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기본간호술] 경구투약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안녕하세요. 널싱드림입니다.
활력징후에 이어서 핵심기본간호술 중 두 번째 경구투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경구투약은 난이도가 낮은 편이지만 낮을 수록 더 완벽하게 해내고 싶어집니다.
경구투약의 프로토콜과 간호기록까지 공부해보겠습니다.
경구투약의 평가항목을 살펴보겠습니다.
실기항목 | 경구투약 |
수행 난이도 | 하 |
성취목표 | - 경구투약의 기본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 - 경구투약을 준비할 수 있다. - 경구투약에 적절한 체위를 취하고 투약할 수 있다. - 경구 투약 수행 후 기록할 수 있다. |
관련 선행지식 | - 투약의 기본 원칙 - 대상자의 경구투약 가능 여부 사정방법 - 경구 투약 시 유의사항 |
필요장비 및 물품 | - 투약카드(또는 컴퓨터 출력물) - 투약 컵 또는 약 봉지 - 투약카트 또는 트레이 - 물, 물컵(필요시 빨대) - 코프시럽 약병(실제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준비) - 휴지(또는 종이타월) - 투약기록지, 간호기록지 - 손소독제 |
수행시간 | 7분 |
경구투약의 프로토콜에 대해 공부해봅시다.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투약카트에서 대상자의 약물이 들어 있는 약포지를 꺼내어 투약처방(투약카드 또는 컴퓨터 출력물 등)과
투약원칙(5 rights: 대상자 등록번호,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여경로, 시간)을 확인한다.
3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4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안녕하세요? 학생간호사 OOO입니다.
5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6*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투약카드(또는 컴퓨터 출력물)를 대
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환자: OOO입니다.)
네. 입원팔찌와 등록번호도 확인해보겠습니다.
OOO님 확인되셨습니다.
7* 약물 투여 목적과 작용 및 유의사항을 설명한 다음 약물에 대한 의문사항이 있으면 질문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개상자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가 있으며, 약물에 대한 이해는 치료의 이행을 높인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두통을 완화하기 위해 약물을 투약하도록 하겠습니다.
복용 후 가슴떨림이나 두근거림이 느껴지시면 말씀해주세요.
다른 궁금하신 점 있으신가요?
8* 앉거나 파울러씨 체위를 취하도록 하되 앉는 것이 금기라면 측위를 취하도록 돕는다.
이론적 근거: 앉은 자세는 삼키는 동안 흡인을 에방하며, 약 복용 후 30분간 앉아 있으면 약물이 위로 잘 이동된다.
9 흘리지 않도록 휴지나 타월을 대준다.
10* 구강건조로 연하곤란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침을 삼켜보거나 물을 한 모금 마셔보도록 한다.
11 알약은 한꺼번에 복용하지 말고, 한 번에 한 알씩 복용하도록 돕는다. 알약 복용 후에 물약을 복용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정제나 캡슐을 한 알씩 투역하면 삼키기 쉬워 흡인 위험이 줄어든다.
12 약물을 다 삼킬 때까지 대상자 옆에 있으면서, 약물복용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려우면 대상자에게 말을
시켜보거나 입을 벌려보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대상자가 처방된 약물을 모두 복용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약물을 대상자에게 두고 오면 약을 먹지 않고 모아서 나중에 한 번에 복용하여 건강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13 투약 후에는 대상자가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14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5 수행 결과를 간호기록지와 투약기록지에 기록한다.
1) 5 rights(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약경로, 투약시간)
2) 필요시 투약목적, 대상자의 반응, 투약 못한 이유
경구투약 수행 후 간호기록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날짜 | 시간 | 간호기록 | 서명 |
7/20 | 13:00 | 두통 호소하며 NRS 4점임. 혈압 130/80mmHg, 체온 37.1℃, 맥박 88회/분, 호흡 | |
20회/분 측정됨. | SN 김OO | ||
13:10 | PRN 처방에 따라 아세트아미노펜 1T(650mg) 경구투여함. | SN 김OO | |
13:40 | NRS 2점으로 통증이 감소되었다고 표현함. | SN 김OO |
수행 후 간호기록은 매우 중요합니다. 서명란은 간호사인 경우 RN, 학생간호사는 SN으로 표기하시면 됩니다.
간호기록란에 작성 후 여백이 남게 되면 실선으로 그어서 공란을 제거하셔야 합니다.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서울: 수문사.
간호교육인증평가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재단법인: 한국간호평가원
'Nurse > 핵심기본간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기본간호술] 피내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1 |
---|---|
[핵심기본간호술] 피하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2.27 |
[핵심기본간호술] 근육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1) | 2021.07.23 |
[핵심기본간호술] 활력징후 측정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1.07.20 |
[핵심기본간호술] 활력징후 체온측정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0) | 2021.07.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