇌의 시상하부입니다.
체온 측정 부위는 구강, 직장, 액와, 고막이 대표적이며 부위에 따라 정상범위와 측정시간이 달라집니다.
부위 | 섭씨(℃) | 측정시간 | 금기 및 주의사항 |
구강 | 36.5~37.5 | 3~5분 | 의식손상이나 구강이 손상된 대상자 |
직장 | 37.0~38.0 | 2~3분 | 직장에 문제가 있거나 수술환자 |
액와 | 36.0~37.0 | 5~10분 | 안전한 방법이나 피부와 밀착성 떨어짐 |
고막 | 36.0~37.0 | 1~2초 | 외이도 상태에 따라 정확도가 달라짐 |
염증질환, 감염이나 외상이 생겼을 때 체온은 상승할 수 있으며, 당뇨병과 같은 질환이 있을 때 체온은 떨어질 수 있습니다.
영유아의 경우 신진대사가 활발하여 기초체온이 높고, 노인의 경우 기초대사율이 감소하여 체온이 낮을 수 있습니다.
체온의 하루 중 변화는 새벽 4~6시 사이에 가장 낮고, 오후 4~6시경에 가장 높게 나타납니다.
이외에도 호르몬 변화, 스트레스, 운동, 환경에 의해 체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있습니다.
맥박(Pulse)
맥박은 "말초동맥에서 촉진되는 혈관의 박동"이라고 합니다.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에 따라 맥박이 달라집니다.
교감신경 같은 경우, 심장박동과 심근수 축력이 증가하여 심박출량(Cardiac Output)은 증가하는데
반대로 부교감신경은 심장박동과 심근수 축력이 감소하여 심박출량(Cardiac Output)은 감소합니다.
맥박의 경우 기억해두셔야 할 특성들이 있습니다.
정상 맥박수는 60~100회/분
빈맥(빠른 맥)은 100회/분 이상의 빠른 맥박
서맥(느린 맥)은 60회/분 이하의 느린 맥박
그리고 기억해두셔야 할 맥박의 특성은 맥박 결손입니다.
맥박 결손은 "심첨맥박수와 요골 맥박수의 차이"라고 합니다.
이유는 심장 수축력이 좋지 않아 말초동맥까지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함을 의미합니다.
맥박 결손이 의심된다면, 2명의 간호사가 각각 심첨 맥박과 요골 맥박을 동시에 측정해야 합니다.
호흡(Respiration)
정상 호흡수: 12~20회/분
호흡은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가스 교환을 통한 에너지를 생산하는 작용입니다.
먼저 호흡의 생리적 기전을 알아두면 도움이 됩니다.
환기: 대기와 폐포 사이의 공기 교환
확산: 폐포 공기와 폐 모세혈관 혈액 사이의 O2와 CO2 농도 차에 의한 교환
즉, 호흡은 환기와 확산에 의해 이루어지며 뇌에 있는 연수에 의해 조절됩니다.
혈압(Blood Pressure)
혈압이란, "혈액이 혈관 속을 흐르고 있을 때 혈관벽에 미치는 압력"이라고 합니다.
혈압을 나타내는 단위는 mmHg입니다.
그리고 혈압은 수축기압과 이완기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축기압은 심장의 수축기 때 좌심실에서 동맥 내로 혈액이 나와 생기는 압력이며,
이완기압은 대동맥에 이완 시 저장된 혈액이 이완기에 말초혈관으로 흘러갈 때의 압력을 말합니다.
즉, 수축기압과 이완기압을 뺀 결과를 맥압이라고 부릅니다.
혈압 측정방법도 중요하기 때문에 꼭 기억해두셔야 합니다.
커프는 팔이나 대퇴 위의 약 2/3를 덮는 정도의 크기를 사용합니다.
청진기는 종형으로 듣습니다.
반복 측정하고자 할 때는 30초의 여유를 두어야 하는데 정맥 울혈을 완화하기 위함입니다.
좌우 혈압차가 5~10mmHg 이하여야 합니다.
대퇴 혈압의 이완기압은 팔의 혈압과 비슷하지만, 수축기압은 10~40mmHg 정도 더 높을 수 있습니다.
활력징후는 가장 기본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해주세요.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9). 최신 기본간호학 1. 서울: 수문사.
송경애 외. (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서울: 수문사.
'Nurse > 기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간호학] 비경구 투여 요점정리 (피하주사 / 근육주사 / 피내주사 / 정맥주사) (2) | 2023.03.18 |
---|---|
[기본간호학] 투약 처방에 사용되는 약어 정리 (0) | 2023.03.12 |
[기본간호학] 통증(원인 / 종류 / 간호중재) 총정리 및 이론적 근거 (0) | 2023.03.09 |
[기본간호학] 활력징후 총정리 (체온, 맥박, 호흡, 혈압) (0) | 2023.02.28 |
[기본간호학] 인간의 이해 및 발달이론 (매슬로우 / 에릭슨 / 피아제 / 프로이트) (0) | 2023.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