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학] 통증(원인 / 종류 / 간호중재) 총정리 및 이론적 근거
728x90
반응형
통증이란?
실제적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에 동반되는 불유쾌한 감각 및 정서적 경험을 말합니다.
통증의 원인
자극 형태 | 원인 | 병태 생리학적 과정 |
기계적 | 체액 변화 | 체조직의 팽창이나 부종 |
관의 팽창 | 관의 좁은 내강의 과도한 팽창(예: 신결석의 요관 통과) | |
공간을 치유하는 병소(종양) | 제한된 공간 내에 병소의 성장으로 말초신경의 자극됨 | |
화학적 | 장기천공 | 감각신경말단에 분비물의 화학적 자극(예: 충수파열 혹은 위궤양) |
온도 | 열 또는 추위 | 표피의 표면층 상실 또는 염증으로 인한 신경말단의 민감성 증가 |
전기적 | 화상 | 근육과 피하조직을 포함한 피부층의 확상으로 인한 신경말단손상 |
통증의 종류
기간에 따른 분류
분류 | 급성 통증 | 만성 통증 |
임상양상 | · 갑작스럽게 발생 · 강도와 지속기간이 다양함 · 시간이 지나면 소실되기도 함 |
· 3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 · 원인을 알기 어려운 경우도 있음 ·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함 |
신경계 반응 | 교감신경계 반응 · 맥박 및 호흡 상승 · 혈압 상승, 발한, 창백 · 동공 확대 |
부교감신경계 반응 · 정상 활력징후 · 건조하고 따뜻한 피부 · 동공 정상 혹은 축소 |
조직손상 | · 치유와 함께 해결됨 | · 치유 후에도 계속 지속됨 |
정서 | · 불안정, 두려움, 집중감소 등 나타남 | · 우울 혹은 위축, 부동을 보임 |
통증 호소 | · 표정 변화와 함께 뚜렷하게 호소함 | · 질문을 하지 않는 한 통증 호소가 없을 수 있음 |
통증 행위 | · 통증 부위를 잡고 있는 등 다양하게 나타남 | · 대체로 통증 행위를 나타내지 않음 |
발생부위에 따른 분류
표재성 통증 | · 피부자극에서 오는 통증 · 지속시간이 짧고 국소적이면 보통 날카로운 감각을 느낌 · 예: 바늘 찔림, 베임과 열상, 근육통, 두통이 가장 흔함 |
|
심부 통증 | · 근육이 오랫 동안 수축할 때 나타나는 통증 · 둔하고 한계가 분명하지 않으며, 주위로 퍼지는 성질이 있음 |
|
내장통 | · 공동기관이 심하게 심하게 신전되거나 평활근이 강하게 수축할 때 나타나는 통증 · 국소 혈류량이 감소할 때 나타나는 통증 · 뻐근한 감각(협심증), 작열감(위궤양) 등 |
|
연관통 | · 통증의 원발 부위에서 떨어진 다른 부위에서 통증을 느끼는 것 |
통증의 특수형태
종류 | 내용 | |
방사통 (radiating pain) |
· 손상받은 부위에서 다른 신체 부위까지 확장된 통증 감각을 말함 · 통증이 마치 아래로 신체의 한 부분을 따라 전파되는 것 같이 느껴지며 간헐적 혹은 지속적임 · 추간판 탈출로 인한 하부 요통은 좌골신경 자극으로 인해 대퇴아래로 방사되는 통증을 수반함 |
|
전이통 (referred pain) |
· 장기통각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현상이며, 많은 기관들은 그 자체에 통증 수용기를 가지고 있지 않고 영향을 받은 장기로부터의 감각신경과 통증을 느끼는 부위로부터의 감각신경이 같은 척수 분절로 들어오기 때문에 뇌는 영향을 받지 않는 신체 부위에서도 통증을 지각함 · 통증 자극이 주어진 부위와 통각을 느끼는 부위가 다른 것을 말하며 통증의 근원에서부터 떨어진 몸의 일부에서 통증을 느끼고 어떤 특성을 가짐 · 심근경색은 왼쪽 팔, 왼쪽 어깨, 턱에서 전이통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임 |
|
환상통 (phantom pain) |
· 절단된 신체 부분이 마치 여전히 남아 있는 것 같은 비정상적인 감각이나 느낌을 말하며 심리적이거나 절단된 부위에 위치한 신경으로부터 오는 자극의 결과일 수 있음 · 완치 후 오랜 기간 계속되는 통증일 수 있으며 절단 직후에는 따갑고 날카로운 통증이며 누워있는 동안은 침상 위로 절단된 부분이 올려진 것과 같이 느낄 수 있음 · 보통 절단된 사지에서 나타나는 것이 특징임 |
통증 완화를 위한 간호중재
비약물 요법
(1) 통증조절을 방해하는 오해나 신념을 사정하여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2) 전환요법: 통증 감각이 아닌 다른 자극에 주의를 집중하도록 시선을 분산하거나 집중하도록 하는 방법
(3) 바이오피드백: 생리적 반응에 대한 개인의 정보와 이 반응들을 수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운동 방법을 알려주는 방법
(4) 자기 최면 및 피부자극: 마사지, 온 · 냉요법
(5) 통증은 객관적으로 사정해야 합니다.
약물 요법
(1) 진통제
분류 | 내용 | 약물 | 적용 |
비마약성 진통제 | · 진통능력은 아스피린과 유사 · 위장점막에 영향을 주지 않음 |
Acetaminophen(Tylnol) | · 수술 후 약한 통증 |
Acetylsalic acid(Asprin) | · 열 |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
· 염증을 감소시키고 프로스타글란딘 합성을 막아 통증을 완화함 · 위장관계 손상과 출혈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음 |
Ibuprofen | · 월경불순 |
Naproxen | · 혈관성 두통 | ||
Indomethacin | · 류미티스성 관절염 | ||
Tolmetin | · 연조직 운동 부상 | ||
Piroxicam | · 통풍 | ||
Ketorolac | · 수술 후 통증 | ||
마약성 진통제 | · 신경전달물질의 방출을 차단하여 통증의 전달을 방지함 · 오심, 구토, 변비, 우울 등의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음 |
Meperidine | · 암으로 인한 통증 |
Methylmorphine | · 심근경색 | ||
Morphine sulfate | · | ||
Fentanyl | · | ||
Butophanol | · | ||
Hydromorphone HCL | · |
(2) 자가조절장치(PCA.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 정맥 혹은 피하에 도관을 통해 투여하며 대상자가 진통제를 원할 경우 스스로 투여할 수 있는 장치
· 환자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사용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
· 과다용량 투여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 지속적으로 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안정된 혈중 농도 유지
728x90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9). 최신 기본간호학 1. 서울: 수문사.
핵심임상간호 메뉴얼
728x90
반응형
'Nurse > 기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간호학] 비경구 투여 요점정리 (피하주사 / 근육주사 / 피내주사 / 정맥주사) (2) | 2023.03.18 |
---|---|
[기본간호학] 투약 처방에 사용되는 약어 정리 (0) | 2023.03.12 |
[기본간호학] 활력징후 총정리 (체온, 맥박, 호흡, 혈압) (0) | 2023.02.28 |
[기본간호학] 인간의 이해 및 발달이론 (매슬로우 / 에릭슨 / 피아제 / 프로이트) (0) | 2023.02.26 |
[기본간호학] 활력징후 정상범위 (체온, 맥박, 호흡, 혈압) (20) | 2021.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