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혈 간호] 수혈 종류와 혈액제제(종류 및 주의사항)

널스드림 발행일 : 2023-02-17
728x90
반응형

출처: Unsplash

수혈 종류

 

1. 자가 수혈(Autologous Transfusion)
- 자신의 혈액을 모아 다시 자신에게 재수혈하는 것
- 동종면역, 면역 중개 수혈반응, 질병 전파 위험을 감소시켜줍니다.

→ 주로 수술에 대비하여 자신의 혈액을 해당 병원에 미리 채집하여 혈액 보존제를 미리 채집하여 혈액 보존제를 섞어 보관해 줍니다.(감염에 취약한 환자에게 사용이 고려될 수 있음)
→ 수술 종류, Hct 유지 능력에 따라 결정하며 혈액 요구량이 많은 수술 직전에 수집하여 수술 중에 재수혈합니다.

2. 동종 수혈(Homologous Transfusion)
- 자발적인 공혈자의 혈액을 채집하여 수여자에게 수혈하는 것

- 공혈자로부터 채집된 혈액은 9가지 검사를 통해 감염이 없음을 확인한 후 수혈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수혈 방법입니다.

3. 직접 수혈(Directed Transfusion)
- 특정한 수여자에게 수혈하기 위해 특정한 공혈자가 혈액을 공하는 것

→ 지정 수혈: 수혈을 받을 사람을 미리 정하고 그 사람을 위해 헌혈하는 것입니다.

4. 성분 수혈(Blood Component)
- 전혈의 주요 성분인 혈장, 혈소판, 적혈구, 백혈구를 분리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혈액 성분만 모아서 수혈하는 것

-  1 Unit 전혈로 1명에게 사용하는 것보다 성분 수혈을 하면 여러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으며 경제적입니다.
(성분들이 농축된 상태로 높은 치료 효과가 있음)
- 성분별로 분류하여 수혈함으로써 수혈자의 순환계 부담을 감소시킵니다.
- 불필요한 성분을 함께 수혈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예방합니다.
→ 세척 적혈구 수혈 시 혈청 바이러스 간염의 발생을 감소시킵니다.
→ 백혈구 제거 적혈구 수혈 시 면역과 관련된 부작용 발생 위험을 감소시킵니다.

 

대표적인 수혈 종류에 대해 정리 및 공부를 했다면 다음으로 성분 수혈에서도 혈액제제의 종류가 다양하게 있으므로 수혈 처방이 나면 수혈 준비하는 데 있어서 무엇이며, 이것은 어떻게 몇 시간 동안 들어가야 하는지 미리 공부하고 숙지하고 있으면 간호를 함과 더불어 환자에게 정확하게 설명을 하고 안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전혈

 

1. 전혈 - 저장 혈액(Stored Blood)
- 특징 : CPDA-1 항응고보존제가 들어있는 혈액을 채혈하여 냉장 보존한 것으로 적혈구, 백혈구, 혈장, 혈소판 성분 모두를 수혈할 수 있음

- 적응증 : 다랑 출혈 및 수술 시 출혈로 혈액량이 부족한 환자 or 산소 운반능력이 부족한 환자
→ 산소운반능력 및 혈액 확장량이 동시 요구되는 경우
- 유효기간: 1 ~ 6℃에서 보관, 약 28 ~ 35일까지 가능
→ 실온에 30분 이상 노출될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음
- 참고: 1 Unit 당 2 ~ 4hr 이내 투여함 

2, 전혈 - 신선 혈액(Fresh Blood)
- 혈액의 전 성분율 신선한 상태로 수혈 가능함

- 적응증: 계속하여 다량의 수혈이 필요한 환자, 출혈 경향 혹은 최소의 출혈로 인한 빈혈 있는 환자, 체외순환방법을 이용하여 심장 수술하는 환자 등
- 유효기간: 채혈 후 약 1 ~ 3일 이내까지 가능
- 참고: 전혈 보관 시 미세 응괴 등이 발생할 수 있어서 혈액 필터가 부착된 일반 수혈 세트 사용함

