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핵심기본간호술] 단순도뇨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널스드림 발행일 : 2023-03-03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이번에 정리한 핵심기본간호술은 단순도뇨입니다. 임상에서는 주로 "Foley~해주세요, Foley 세트 준비해 주세요."라고 합니다. 환자가 수술하기 전이나 소변 배출이 어려운 환자의 방광 팽만을 완화하고 무균적으로 소변 검체를 수집할 수 있는 것이 단순도뇨입니다. 임상에서도 정말 자주 시행하는 술기이므로 학생 간호사 실습시간에 더 자주 해보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실제 실기 시험으로도 자주 출제되어 프로토콜과 술기 연습을 숙지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임상 어느 부서에서든 자주 시행하는 단순도뇨에 대해 함께 공부해 봅시다.

 

단순도뇨

도뇨란, 방광으로부터 소변을 ㄹ배출하거나 방광 내에 용액을 점적할 목적으로 도뇨관을 삽입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대상자의 방광은 다양한 치료적 혹은 진단적 목적으로 도뇨관이 삽입되는 장기로서, 방광의 내부는 무균적이며, 요로를 통해 신장으로 직접 연결되는 부위입니다. 도뇨관을 지닌 환자의 경우 비뇨기계 감염이 흔히 관찰될 수 있으며, 심지어 단 한 번의 도뇨관 삽입으로도 요로나 방광의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방광의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순도뇨 목적

  • 방광팽만을 즉시 완화하기 위함입니다.
  • 무균적으로 소변 검체를 수집합니다.
  • 배뇨 후 잔뇨량을 측정하기 위함입니다.
  • 방광세척이나 약물을 주입하기 위함입니다.

방광세척

방광세척은 액체를 이용하여 방광을 세척하거나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입니다.

- 개방체계: 세척 주사기의 끝을 집어넣기 위해 유치카테터를 배액관으로부터 분리시킵니다. 이 체계는 감염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 폐쇄체계: 배액관으로부터 카테터를 분리시키지 않고 세척합니다. 내관이 3개인 도뇨관을 이용합니다.

- 지속적 세척: 수일간 카테터 내로 중력을 이용하여 세척액을 주입합니다. 전립선 수술이나 기타 비뇨기계 수술 후 적용합니다.

728x90
반응형

단순도뇨 평가항목 (수행시간: 10분)

성취 목표

1. 단순도뇨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단순도뇨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3. 단순도뇨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단순도뇨 수행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습니다.

관련 선행지식

무균술, 요도와 방광의 해부생리 및 기능, 단순도뇨의 목적과 적응증

필요장비 및 물품

도뇨세트(Forcep, 마른 거즈, 종지, 공포), 단순 도뇨관(5~10#, 각 2개), 멸균장갑, 1회용 장갑, 거즈, 소독솜, 이동감자, 윤활제, 쟁반(Tray), 방수포, 소변기, 도뇨 모형, 손소독제, 간호 기록지

단순도뇨 프로토콜 및 수행항목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도뇨세트를 쟁반(tray) 위에 놓고 무균적으로 편다.

(이론적 근거: 멸균 상태를 유지하여 미생물의 전파를 막기 위함이다.)

4. 도뇨세트의 종지에 소독솜을 넣고, 멸균 윤활제를 세트 내에 짜 넣는다.

5. 적당한 크기의 도뇨관을 무균적으로 세트 속에 넣은 후 세트를 무균적으로 싼다.

(이론적 근거: 남자 7~8Fr / 여자 6~7Fr 카테터의 크기에 따라 요도를 팽창시키거나 상처의 위험성이 있다.)

6.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안녕하세요? 학생간호사 OOO입니다.

7.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8.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또는 처방지)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환자: OOO입니다.)
네. 입원팔찌와 등록번호도 확인해보겠습니다.
OOO님 확인되셨습니다.

9. 대상자에게 단순도뇨를 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현재 소변을 3일 이상 못 보셔서 도뇨관을 삽입하여 소변이 나오도록 하겠습니다.

10. 커튼(스크린)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해 주고, 똑바로 눕도록 한 후 침구(이불 또는 홑이불)를 덮어준다.

(이론적 근거: 회음부를 노출하게 되므로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해야 하기 위함이다.)

