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기본간호술] 정맥수액 주입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학부 시절 기본간호학 실습 시험과 졸업 실기고사로 가장 어렵게 느껴졌던 것과 실제 임상에서도 신규 간호사 선생님을 비롯하여 경력 간호사 선생님들도 어려워하거나 실패할 수도 있는 실기 항목이 정맥주사입니다. 특히, 응급실 부서라면 환자가 내원하게 되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정맥으로 주입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난이도도 어려운 편이며 임상에서도 가장 많이 하고 기본 술기라고 할 수 있는 정맥수액주입에 대하여 정리해봤습니다.
정맥주사란?
정맥주사는 정맥 내로 약물을 투약하는 방법입니다. 이는 투약 중 가장 신속한 효과를 가져오며 금식 환자, 무의식 환자, 수술 환자, 탈수 환자에게 필수적인 간호로 정맥을 통해 수액, 영양제, 혈액 등을 주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맥주사와 같은 절차를 하여 채혈을 하여 진단적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정맥주사는 효과가 즉시 나타나므로 특히 약물 사고에 유의해야 합니다. 또한 무균술이 지켜져야 하며 투약 중 수시로 관찰하여 약물이 정맥이 아닌 곳으로 유출되거나 주입되지 않도록 확인하고 주의해야 합니다.
정맥주사 목적
- 신체에 수분과 전해질, 영양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 산 · 염기 균형을 맞춥니다.
- 약물을 희석해서 서서히 주입하기 위함입니다.
- 약물의 혈중농도를 짧은 시간 내에 높여 빠른 효과를 얻고 완전히 흡수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계속적인 정맥 내 주입으로 약물의 치료적 혈중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합니다.
- 한 번의 정맥 천자로 맣은 용량의 약물을 투여하기 위헙입니다.
정맥주사 주사부위
정맥수액주입 평가항목 (수행시간: 10분)
성취 목표
1. 수액주입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수액과 정맥주입 기구와 약물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3. 혈관 카데터 삽입(정맥천자)과 수액연결, 수액주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정맥 수액 주입 용량과 속도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5. 정맥 수액 주입 후 기록할 수 있습니다.
관련 선행지식
투약의 기본원칙, 무균술, 말초정맥주사 주사 부위, 수액용량계산 및 수액주입속도조절, 말초정맥 수액 종류와 부작용
필요장비 및 물품
5% Dextrose Water 500mL(수액백), 수액 세트, 22~24G 혈관 카테터, 지혈대(토니켓), 소독솜, 수억 걸대(폴대), 곡반, 투명 필름 드레싱(또는 고정용 반창고), 5% DW 500mL IV라고 쓰여진 약 카드, 정맥주사 팔 모형, 투약카트 또는 쟁반, 투약 기록지, 손소독제, 손상성 폐기물 전용용기,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수액백 부착용 라벨
정맥수액 주입 프로토콜 및 수행항목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투약처방(투약카드 또는 컴퓨터 출력물 등)과 투약원칙(5 rights: 대상자 등록번호, 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여경로, 시간)을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안전하고 정확한 용량으로 투여하고자 하는 환자에게 정확하게 투여하기 위함이다.)
3. 투약 처방을 보고 수액의 유효일자, 이물질 유무 등을 확인한 후, 정확한 수액, 수액주입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이론적 근거: 처방에 따라 투약원칙을 지키고 정확한 약물을 정확한 대상자에게 투여하기 전 재확인하기 위함이다.)
4. 수액백에 날짜, 등록번호, 대상자 이름, 수액명, 용량, 주입속도 등이 적혀 있는 라벨을 붙인다.
(이론적 근거: 처방과 대상자를 확인 했어도 대상자에게 주입될 수액백을 처치할 때 다시 한 번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하기 위함이다.)
5. 수액과 수액세트를 연결한다.
1) 수액백의 고무마개를 소독솜으로 닦은 후 수액세트를 꽂아 점적통의 1/2 정도를 수액으로 채운다.
(이론적 근거: 수액백 고무마개의 미생물이 수액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수액이 점적통으로 흘러 들어가게 함으로써 공기가 수액튜브 안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2) 수액백을 높이 들어 올리거나 수액걸대에 걸고 수액을 통과시켜 튜브의 공기를 빼낸 다음 조절기를 잠근다.
(이론적 근거: 공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공기색전과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6.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7.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안녕하세요? 학생간호사 OOO입니다.
8.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9.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투약카드(또는 컴퓨터 출력물)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환자: OOO입니다.)
네. 입원팔찌와 등록번호도 확인해보겠습니다.
OOO님 확인되셨습니다.
10. 투약의 목적과 약물의 효과, 주의사항, 방법을 설명한다.
현재 혈당 수치가 100mg/dL 이하로 측정되어서 혈당 수치를 올리고 포도당 성분이 들어간 약물을 주사를 통해 주입하기 위해 주사를 놓아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1. 침상 옆의 수액 걸대에 수액백을 걸고 수액세트의 끝을 대상자에게 주사할 부위 가까이에 둔다.
