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기본간호술] 근육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핵심기본간호술 중 3번 째인 근육주사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근육주사는 특히 부위별 장단점을 기억해두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그럼 함께 근육주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근육주사의 주사부위는 어떻게 될까요?
주사부위 | 위치 | 장점 | 단점 | 방법 |
배둔 부위 | 대두근, 둔부 4분면에서 위쪽 바깥쪽 | 근육이 커서 투여량을 충분히 흡수하며 주사 후 불편감이 적음 | 3세 이하 아동은 이 부위 근육이 발달하지 않아 사용하지 않음 | - 복위를 취하고 발끝을 내전하여 근육을 이완시킴 - 후장골극과 대전자 촉진 후 확인점 사이에 가상의 대각선 그림 |
측둔 부위 | 중둔근, 소둔근 | 신경과 혈관이 없음 지방이 적음 |
손바닥을 대전자에 놓고 시지를 전상장골극에 놓기 | |
외측광근 | 대퇴의 바깥쪽 부위로, 대퇴사두근 중 하나임 | 큰 신경과 혈관이 없음 유아나 마른 환자 가능 |
대퇴 상부의 대전자에서 한 손 아래, 무릎 한 손 위 사이에 있는 부위로 대퇴의 외측 부위에 주사함 | |
대퇴직근 | 대퇴 전면 | 유아에게 선호됨 | 대퇴 3등분 시 중간부위에 주사함 | |
삼각근 | 상완 외측 부위 | 소량의 약물(1cc) 주입 시 사용 근육주사 부위중 흡수속도가 빠름 |
유아와 아동은 근육이 발달하지 않아 사용을 금함 | 견봉돌기 5cm 아래 지점에 주사함 |
근육주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적절한 주사 부위를 선택합니다.
2) 피부 소독 후 피부를 팽팽하게 잡습니다.
3) 피부와 90도 각도로 바늘을 찌른 후 내관을 당겨 혈액이 올라오는지 확인합니다.
4) 약물을 서서히 주입하고 바늘을 재빨리 제거합니다.
5) 소독솜으로 주사부위를 부드럽게 문지릅니다.
* 주사부위 불편감 완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허용되는 한 가장 작은 게이지의 바늘을 사용합니다.
- 조직을 자극하는 약물의 경우 투여하기 전 주사바늘을 교환합니다.
- 주사 부위를 교대합니다.
- 근육을 이완하게 한 다음 주사합니다.
- 주사바늘의 삽입과 제거 시에는 머뭇거리지 않습니다.
- 주사바늘 제거 후 마사지를 실시합니다.
- 통증이 심한 대상자는 주사 전 피부에 얼음을 적용하여 통증을 완화합니다.
근육주사의 평가항목에 대해서도 알아두어야 합니다.
실기항목 | 근육주사 |
수행 난이도 | 중 |
성취목표 | - 근육주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 근육주사 약물을 정확하게 준비할 수 있다. - 근육주사 부위를 정확히 선정하여 근육주사를 수행할 수 있다. - 근육주사 수행 후 기록할 수 있다. |
관련 선행지식 | - 투약의 기본 원칙 - 무균술 - 근육주사 부위 - 근육주사 시 주의사항과 합병증 |
필요장비 및 물품 | - 근육주사용 둔부모형 - 투약카드(또는 컴퓨터 출력물) - 일회용 멸균 주사기(바늘 포함) 규격별(2~5cc) 2개씩 - 소독솜, 손소독제 - 약품(Diclofenac 4mg)라벨이 붙은 앰플 2개 (시나리오에 따라 주사부위 및 약품이 달라짐) - 투약카트 또는 쟁반(tray) - 투약기록지, 간호기록지 - 손상성폐기물 전용용기,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
수행시간 | 7분 |
근육주사 수행절차입니다.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투약처방(투약카드 또는 컴퓨터 출력물 등)과 투약원칙(5 rights; 대상자 등록번호,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여경로, 시간)을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안전하고 정확한 투약을 하기 위함이다.
3* 근육주사에 필요한 약물을 정확한 용량 및 방법으로 주사기에 준비한다.
4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5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안녕하세요? 학생간호사 OOO입니다.
6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7*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투약카드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환자: OOO입니다.)
네. 입원팔찌와 등록번호도 확인해보겠습니다.
OOO님 확인되셨습니다.
8 약물의 투여 목적과 작용 및 유의사항에 대해 설명한 다음 의문사항이 있으면 질문하도록 한다.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주사를 통해 진통제를 투여할 것입니다.
힘은 주지마시고 빼고 계시면 됩니다.
약간의 불편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신가요?
9 커튼(스크린)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해 준다.
이론적 근거: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10* 대상자의 상태와 약물 용량에 따라 적합한 주사부위를 정한 후 적절한 체위를 취하도록 하고 주사부위를 노출시킨 다음 주사부위를 선정한다.(사례에 따라 ①~④ 중 선택하여 수행)
① 둔부의 배면 부위 : 엎드려 누운 자세에서 엄지발가락을 안쪽으로 모으고 둔부를 노출시킨 다음 대전자와 후상장골극을 연결한 사선의 상외측이나 장골능에서 5cm 아래, 또는 둔부를 4등분한 상외측부위를
주사부위로 선정한다.
