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신간호학] 사고장애 / 정동장애 / 지각장애 / 행동장애 / 언어장애 요약 및 정리

널스드림 발행일 : 2023-03-1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정신간호학 중에서 특히 증상학이라고 불리고 연관되는 사고장애, 정동장애, 지각장애, 행동장애 마지막으로 언어장애를 분류 및 요약해서 준비했습니다. 이번 내용도 학부 과정 중에서도 매 학기마다 연관되어 나오는 내용에다가 국가고시에도 매년 나오는 내용들이기 때문에 꼭 숙지하고 분류할 수 있어야 합니다. 최대한 정리하고 보기 편하도록 정리했으니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사고장애 분류

1) 사고형태의 장애

자폐적 사고
외부 현실을 무시하고 외부와의 적절한 관련성 없이 자신의 내적 세계에 집착하고 자신만의 논리 속에 빠져서 일반 상식이나 논리와 동떨어진 비현실적 사고


마술적 사고

특수한 생각, 말, 연상, 몸짓, 태도 등이 어떤 초자연적인 방법에 의해 그대로 성취될 수 있다거나 약을 쫓을 수도 있다고 믿는 것. 어린 아이나 강박장애, 심한 조현병에서 나타날 수 있음

1차 사고 과정
사고가 무의식적인 경향의 작용으로 질서나 논리성이 결여되고 비조직적이고 비논리적이며 비현실적이고 마술적일 때 사용

구체적 사고
은유를 사용하지 못하고 그 의미를 잘 헤아리지 못하는 문자적이고 1차원적인 사고

신어조작증(Neologism)
2가지 이상의 단어를 합해 새로운 임의의 내용을 만들고 자신만이 아는 엉뚱한 뜻을 부여해 사용하는 것

2) 사고 과정의 장애

사고의 비약
한 생각에서 다른 생각으로 연상활동이 지나치게 빠르게 진행되는 현상


사고의 지연
사고 과정에서 연상 속도가 매우 느려짐으로써 사고가 원활하지 못한 현상

사고의 단절과 박탈
사고의 흐름 혹은 문장의 중간에서 갑자기 멈추는 현상


사고의 이완
전혀 관련이 없거나 관련이 적은 대상으로 연상이 진행되는 엉뚱한 사고


사고의 지리멸렬
사고나 말에 있어서 논리나 문법적으로 앞뒤가 서로 연결되지 않아 줄거리가 없고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상태

3) 사고내용의 장애

망상(Delusion)
- 사실과 다른 불합리하고 잘못된 믿음. 사회생활에는 문제없음 (대인관계는 원활)

- 피해망상, 과대망상, 관계망상, 신체망상, 색정망상, 우울망상, 종교망상
예) TV에 나오는 시람들이 자기를 욕한다고 함, 아내가 외도한다는 의심

집착(Preoccupation)
다른 부분에 대한 흥미를 상실하고 어떤 특정 부분에 그 사람의 모든 사고가 집중되어 있는 상태


강박관념(Obsession)
자신이 하는 생각이 쓸데없는 것이라는 점을 알고 있으며, 그것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는데도 이성이나 논리 등의 의식적인 노력으로 교정되지 않고 계속 같은 생각이 의식에 떠올라 고통받는 경우를 의미함.
예) 손을 씻었는데도 계속해서 손을 씻음(강박장애의 주요 증상)

망상의 유형

피해망상
다른 이에 대한 공격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신체접촉은 금지


과대망상
남들이 모르는 자신이 어떤 위대한 재능이나 통찰력을 가졌다고 생각함


관계망상
실제로 자신과 관계없는 일상생활에서의 상황을 자신과 관련되어 있다고 잘못 이해함


신체망상
자신의 신체 일부가 기형이거나 이상이 생겼다고 믿음


종교망상
자신이 전지전능한 신이라고 주장

 

정동장애

감정(emotion)

- 지연적, 본능적으로 일어나는 마음의 상태 및 이의 외적표현을 총칭

- 슬픔, 기쁨, 쾌락, 고통, 불안, 분노, 공포, 수치, 애정, 증오, 욕심, 질투 등

정동(affect)

- 타인이 관찰 가능한 감정경험의 외부적 표출 자체 혹은 그 표출의 방식

- 부적절한 정동 : 정동표현이 상황, 사고, 기분상태와 불일치

- 정동의 둔마 : 자극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이 없어 보이고 감정의 표현의 강 도가 감소된 무딘 감정 상태

- 정동의 상실: 둔마보다는 심한 상태, 목소리 톤이나 얼굴의 움직임 등에서 감정이 없는 상태

- 불안정한 정동: 정동의 폭이 크고 빠르고 쉽게 변하는 상태\

- 무감동: 쾌감, 불쾌감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된 상태

기분(mood)

