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핵심기본간호술] 간헐적 위관영양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널스드림 발행일 : 2023-03-02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학생 간호사 실기항목 중 대체적으로 쉽다고 여겼던 술기였던 간헐적 위관영양에 대해서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제가 정리한 실기항목들과 더불어 위관영양에는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고 임상에서도 자주 실시하는 실기항목입니다. 간헐적 위관영양의 목적은 어떻게 되고 프로토콜과 마지막으로 간호기록에 대해서도 어떻게 작성하는지 한 번 같이 공부해 봅시다.

 

위관영양

위관영양은 위관을 통하여 위 내에 영양물을 직접 공급하는 방법으로, 무의식 또는 반무의식 상태, 연하곤란, 구강수술 등의 경우 적용하고 실시합니다.

 

위관영양 목적

충분한 양의 음식과 수분을 섭취할 수 없을 때 위관을 사용하여 적절하게 영양을 공급하기 위함입니다.

 

위관영양 유형

 · 간헐적 집중식 영양공급

1분의 50~100ml 정도의 속도로 250~400ml의 유동식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하루에 4~6회 제공합니다.

 · 간헐적 점적식 영양공급

250~400ml의 유동식을 하루에 4~6회 주입하되 점적식으로 주입시간이 30분~1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 지속적 점적식 영양공급

처방된 유동식을 8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주는 것으로 보통 작은 내관을 가진 튜브를 사용합니다.

 · 경피적 위루관을 이용한 영양공급

구강섭취가 불가능하거나 위장관 기능이 정상인 경우, 장기간(6주 이상) 위관영양이 필요한 경우에 경피적 위루관을 통해 유동식을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728x90
반응형

간헐적 위관영양 평가항목 (수행시간: 10분)

성취 목표

1. 간헐적 위관영양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간헐적 위관영양액과 물품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3. 간헐적 위관영양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간헐적 위관영양 수행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습니다.

 

관련 선행지식

내과적 무균술, 위관영양의 적응증, 위관영양 시 영양액 투여 시 주의사항, 위관영양 부작용의 종류와 간호

 

필요장비 및 물품

처방된 위관 영양액, 관장용 주사기(50ml), 영양액 주입 용기와 세트, 물, 쟁반(Tray), 곡반, 위 모형이 있는 인형, 손소독제, 간호기록지

간헐적 위관영양 프로토콜 및 수행항목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처방된 위관영양액을 포함하여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처방된 위관영양액을 체온 정도의 온도로 데운다.

(이론적 근거: 뜨거운 온도는 위장관에 자극이 갈 수 있고, 너무 찬 온도는 소화액 분비를 감소시켜 경련을 초래하거나 불쾌감을 줄 수 있다.)

 

4.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안녕하세요? 학생간호사 OOO입니다.

5.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6.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투약카드(또는 컴퓨터 출력물)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환자: OOO입니다.)
네. 입원팔찌와 등록번호도 확인해보겠습니다.
OOO님 확인되셨습니다.

7. 대상자에게 위관영양을 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현재 입으로 음식 섭취가 불가능한 상태이므로 영양균형을 위해 위관을 통하여 음식 섭취를 도와드리겠습니다.

8. 금기가 아닌 경우 대상자를 30~45° 정도 앉은 자세를 취하게 한다.(일어나지 못하면 오른쪽으로 눕힌다)

(이론적 근거: 영양액을 주입하거나 주입된 영양액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만약 역류할 경우 구토를 유발하고 기도 흡인의 위험성이 있다.)

 

9.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0. 대상자의 옷에 고정되어 있는 위관을 풀고, 꺾은 후 마개를 빼고 위관에 소량의 공기가 든 주사기를 연결한다. 

11. 꺾어 쥔 위관을 풀고 위관을 위벽에서 분리하기 위해 공기를 주입한 후 주사기로 위 내용물을 흡인하고, 내용물이 소화액인 경우에는 위로 다시 주입한다. 
※ 참고) 흡인해 낸 위 내용물이 200~250mL 미만이면 위로 다시 주입하고, 250mL 이상으로 소화가 안 된 채 나오면 영양공급을 하지 않고 의사에게 알린다. 

(이론적 근거: 소화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영양액을 주입하게 될 시 오심과 구토를 유발하고, 위장 안에 음식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주입하게 될 경우 역류로 인하여 폐 흡인 유발 가능성이 있다.)

12. 위관을 꺾어서 쥐고 주사기를 분리하고 위관 마개를 막는다.

(이론적 근거: 공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13. 처방된 위관영양액을 담은 용기를 주입세트와 연결한 다음 공기를 끝부분까지 제거하고 폴대에 건다.

14. 주사기 내관을 제거한 뒤 위관을 꺾어 쥔 후 위관 마개를 열고 위관에 주사기를 연결한다. 

15. 실온의 물 15~30mL 정도를 주사기에 붓고 꺾어 쥔 위관을 풀어 천천히 주입하다가 주사기 끝에 물이 도달했을 때 다시 위관을 꺾어 쥐고 주사기를 제거한다.

(이론적 근거: 관의 막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16. 폴대에 걸어둔 처방된 위관영양액 용기를 위관에 연결한 후 꺾어 쥔 위관을 풀고 용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 참고) 1분에 50mL 이하의 속도로 주입

(이론적 근거: 간헐적 주입의 경우 주입시간은 30~60분 간 걸쳐 중력에 의해 천천히 주입한다. 영양액이 너무 빠르게 주입될 경우 복부 경련, 역류성 구토를 유발한다.)

17. 처방된 위관영양액을 모두 주입하여 용기 끝에 용액이 도달했을 때 위관을 꺾어 쥔 후 용기를 제거한다.

18. 내관을 뺀 주사기를 위관에 연결하고 실온의 물 30~60mL를 주사기에 부어 위관을 씻어준다.

19. 물이 위관으로 다 주입되기 직전에 위관을 꺾어 쥔 후 주사기를 빼고 위관 마개를 막은 후 위관을 다시 제자리에 고정한다. 

20. 대상자에게 구토를 예방하기 위해 앉아 있어야 함을 설명하고 현재의 자세(30~45° 앉은 자세)를 30분 이상 유지하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주입액의 흡수를 도와주며, 좌위가 안 될 경우 상체를 약간 높인 우측위를 취해준다.)

21.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22.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3.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날짜 및 시간 
2) 용액의 양과 형태, 주입시간 
3) 대상자의 반응 
4) 대상자의 팽만감이나 구토증
5) 대상자의 자세

간헐적 위관영양 수행 후 간호기록

날짜 시간 간호기록 서명
03.02 10:00 위관 영양액 주입 전 위관 흡인으로 관의 위치를 확인하였음. 위 잔류량 30ml 확인되었음. 처방된 영양액 250ml를 L-tube를 통해 간헐적 점적식으로 연결하여 주입속도 100gtt/min으로 조절하였음. SN 김OO
  10:10 사정 시 불편감, 복부 팽만, 오심, 구토, 청색증 등 이상 증상은 없었음. SN 김OO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서울: 수문사.

간호교육인증평가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재단법인: 한국간호평가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