(이론적 근거: 수액백을 수액 걸대에 미리 걸어둠으로 수행을 하는데 동선을 최소화하고 줄이기 위함이다.)
12. 대상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고 팔을 심장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한 다음 정맥의 상태를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주사로 인한 대상자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혈류의 속도와 귀환과 연관이 있으므로 팔을 심장보다 낮게 위치한 자세를 유지한다.)
13. 정맥 상태가 양호한 부위 보다 12~15cm 위쪽을 지혈대로 묶어 삽입할 카테터의 길이보다 정맥이 곧고 길게 두드러진 부위를 주사부위로 선정한다.
(이론적 근거: 지혈대를 묶음으로 정맥을 울혈시켜 혈관을 더 쉽게 보고 촉지하는데 용이하다.)
14.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5. 천자할 정맥을 정하고 나면 소독솜으로 주사부위를 안에서 밖으로 5-8cm 정도 둥글게 닦는다.
16. 정맥 천자할 부위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2-3cm 떨어진 부분의 피부를 한손 엄지손가락으로 팽팽히 잡아당긴 다음 다른 손으로 카테터의 사면이 위로 오도록 잡고 15°~30°로 혈류 방향을 따라 카테터를 정맥 내로 삽입한다.
(이론적 근거: 30°를 넘는 주사바늘 각도는 정맥을 지나 다른 조직으로 삽입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15~30°를 유지한다.)
17. 카테터 내로 혈액이 역류되면 카테터의 중심부를 잡고 카테터의 삽입각도를 약간 낮추면서 카테터를 혈관으로 진입시키면서 카테터 길이만큼 탐침을 조금씩 빼낸다.
(이론적 근거: 혈액이 역류되었다는 것은 바늘이 혈관에 삽입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고, 삽입각도를 낮추는 것은 혈관벽의 천공의 위험성을 낮춘다.)
18. 카테터가 완전히 삽입된 후 카테터를 잡지 않은 손으로 지혈대를 푼다.
19. 한 손으로 혈관 내로 삽입된 카테터의 끝 부위를 눌러주면서 다른 손으로 탐침을 재빨리 제거한다.
(이론적 근거: 혈액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20. 탐침을 제거한 후 바로 수액세트의 튜브를 카테터의 중심부와 연결하여 혈액이 카테터를 통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21. 한 손으로 카테터 삽입 부분을 고정하듯 잡으면서 다른 손으로는 수액세트의 조절기를 풀어 수액 주입여부와 정맥천자 부위에 부종, 통증 등의 침윤 증상이 있는지 관찰한다.
(이론적 근거: 부종, 통증, 침윤 증상은 카테터가 정맥 내에 위치하고 있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카테터를 제거하고 주사부위를 다시 소독솜과 고정용 테이프로 막아 준 다음 다른 부위에 정맥수액 주입을 실시한다.)
22. 카테터에서 손을 떼어도 카테터 삽입부분이 꺾이지 않도록 수액 주입관을 안정적 위치에 놓은 후 반창고나 투명드레싱으로 카테터 삽입부위를 고정한다.
(이론적 근거: 수액 주입관을 안전하게 고정하지 않으면 대상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수액 주입이 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주입되기 위하여 고정용 테이프 혹은 반창고로 고정시킨다.)
23. 처방에 따라 주입하는 수액의 속도를 조절한다
24. 고정용 반창고나 드레싱에 카테터 삽입 날짜와 시간, 카테터의 크기를 기입한다.
(이론적 근거: 주사부위는 72~96시간(병원마다 기준이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3일)마다 변경해야 하며, 카테터의 크기에 따라 주입되는 수액제제가 다르다.)
25. 대상자가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돕는다.
26.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주사바늘은 뚜껑을 되씌우지 않은 채 손상성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리고, 사용했던 소독솜과 주사기는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27.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8. 수행 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5 rights(대상자명, 약명, 용량, 투약경로, 투약시간)
2) 필요시 투약목적, 대상자의 반응, 투약 못한 이유
정맥수액 주입 수행 후 간호기록
날짜 | 시간 | 간호기록 | 서명 |
03.01 | 10:00 | 오른쪽 전박에 22G Catheter insert 후 5% Dextrose Water 500mL IV Start 함. | SN 김OO |
10:10 | 카테터 삽입된 주사부위 확인 결과 발적, 부족, 통증 호소는 없었음. | SN 김OO |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서울: 수문사.
간호교육인증평가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재단법인: 한국간호평가원
'Nurse > 핵심기본간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기본간호술] 간헐적 위관영양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2 |
---|---|
[핵심기본간호술] 수혈요법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2 |
[핵심기본간호술] 피내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1 |
[핵심기본간호술] 피하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2.27 |
[핵심기본간호술] 근육주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1) | 2021.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