- 주관적으로 경험되는 긍정과 부정의 방향성을 띠는 정서적 가치가 부여된 전반적이고 지속적인 감정상태

- 감정의 자가 보고와 다른 사람의 관찰 등의 객관적인 요소 포함

들뜬 기분

- 다행감: 낙관적 태도, 자신감

- 고양감: 행동, 욕구가 과장될 정도의 즐거움

- 기고만장: 과도한 정도의 즐거움

- 황홀감: 초월적 신비감, 전지전능감 등의 극도로 들뜬 기분

우울한 기분

- 불쾌감: 즐겁지 못하고 나쁜 기분, 에너지 혹은 기력의 저하가 동반되지 않음

- 무쾌감: 일상이 좋아하는 일에 대한 즐거움을 상실한 상태, 흥미와 관심, 재미, 의욕의 저하에 초점을 맞춘 개념

- 멜랑콜리아: 극심하게 가라고 우울한 기분, 에너지/기력의 저하와 함께 극심한 절망, 비관, 식욕/ 체중변화를 동반함

기타

- 양가감정: 동일한 대상에 대해 상반된 감정, 태도, 생각을 동시에 가짐

- 병적분노: 유발하지 않은 분노의 폭발

- 수치: 자신 또는 타인의 기대에 맞추지 못했다는 감정

- 죄책감: 주관적으로 잘못된 일을 했다는 감정

- 불안: 뚜렷한 외부 자극 없이 초조하거나 불안함(초조, 긴장, 공항상태)

- 공포감: 어떤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사실 무근의 두려움을 느끼는 것


지각장애

실인증

- 자극의 중요성이나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상실하여 사물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

- 치매, 뇌종양 등의 질환에서 볼 수 있음

- 시각, 촉각, 청각 실인증 등

착각

- 실제 외부 자극을 뇌에서 통합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문제가 발생하여 왜곡되게 인식하는 현상

- 거시증/미시증: 사물이 실제보다 크게 작게 보이는 현상

- 공감각: 실제의 자극이 다른 형태의 감각으로 나타나는 현상

- 이인증: 자기가 자신이 아닌 것처럼 느껴짐

- 비현실감: 익숙한 환경이 생소하게 느껴지거나 낯선 환경이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

환각

- 외부자극이 없는데도 실제처럼 지각하는 현상

- 환청: 외부자극 없이 실제 어떤 소리를 듣는 경우, 환각 중 가장 흔함

- 환시: 실제 존재하지 않는 대상을 보는 것, 환청 다음으로 흔함

- 환후: 외부자극이 없는데도 특정한 냄새를 지각, 대개 불쾌한 형태

- 환촉: 실제 자극이 없는데 몸이 닿거나 찌르거나 누르는 감각을 느낌

- 환미: 실제로 없는 맛을 지각, 흔하지 않음


 

행동장애

행동변화 정의
긴장증 - 자발적인 운동이 없거나 극도의 초조성 흥분을 나타냄
강직증 - 반복적 행동의 가장 심한 경우
- 보통 사람이라면 견디기 힘들 정도로 일정한 자세를 움직이지 않고 유지
납굴증 - 심한 강직증, 취해진 어떤 자세를 계속 유지하는 상태
상동증 - 운동의 반복적인 유형을 말하며, 타인의 행동을 모방한 것일 수도 있음
- 무의식적 긴장이나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
기행증 - 이상한 버롯, 표정
- 상동증보다 덜 지속적이고 단조로움
보속증 - 새로운 동작을 하려고 노력하나 계속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 상동증과 비슷하지만 근본적으로 뇌의 손상으로 인한 것이므로 구별
자동증 - 자신의 의지는 전혀없이 타인의 요구에 따라 딱딱한 자세로 운동기능을 수행
- 반향행동, 반향언어
거부증 - 모든 요구에 대하여 극도로 반대 자세를 취함
- 사실상 요구된 것에 반대로 행동
- 함구증, 거식증 등
무의욕증 - 과제를 수행하려는 동기가 전혀 없는 상태
- 신경전달물질의 변화와 관계가 있음

언어장애

언어 변화 정의
언어압출 - 말의 흐름이 매우 빠르고 많아 중단시키기 어려운 상태
다변증 - 말에 일관성과 논리성은 있으나 말수가 많은 상태
언어빈곤 - 말의 양이 적고 어떤 질문에도 단음절의 반응만 보이는 경우
함구증 -입을 닫고 말을 전혀 하지 않는 상태
*실어증: 뇌질환이나 뇌손상으로 인해 언어표현 및 언어이해가 안 되는 상태
반향언어 - 타인의 말을 그대로 흉내 내는 것. 행동장애로 보기도 함
음송증 - 의미 없는 단어나 짧은 문장을 반복하는 것
신어조작증 . 2가지 이상의 단어를 합처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사용, 자신만의 엉뚱한 뜻을 부여해 사용하는 것

참고문헌

이경희 외. (2021). 정신건강간호학(제2판 수정판). 정문각.

핵심임상 메뉴얼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