② 둔부의 복면 부위 : 왼쪽 측위로 누워 오른쪽 무릎을 구부린 자세에서 둔부를 노출시킨 다음 간호사는 왼손의 손바닥을 대상자의 오른쪽 대전자 위에, 집게손가락은 전상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spine)위에 올려놓고 가운데 손가락은 장골능을 따라 V자로 벌려서 주사 부위를 선정한다.
③ 대퇴 부위 : 앉거나 누운 자세에서 대퇴 부위를 노출시킨 다음 외측광근을 3등분한 가운데 부분, 또는 대퇴직근 부위를 주사 부위로 선정한다.
④ 삼각근 중앙 부위 : 앉거나 선 자세 또는 측위에서 어깨를 노출시킨 다음 상박의 외측, 견봉돌기에서 5cm 아래 부위를 주사부위로 선정한다.
이론적 근거: 자세는 주사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앙와위, 측위, 복이 또는 좌위를 취하도록 도와주되 영아나 아동은 체온유지를 위해 부모의 도움을 받는다. 적절한 체위를 취해주면 주사부위의 근육이 이완된다.
11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2 선정된 부위를 소독솜으로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직경 5~8cm 정도 둥글게 닦아낸 후 소독약이 마르면 투약카드를 보고 약을 확인한 후 한 손으로 주사기를 집어 올려 주사바늘 뚜껑을 제거한다.
이론적 근거: 피부 표면에 있는 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13* 주사바늘을 90°로 유지한 다음 주사기로 선정된 주사부위 근육을 재빨리 찌른다.
이론적 근거: 피부를 재빨리 찌르면 대상자의 불편감이 줄어든다. 주사바늘의 연결부위는 가장 잘 부러지는 부위이므로 부러졌을 경우 꺼내기 쉽도록 1~2mm 남겨둔다.
14* 피부를 잡았던 손의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주사기 하단부를 잡고, 주사기를 잡았던 손으로는 주사기의 내관을 살짝 뒤로 당겨 혈액이 나오지 않으면 주사기 내관을 당겨보던 손의 엄지손가락으로 내관을 밀어서 약물을 천천히 주입한다. (만약 주사기에 혈액이 보인다면 주사기를 빼내어 버린 다음 주사 준비를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함)
이론적 근거: 주사바늘의 혈관 관통 여부를 확인해보기 위함이다. 약물을 천천히 주사하여야 근육 내로 약물이 고루 분산되어 대상자의 불편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주사기를 잘 고정하면 주사기가 흔들리지 않아 약물투여 시 대상자의 불편감이 줄어든다.
15 약물 주입이 끝나면 소독솜으로 주사부위를 누르면서 주사바늘 삽입할 때와 같은 각도로 주사기를 재빨리
빼서 트레이에 놓고, 소독솜을 댄 채로 주사부위를 마사지 한다.
(주사바늘 제거 후 출혈이 있을 때는 주사부위를 1~2분 정도 압박한다.)
이론적 근거: 주사바늘을 천천히 뺴내면 주사바늘과 함꼐 조직이 당겨 올려지므로 불편감이 유발될 수 있다. 마사지는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약물의 분산과 흡수를 돕지만 투여된 약물이 피하조직으로 새어나갈 수 있기 때문에 주사부위를 압박하는 것이 더 권장되기도 한다.
16 소독솜을 트레이에 놓고 환의를 입힌 후 대상자의 자세를 편안하게 해준다.
17 주사 후의 기대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18 커튼(스크린)을 걷는다.
19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주사바늘은 뚜껑을 되씌우지 않은 채 손상성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리고, 사용했던
소독솜과 주사기는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20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1 수행 결과를 간호기록지, 투약기록지에 기록한다.
1) 5 rights(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약경로, 투약시간)
2) 필요시 투약목적, 대상자의 반응, 투약 사유 또는 못한 이유
근육주사 수행 후 간호기록지 작성법은 이렇습니다.
날짜 | 시간 | 간호기록 | 서명 |
7/20 | 10:00 | PCA를 눌러도 계속 아프고 잠을 잘 수 없다고 호소함. NRS 8점임. 주치의 OOO | |
에게 보고함. Valentac 1ampule IM 처방함. | SN 김OO | ||
10:10 | 약물주입의 방법, 작용과 부작용에 대해 설명함. 둔부의 복면에 Valentac 1ampu | ||
le IM 함. 통증이 감소될 것임을 설명함. | SN 김OO |
수행 후 간호기록은 매우 중요합니다. 서명란은 간호사인 경우 RN, 학생간호사는 SN으로 표기하시면 됩니다.
간호기록란에 작성 후 여백이 남게 되면 실선으로 그어서 공란을 제거하셔야 합니다.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서울: 수문사.
간호교육인증평가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재단법인: 한국간호평가원
'Nurse > 핵심기본간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기본간호술] 피내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1 |
---|---|
[핵심기본간호술] 피하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2.27 |
[핵심기본간호술] 경구투약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2) | 2021.07.21 |
[핵심기본간호술] 활력징후 측정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1.07.20 |
[핵심기본간호술] 활력징후 체온측정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0) | 2021.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