적혈구제제 및 백혈구제제

 

1. 적혈구제제 - 적혈구 농축액(PRC, Packed Red Cells)
- 특징: 전혈을 원심분리하여 혈장 성분을 80% 이상 제거하여 만든 혈액제제

→ 소량의 혈장 · 혈소판 · 백혈구가 포함되어 있으나 기능은 거의 소실됨
- 적응증: Hb 7mg/dL 이하 수혈, 만성 빈혈 환자, 수술 또는 외상으로 총혈액량의 15% 이상 혈 환자, 순환 혈액량 증가 없이 산소운반능력 항상만 목표로 함
→ 혈성 심부전증 동반한 빈혈, 유아 수혈 등
- 유효기간: 1 ~ 6℃에서 보관, 약 35일까지 가능
- 참고: 1 Unit 당 2~4hr 이내 투여함

2. 적혈구제제 - 세척 적혈구(WRC, Washed Red Cells)
- 특징:  PRC와 같은 양의 0.85% N/S를 넣어 2 ~ 3 회 세척한 혈액제제

- 적응징: WB 혹은 RBC 수혈로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보인 환자, 신생아 혹은 자궁 내 태아에게의 수혈, 백혈구와 혈소판 항체를 가진 환자, 수혈이 필요한 장기이식 환자 등
- 유효기간: 세균 오염을 막기 위해 24시간 이내 사용

4. 적혈구제제 - 동결 해동 적혈구(Frozen Deglycerolized RBC)
- 특징: 글리세롤을 적혈구에 첨가하여 동결시킨 후 -85℃에서 저장하며 수혈 전에 해동한 뒤 세척하여 글리세롤을 제거한 뒤 사용하는 혈액제제

- 적응증: Rh 음성 혹은 희귀 혈액의 장가 보존과 장기간 자가수혈을 위해 보관하기 위해 사용함
- 유효기간: 1 ~ 6℃에서 보관, 약 24시간 이내 사용
→ 채혈 후 10일 내의 것으로 제조해야 함

5. 백혈구제제 - 공여자 백혈구(Donor Granulocyte)
- 특징: 원심분리하여 얻은 백혈구 혈액제제

- 적응증: 혈액 질환 환자(심한 감염으로 WBC가 500/mm3 이하 또는 감염 예방 및 치료 목적으로 사용
- 유효기간: 제조 후 4시간 이내 사용
- 참고: 백혈구 성분 요법에는 백혈구 풍부 혈장과 농축 백혈구 혈장이 있음 전혈을 원심 분리하여 얻어지는 혈장으로 혈소판이 포함되어 있음
→ 농축 백혈구는 재생 불량성 빈혈로 심한 감염상태, 급성 백혈병 혹은 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중에 백혈구 감소증이면서 항생제 투여에도 반응이 없는 심한 감염을 동반한 경우 수혈함

 

 

혈소판제제

 

1. 혈소판제제 - 혈소판 풍부 멸장(PRP, Platelet Rich Plasma)
- 특징: 전할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혈소판이 많이 함유된 혈장 혈액제제

- 적응증: 점상출혈, 자반증, 정맥출혈, 비출혈환자 화학요법 등에 의해 발생한 혈소판 감소증 환자 등
- 유효기간: 20 ~ 24℃에서 보관, 6시간 이내 사용

2. 혈소판제제 - 혈소판 농축액(PC, Platelet Concentrate)
- 특징: 소량의 혈장에 다향의 혈소판 포함되어 있음

- 혈소판 감소증 혹은 혈소판 기능 장애 환자, 백혈병 혹은 재생불량성 빈혈, 항암제 치료 등으로 PLT 수치가 20,000/uL 이하로 감소한 환자 등
- 유효기간: 20 ~ 24℃에서 보관, 약 5일 이내 사용
- 참고: 1 Unit 당 20~30 Min 이내 투여함
- 기타: 백혈구 제거 필터 사용 여부 확인 필요 (1회 6 ~ 8 Unit 수혈함)

