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기본간호술] 유치도뇨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이번에 정리한 핵심기본간호술은 단순도뇨에 이어서 조금 더 어려운 난이도인 유치도뇨입니다. 유치도뇨는 개인적으로도 실제 실습 시간 때 어려운 항목 중 하나라고 기억이 납니다. 단순도뇨보다도 임상에서 더 많이 시행하고 꼭 기억해야 할 술기 중 하나입니다. 앞서 단순도뇨를 많이 시행한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유치도뇨 술기가 주된 임상에서의 술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좀 더 다양한 목적을 지니고 절차가 까다로운 유치도뇨에 대해 함께 정리한 내용들로 공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도뇨에 대해서는 이미 단순도뇨 술기항목에 간단하게 정리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도뇨 환자의 감염 예방법
- 적절한 손씻기와 방법을 따릅니다.
- 오염된 표면에 배액주머니 마개가 닿지 않도록 유의합니다.
- 검사물을 얻거나 소변량을 측정하기 위해 연결 부위에서 배액체계를 열지 않습니다.
- 배액관이 분리됐을 때 도뇨관이나 배액관의 끝을 손으로 만지지 않습니다. 다시 연결하기 전에 방부용액으로 관의 끝을 닦아줍니다.
- 교차감염을 막기 위해 소변측정 용기를 각자 사용합니다.
- 소변이 고이거나 방광으로 소변이 역류되지 않도록 합니다.
- 방광의 높이 위로 배액주머니를 올리지 않습니다.
유치도뇨 목적
- 소변 배출 통로가 폐쇄된 경우 소변을 배출시킵니다.
- 지속적인 소변 배출을 하기 위함입니다.
- 시간당 소변 배설량을 측정하기 위함입니다.
- 요실금 대상자의 피부 손상을 예방합니다.
- 약물주입이나 지속적이거나 간헐적인 방광세척을 하기 위함입니다.
- 수술 대상자의 방광 손상을 예방하고 수술 부위의 오염을 막습니다.
- 혈괴로 인한 요도 폐쇄를 예방합니다.
유치도뇨 평가항목 (수행시간: 15분)
성취 목표
1. 유치도뇨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유치도뇨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3. 유치도뇨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유치도뇨 수행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습니다.
관련 선행지식
무균술, 요도와 방광의 해부생리 및 기능, 유치도뇨의 목적과 적응증
필요장비 및 물품
유치도뇨 세트(종지 3개, Forcep, 겸자(kelly), 공포), 유치도뇨관(14~18Fr), 멸균장갑, 10mL 멸균 주사기, 소독솜, 멸균증류수, 이동감자, 윤활제, 반창고, 홑이불, 쟁반(Tray), 곡반, 방수포, Urine Bag(소변 수집 주머니), 도뇨 모형, 손소독제, 간 호기록지, 커텐
유치도뇨 프로토콜 및 수행항목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유치도뇨세트를 쟁반(tray) 위에 놓고 무균적으로 편다.
(이론적 근거: 멸균 상태를 유지하여 미생물의 전파를 막기 위함이다.)
4. 도뇨세트의 종지에 소독솜을 넣고, 멸균 윤활제를 세트 내에 짜 넣는다.
5. 나머지 종지 속에 멸균 증류수와 멸균 주사기를 무균적으로 넣는다.
6. 적당한 크기의 도뇨관을 무균적으로 세트 속에 넣은 후 세트를 무균적으로 싼다.
(이론적 근거: 남자 7~8Fr / 여자 6~7Fr 카테터의 크기에 따라 요도를 팽창시키거나 상처의 위험성이 있다.)
7.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안녕하세요? 학생간호사 OOO입니다.
8.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9.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또는 처방지)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환자: OOO입니다.)
네. 입원팔찌와 등록번호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OOO님 확인되셨습니다.
10. 대상자에게 유치도뇨를 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환자분께서 내일 수술 일정이 잡혀 있어서 수술하기 전 소변을 배설하고 수집하기 위한 도뇨를 실시하겠습니다.
11. 커튼(스크린)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해 주고, 똑바로 눕도록 한 후 침구(이불 또는 홑이불)를 덮어준다.
(이론적 근거: 회음부를 노출하게 되므로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해야 하기 위함이다.)
12. 방수포(또는 고무포와 반홑이불)를 대상자 둔부 밑에 깐다.
(이론적 근거: 도뇨관 삽입으로 인하여 분비물이 환자 침상과 이불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13. 12. 대상자의 하의를 벗기고 무릎을 굽힌 후 60cm가량 다리를 벌려 배횡와위(dorsal recumbent position)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참고: 남자는 앙와위(똑바로 눕게 한 자세)를 유지하고 회음부만 노출시킨다.)
(이론적 근거: 오염을 최소화하고 대상자의 안정적인 자세로 이완을 증신시키며 도뇨관을 삽입할 회음부의 구조가 잘 보이기 위함이다.)
14. 복부 위로 침구(또는 홑이불) 끝을 접어 올려서 회음부를 노출시키고 대상자에게 다리를 움직이지 말라고 설명한다.
15. 세트가 있는 쟁반(tray)과 곡반을 대상자 다리 사이에 놓고 준비한 세트를 연다.
(이론적 근거: 멸균 영역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16.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7. 멸균장갑을 무균적으로 착용한다.