11. 방수포(또는 고무포와 반홑이불)를 대상자 둔부 밑에 깐다.

(이론적 근거: 도뇨관 삽입으로 인하여 분비물이 환자 침상과 이불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12. 대상자의 하의를 벗기고 무릎을 굽힌 후 60cm가량 다리를 벌려 배횡와위(dorsal recumbent position)를 취하도록 도와준다. (참고: 남자는 앙와위(똑바로 눕게 한 자세)를 유지하고 회음부만 노출시킨다.)

(이론적 근거: 오염을 최소화하고 대상자의 안정적인 자세로 이완을 증신시키며 도뇨관을 삽입할 회음부의 구조가 잘 보이기 위함이다.)

13. 복부 위로 침구(또는 홑이불) 끝을 접어 올려서 회음부를 노출시키고 대상자에게 다리를 움직이지 말라고 설명한다.

14. 세트가 있는 쟁반(tray)과 곡반을 대상자 다리 사이에 놓고 준비한 세트를 연다. 

(이론적 근거: 멸균 영역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15.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6. 멸균장갑을 무균적으로 착용한다.

17. 멸균장갑 낀 손이 오염되지 않게 외음부의 노출된 부위를 공포(hole towel)로 덮어 준다.

18. 도뇨관 끝(5cm)에 윤활제를 바르고, 소독솜으로 외음부 주위를 닦을 때 찬 느낌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도뇨관을 삽입하기 전 미리 대상자에게 설명함으로 불쾌감을 완화시킨다.)

 

19. 소독솜으로 외음부 주위를 닦는다.(한 번 닦을 때마다 새 솜을 사용하고 닦은 솜은 세트바깥 포에 놓는다)

(이론적 근거: 닦은 소독솜은 이미 멸균 상태가 아니므로 멸균 영역에 놓을 필요성이 없어진다.)

20. 한 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순을 벌려서 요도를 노출시킨다. 

21. 다른 손으로 양편 대음순을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

22. 양편 소음순을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 

23. 요도를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 

참고) 남자인 경우

 1) 한 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경을 잡고 포피를 잡아당긴다. 
 2) 요도를 소독솜으로 닦고 버린다.
 3) 요도구 바깥쪽으로 둥글게 닦고 버린다. 

24. 도뇨관을 삽입할 때까지 음순을 한 손으로 벌리고 있는다.

25. 도뇨관을 삽입함을 대상자에게 설명하고 긴장을 풀도록 유도한다.

26. 다른 손으로 도뇨관이 오염되지 않게 잘 감아쥐고 요도 후상방으로 5~8cm 삽입한다.(남자: 12~18cm)

(이론적 근거: 여성과 남성의 요도 길이는 차이가 있으며 여성의 요도 길이는 약 3.7~6.3cm이다.)

27. 소변이 흘러나오기 시작하면 도뇨관을 2~4cm가량 더 삽입하여 소변이 곡반 속으로 흘러나오게 한다.

28. 소변이 더 이상 흘러나오지 않게 되면 도뇨관을 천천히 돌리면서 빼어 세트에 넣고, 마른 거즈로 요도구와 그 주위를 닦는다.

29. 공포(hole towel)를 치우고 장갑을 벗는다.

30.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31. 대상자를 편안하게 해 주고 1회용 장갑을 착용한 후 소변기에 곡반의 소변을 담아 양을 측정한다. 

32.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33.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34. 수행 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시간과 날짜
2) 절차를 시행한 이유
3) 사용한 도뇨관의 크기
4) 소변의 양과 색깔

 

단순도뇨 수행 후 간호기록

날짜 시간 간호기록 서명
03.03 10:00 환자 복부 통증 호소하여 응급실 내원함. 사정 결과 최근 3일 동안 Self Voiding하지 못하였고, 하복부 팽만과 불편감 호소하여 주치의에게 Noti하였음. SN 김OO
  10:05 주치의 처방에 따라 Foly Cath. 10Fr 사용하여 단순도뇨 시행하였음.  SN 김OO
  10:15 소변 색은 연한 노란색이었으며, 200ml 소변량 배출되었음. 도뇨 시행 후 하복부 팽만과 불편감은 사라졌다고 하였음. SN 김OO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서울: 수문사.

간호교육인증평가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재단법인: 한국간호평가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