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기본간호술] 배출관장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도뇨에 다음으로 임상에서 가장 많이 하게 될 술기 중 하나가 배출관장이라고 생각합니다. 관장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데 저 같은 경우에는 글리세린 관장을 가장 많이 했었습니다. 관장의 종류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고 배출관장 핵심기본간호술의 평가항목과 프로토콜에 대해서 정리해 봤으니 함께 공부해 봅시다.
관장
관장은 항문을 통해 직장 및 결장 내에 용액을 주입하여, 장내 내용물의 배출을 돕는 과정입니다. 정상적인 배변 과정을 경험할 수 없는 대상자들을 위해 병원이나 가정에서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며, 남용할 경우 부작용(예: 수분 중독, 게으른 장 증후군, 수분 빛 전해질 불균형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관장의 종류
청결관장
수돗물, 생리식염수, 고장성 용액, 비눗물 등과 같은 용액이 장의 연동운동을 자극함으로써 장내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목적
1. 수술 중 변 배출을 예방합니다.
2. 일부 진단적 검사(에: X-선 검사, 내시경 검사 등)를 위해 장을 비웁니다.
3. 변비나 장폐색을 완화합니다.
청결관장 종류
1. 고위 청결관장: 가능한 한 대장의 많은 부위를 청결합니다.
2. 저위 청결관장: 직장과 S상 결장을 청결히 합니다.
3. 소량 관장: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약 250~500mL) 청결합니다.
4. 대량 관장: 약 750~1000mL의 용액을 장관 내로 주입합니다.
글리세린 관장
글리세린 관장은 용액을 5~15분 간 장내에 정체시킨 후 정상 장 운동을 통한 배변을 유도하는 과정입니다.
목적
1. 직장과 결장에 윤활제로서 작용합니다.
2. 연동운동을 자극하여 배변을 증진합니다.
구풍 관장
비장성적 장내 가스를 체외로 배출시킵니다.
소화기계 해부학적 구조도 함께 알아두시면 공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므로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https://nursingroom.tistory.com/18
배출관장 평가항목 (수행시간: 15분)
성취 목표
1. 배출관장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배출관장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3. 배출관장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배출관장 수행을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습니다.
관련 선행지식
내과적 무균술, 관장의 목적과 적응증, 관장의 종류
필요장비 및 물품
관장액(글리세린), 온수, 50mL 주사기 혹은 관장용 주사기, 카테터 혹은 직장 튜브, 방수포, 윤활제, 홑이불, 쟁반(Tray), 곡반, 검온계, 관장 모형, 휴지, 일회용 장갑, 손소독제, 간호 기록지, 대변기(필요시)
배출관장 프로토콜 및 수행항목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 후, 주사기 내관을 빼고 주사기 앞부분을 손으로 막은 상태에서 글리세린과 온수를 1:1로 부어 관장액을 준비한다.
(이론적 근거: 용액의 온도가 뜨겁거나 찬 경우 직장 점막에 손상을 일으키고 복부 경련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
4. 주사기 내관을 꽂고 공기를 뺀 다음 카테터나 직장튜브의 끝부분을 개봉하여 주사기를 연결하고 공기를 빼준다.
(이론적 근거: 공기가 장으로 들어가게 될 경우 복부 팽만감을 유발할 수 있다.)
5. 카테터나 직장튜브 끝 10~15cm 부위에 윤활제를 바른 후 장갑을 벗는다.
(이론적 근거: 윤활제는 삽입 시 저항을 감소시키고 직장 점막의 자극을 줄인다.)
6.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안녕하세요? 학생간호사 OOO입니다.
7.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8.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또는 처방지)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환자: OOO입니다.)
네. 입원팔찌와 등록번호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OOO님 확인되셨습니다.
9. 대상자에게 관장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
환자분께서 변을 못 보신다고 호소하셔서 관장을 통해 변 배출을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0. 커튼(스크린)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해 주고 홑이불을 덮어준다.
(이론적 근거: 회음부를 노출하게 되므로 대상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해야 하기 위함이다.)
- TIP: 임성에서는 거동이 가능한 환자 같은 경우 화장실에서 실시하기도 합니다.
11. 대상자의 둔부가 간호사 쪽을 향하도록 하여 Sims‘ position 또는 측위를 취하게 하고, 둔부 밑에 방수포(또는 고무포와 반홑이불)를 깐다.
(이론적 근거: 관장용액이 중력에 의해 직장 내에 잘 들어갈 수 있는 자세를 취하고 침상이 오염되지 않기 위함이다.)
12. 대상자의 둔부를 노출시키고 항문이 보이도록 사이를 벌리고 긴장을 풀도록 유도한다.
13.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14. 카테터나 직장튜브 끝을 대상자의 배꼽을 향하도록 해서 5~10cm 정도 삽입한다.
(이론적 근거: 배꼽 방향으로 카테터나 직장튜브가 삽입되면 직장의 굴곡을 따라 관이 자연스럽게 진입하는데 용이하다.)
15. 카테터나 직장튜브 위치를 고정하고 관장액을 천천히 주입한다.
16. 관장액이 주입되는 동안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며, 주입 후 팽만감을 느끼는 것은 정상임을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관장용액은 장을 팽창하게 하는 역할을 하기 대문에 복부 팽만감과 변의를 느낄 수 있으므로 대상자에게 미리 설명하고 협조를 구해야 한다.)
17. 관장액을 전부 주입한 후 휴지로 항문을 막으면서 카테터나 직장튜브를 항문에서 빼낸다.
18. 직장튜브를 말아 쥐고, 쥔 손의 장갑을 벗어 직장튜브를 감싼 후 곡반에 놓는다.
19. 휴지로 항문을 막아주고 나머지 장갑을 벗는다.
20. 대상자에게 참을 수 있을 만큼 대변을 참은 후(10~15분 정도) 화장실에 가야 함을 설명한다.
(이론적 근거: 관장용액을 주입하여 장내에 보유하면 연동운동을 자극하여 배변효과를 크게 하며 누워있는 자세는 중력을 덜 받으므로 변의를 느낄 시 참기에 용이하다.)
21. 대상자에게 대변을 본 후 그 결과를 알려야 함을 설명한다.
22. 대변을 본 후 적어도 한 시간 동안 둔부 밑에 방수포(또는 고무포와 반홑이불)를 그대로 둔다.
23. 대상자를 편안하게 해 주고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24.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5. 수행 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관장의 종류
2) 관장 용액 및 주입한 양
3) 관장절차에 대한 대상자의 이상반응
4) 대상자의 관장 결과(대변양, 대변양상)
배출관장 수행 후 간호기록
날짜 | 시간 | 간호기록 | 서명 |
03.03 | 10:00 | 환자 변을 이틀 동안 못 본다고 호소하여 본원 ER 내원하였음.주치의에게 Noti 후 1/2 Gltcerine Enema 처방 받아 시행함. 관장 중에 특별한 증상이나 불편감 호소없었으며 15분 정도 참은 후 대변을 보고 간호사에게 알릴 것을 교육하였음. | SN 김OO |
10:20 | 관장 후 연한 갈색 딱딱한 변 300g 정도의 변을 배출함. 이후 복부 불편감은 없었음. | SN 김OO |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서울: 수문사.
간호교육인증평가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재단법인: 한국간호평가원
'Nurse > 핵심기본간호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핵심기본간호술] 수술 후 간호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5 |
---|---|
[핵심기본간호술] 수술 전 간호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4 |
[핵심기본간호술] 유치도뇨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3 |
[핵심기본간호술] 단순도뇨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3 |
[핵심기본간호술] 간헐적 위관영양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