18. 멸균장갑 낀 손이 오염되지 않게 외음부의 노출된 부위를 공포(hole towel)로 덮어 준다.
19. 주사기에 도뇨관에 표시된 정확한 양의 증류수를 준비한다.
20. 도뇨관의 풍선주입구(balloon lumen)에 주사기에 있는 증류수를 주입하여 도뇨관 풍선의 팽창 여부를 확인하고, 다시 주사기 속으로 빼낸다.
(이론적 근거: 도뇨관이 방광에 정확히 위치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정상적으로 부풀지 않으면 도뇨관이 방광에 위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21. 도뇨관 끝(5cm)에 윤활제를 바르고, 소독솜으로 외음부 주위를 닦을 때 찬 느낌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도뇨관을 삽입하기 전 미리 대상자에게 설명함으로 불쾌감을 완화시킨다.)
22. 도뇨관의 소변이 흘러나오는 출구를 겸자로 잠근다.
(이론적 근거: 소변이 흘러나와 세트가 오염되는 것을 미리 방지한다.)
23. 소독솜으로 외음부 주위를 닦는다.(한 번 닦을 때마다 새 솜을 사용하고 닦은 솜은 세트바깥 포에 놓는다)
(이론적 근거: 닦은 소독솜은 이미 멸균 상태가 아니므로 멸균 영역에 놓을 필요성이 없어진다.)
24. 한 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순을 벌려서 요도를 노출시킨다.
25. 다른 손으로 양편 대음순을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
26. 양편 소음순을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
27. 요도를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
28. 도뇨관을 삽입할 때까지 음순을 한 손으로 벌리고 있는다.
(이론적 근거: 요도구를 잡고 있던 손을 다시 놓았다 잡게 되면 소음순이나 회음부가 다시 닿게 되어 오염을 초래한다.)
참고) 남자인 경우
1) 한 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경을 잡고 포피를 잡아당긴다.
2) 요도를 소독솜으로 닦고 버린다.
3) 요도구 바깥쪽으로 둥글게 닦고 버린다.
29. 도뇨관을 삽입함을 대상자에게 설명하고 긴장을 풀도록 유도한다.
(이론적 근거: 회음부로 도뇨관이 삽입될 것을 미리 설명하고 "~아 하세요."라는 등의 설명으로 긴장을 완화시킨다.)
30. 다른 손으로 도뇨관이 오염되지 않게 겸자와 함께 삽입부위로 부터 8cm가량 되는 곳을 잘 감아쥐고 요도 후상방으로 5~8cm 삽입한다.(남자: 12~18cm)
(이론적 근거: 여성과 남성의 요도 길이는 차이가 있으며 여성의 요도 길이는 약 3.7~6.3cm이다.)
31. 카테터 끝을 곡반에 대고 잠가둔 겸자를 풀어 소변이 나오는지 확인한다.
32. 소변이 흘러나오면 다시 겸자를 잠그고 도뇨관을 2~4cm가량 더 삽입한 후 음순을 벌리고 있던 손을 뗀다.
33. 도뇨관의 풍선 주입구(balloon lumen)에 연결된 주사기에 들어 있는 증류수를 주입한 후 주사기를 제거한다.
(이론적 근거: 풍선이 잘 부풀어져야 방광 내에 고정할 수 있으며 도뇨관이 다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34. 도뇨관을 부드럽게 잡아당겨 카테터가 안전하게 방광 안에 있는지 확인한다.
35. 공포(hole towel)를 치우고 장갑을 벗는다.
36.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37. 소변주머니 하단의 조절기(clamp)가 잠겨 있는지 확인한 후 소변 수집 주머니를 도뇨관과 연결한다.
38. 도뇨관의 소변 나오는 출구를 잠가 두었던 겸자를 제거한 후 도뇨관을 반창고로 대퇴에 고정시킨다. (남자는 하복부)
(이론적 근거: 소변배액을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39. 소변 수집 주머니 상단의 조절기(clamp)가 열려있어 소변이 잘 나오는지 확인하고, 소변수집주머니를 침상아래 부분에 고정하되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40. 대상자에게 현재의 체위와 삽입한 도뇨관이 편안한지를 묻고 소변 수집 주머니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41.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42.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43. 수행 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시간과 날짜
2) 유치도뇨를 시행한 이유
3) 사용한 도뇨관의 크기 및 종류(유형)
4) 소변의 배출 여부와 양, 색깔 등
유치도뇨 수행 후 간호기록
날짜 | 시간 | 간호기록 | 서명 |
03.03 | 10:00 | 환자 수술 전 I/O Check 위해 16Fr 2way foley cath. 삽입함. Urine Bag으로 연한 노란색 소변색이 관찰되었음. Urine Bag이 꼬이거나 눌리지 않도록과격한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하복부 이래와 침상에 고정하고 있어야 함을 교육하였음. | SN 김OO |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서울: 수문사.
간호교육인증평가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재단법인: 한국간호평가원
'Nurse > 핵심기본간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기본간호술] 수술 전 간호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4 |
---|---|
[핵심기본간호술] 배출관장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1) | 2023.03.04 |
[핵심기본간호술] 단순도뇨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3 |
[핵심기본간호술] 간헐적 위관영양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2 |
[핵심기본간호술] 수혈요법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