3. 혈소판제제 - 성분 채집 혈소판(SDP, Single Donor Platelets)
- 특징: 2시간 동안 공혈자에게서 얻은 혈소판 농축액

→ 혈소판과 소량의 혈장만 채집하고 나머지 성분은 공혈자에게 다시 되돌려 줌(백혈구 제거하여 채집)
- 적응증: 혈소판의 기능 이상이 있는 환자
- 유효기간: 20 ~ 24℃에서 보관, 약 5일 이내 사용
- 참고: SDP 1 Unit = PC 6~8 Unit

혈소판 농축액(PC)과 성분 채집 혈소판(SDP)의 차이점
PC는 전혈에서 원심 분리하여 얻은 혈소판 혈액제제입니다.

SDP는 단 1명의 공혈자로부터 채집한 혈소판 혈액제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

 

혈액성분제제

 

728x90
반응형

 

혈장 성분제제 및 혈장 분획제제

 

1. 혈장  성분제제 - 동결 혈장(Frozen Plasma)
- 특징: 채혈 후  21일 이내에 분리 · 동결시킨 혈액제제

- 적응증: 쇼크 · 화상 · 뇌부종 · 저단백혈증 환자, 수술 또는 외상 시 혈압 유지를 위한 수혈
- 유효기간: -15℃ 에서 보관, 약 3년 이내 사용
→ 용해 후 2시간 이내 사용해야 함

2. 혈장 성분제제 - 신선 동결 혈장(FFP, Fresh Frozen Plasma)
- 특징: 채혈 후 4시간 이내의 전혈로부터 혈장을 분리하여 동결시킨 혈액제제
- 적응증: 간 질환, 응고인자 보충이 필요한 환자, 체액을 즉시 보충시켜야 하는 응급상황, DIC 등
- 유효기간: -18℃ 이하에서 보관, 약 1년까지 가능
→ 해동 후  즉시 사용해야 함(4시간 이내 권장)
- 참고: 1 Unit 당 15~45분 이내 투여함

3. 혈장 성분제제 - 신선 액상 혈장(FLP, Fresh Liquid Plasma)
- 특징: 채혈 후 6시간 이내에 분리한 혈장 혈엑제제
- 적응증:  혈액응고인자 보충이 필요한 환자, 출혈에 의한 혈액량이 감소한 환자, 간 질환 등에 대한 여러 응고인자  결핍 있는 환자, 쇼크, 화상, 저단백혈증 환자 등
- 유효기간: 1 ~ 6℃에서 보관, 제조 후 12시간 내 사용

4. 혈장 분획제제 - 동결 침전 제제(Cryoprecipitate) 
- 특징: 신선동결혈장 1 Unit을 4℃에 녹여서 제조한 분획제제
- 적응증: 혈우병, DIC 환자, 피브리노겐 결핍 환자 등
- 유효기간: -20℃ 이하에서 보관, 약 1년까지 가능
- 참고: 1 Unit 당 15~30분 이내 투여함

5. 혈장 분획제제 - 가열 혈장 단백 혈청 알부민(Albumin)
- 특징: 혈장 내에 함유되어 있는 혈장 단백질
- 목적: 혈관 내의 혈량을 보충 및 저단백혈증 환자의 심박출량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함 
- 유효기간: 2년 혹은 3년
- 참고: 한 Bottle 당 4 ~ 6시간 이상 천천히 투여함

 

수혈 주의사항

 

* 혈액 불출 후 30분 이내 수혈 시작해야 함 
- RBC와 혈소판은 4시간 이내 혈 마쳐야 합 
- FFP는 해동 후 3시간 이내 수혈 마쳐야 함 
- Cryo는 해동 후 1시간 이내 수혈 마쳐야 함

 

혈액제제 수령 시 주의사항

 

* 얼음이 필요한 혈액제제
- WB(전혈), PRC(농축 적혈구)
* 얼음이 필요하지 않은 혈액제제
- PC(농축 혈소판), SDP(성분 채집 소판), Cryo(동결침전제제)


참고문헌

주혜선. 2019. 암또의 임상노트2. 포널스 출판사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