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핵심기본간호술] 활력징후 측정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널스드림 발행일 : 2021-07-2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핵심기본간호술 중 가장 첫번 째인 활력징후 측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활력징후에 대한 전반적인 절차 함께 중요한 부분도 함께 공부해보곘습니다.

그리고 간호기록까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활력징후 측정의 평가항목은 이렇게 되어있어요.
실기항목 활력징후 측정
수행 난이도
성취목표 -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측정결과를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관련 선행지식 -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의 의미와 정상범위
- 체온, 맥박, 호흡, 혈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필요장비 및 물품 - 초침이 있는 시계
- 전자 체온계/고막 체온계(1회용 탐침 덮개)
- 아네로이드 혈압계
- 청진기(교육용 청진기 준비)
- 소독솜
- 손소독제, 간호기록지, 쟁반(tray)
수행시간 10분

 

 

활력징후 측정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고, 작동여부를 확인한다(청진기, 체온계, 혈압계).
3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안녕하세요? 학생간호사 OOO입니다.

4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5*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또는 처방지)를 대조
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환자: OOO입니다.)
네. 입원팔찌와 등록번호도 확인해보겠습니다.
OOO님 확인되셨습니다.

6 대상자에게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측정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팔

체온, 맥박, 호흡, 혈압을 측정하여 현재 상태가 어떠한지 확인해보겠습니다.

7* 전자체온계를 꺼내어 끝부분을 소독솜으로 닦은 후 겨드랑이 중앙에 삽입하여 체온계가 빠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8 대상자에게 체온이 측정(체온계 화면에 나타난 글자가 더 이상 깜박이지 않거나 “삐~” 소리 등 해당 전자
체온계의 작동방법 적용)될 때까지 체온계가 유지되도록 설명한다.

체온계가 유지되도록 팔을 반대편 어깨를 잡아주시겠습니까?

9 대상자의 팔을 편한 자세로 놓고, 대상자의 이불을 내려 가슴이 보이도록 한다.
10* 손가락으로 요골동맥을 찾아서 그 위에 놓고, 맥박 부위를 확인한 후, 맥박을 측정한다.
[처음 입원 시] 1분간 맥박수를 측정한다.
[입원 중 규칙적임을 확인한 후] 30초 동안 맥박수를 측정한 후 2배를 한다.
11 맥박을 측정한 후 동맥에 손을 그대로 댄 채로 호흡을 측정한다.
[처음 입원 시] 1분간 호흡수를 측정한다.
[입원 중] 30초 동안 호흡수를 측정한 후 2배를 한다.
12 체온이 측정되면 체온계를 빼고, 소독솜으로 닦은 후 체온계의 전원을 끄고 용기에 넣는다.
13 측정된 맥박과 호흡, 체온을 메모한다.

14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게 한 후, 대상자의 팔을 심장과 같은 높이로 놓고 팔을 노출시킨다.
15* 팔오금 상완동맥 2-3Cm위에 커프의 bulb에 연결된 줄이 상완동맥과 평행이 되게 놓이도록 하고 손가락
하나가 들어갈 정도의 여유를 주고 감는다.
16* 손가락으로 상완동맥을 찾아 그 위에 청진기를 대고, 움직이지 않게 손으로 고정한다.
※ 참고) 처음(initial) 혈압측정인 경우 다음의 사항을 15번 후에 먼저 시행한다.
1) 한 손으로 혈압계의 조절 밸브를 잠그고 압력 밸브를 눌러 커프에 공기를 넣고, 다른 손의 손가락을
상완동맥 또는 요골동맥 위에 올려놓는다.
2) 상완동맥 또는 요골동맥을 촉지 하여 맥박이 소실되는 지점에서 혈압계의 눈금을 30mmHg 정도 더
올린다.
3) 조절 밸브를 천천히 열어 눈금을 1초에 2mmHg의 속도로 내리면서 상완동맥이나 요골동맥에서의
맥박이 다시 촉지 되는 지점의 눈금을 읽어서 기억한다.
4) 커프의 공기를 완전히 뺀 후 최소한 15초 동안 기다린다.

17* 혈압계의 조절 밸브를 잠그고 압력 bulb를 눌러 혈압계의 눈금이 160-200mmHg까지 올라가게 공기를
넣는다.
※ 처음(initial) 측정인 경우, 다음의 사항을 시행한다. 혈압계의 조절 밸브를 잠그고 압력 bulb를 눌러
혈압계의 눈금이 상완동맥이나 요골동맥에서의 맥박이 다시 촉지 되었던 지점의 눈금을 기억하여 눈금
보다 30mmHg 더 올라가게 혈압계의 눈금을 올린다.
18* 조절 밸브를 천천히 열어 1초에 2mmHg씩 눈금을 내리면서 처음 소리가 들리는 지점의 눈금을 읽어서
기억한다.
19* 조절 밸브를 천천히 열어 차츰 커프에서 공기를 빼면서 소리가 없어지는 지점의 눈금을 읽어서 기억한다.
20 조절 밸브를 완전히 열어 커프에서 공기를 완전히 뺀 후 커프를 풀어, 혈압계를 정리한다.
21 대상자의 환의를 정리한다.
22 측정한 혈압을 메모한다.
23 청진기의 귀꽂이(ear piece)와 판막(diaphragm)을 소독솜으로 닦는다.
24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5 간호기록지에 호흡, 체온, 맥박, 혈압측정치를 기록한다.


활력징후 측정의 간호기록에 대해 알아봅시다.

 

날짜 시간 간호기록 서명
7/20 15:00 "춥고 떨리며 어지럽고 머리가 심하게 아파요."라고 함. 혈압: 160/100mmHg,  
    맥박: 88회/분, 체온: 37.2℃, 주치의 김OO에게 측정결과 알림. ------------------------- SN 김OO

수행 후 간호기록은 매우 중요합니다. 서명란은 간호사인 경우 RN, 학생간호사는 SN으로 표기하시면 됩니다.

간호기록란에 작성 후 여백이 남게 되면 실선으로 그어서 공란을 제거하셔야 합니다.

728x90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서울: 수문사.

간호교육인증평가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재단법인: 한국간호평가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