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핵심기본간호술] 수술 후 간호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널스드림 발행일 : 2023-03-0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수술 전 간호에 이어서 수술 후 간호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술 전 간호에서는 제모, 피부 준비, 금식교육, 강화 폐활량계 사용법, 의치 혹은 틀니 같은 금속품 제거에 대한 교육에 대한 내용이었다면 수술 후 간호에서는 배액관과 Hemovac 관리 그리고 PCA라고 불리는 자가통증조절장치에 대한 내용이 이루어집니다. 수술 전과 후 간호는 학생 간호사 시절 실습에서는 크게 중요하게 느끼지 않았는데 임상에서 실제로 많이 행하게 되는 간호이며 중요한 내용이므로 함께 공부하고 핵심적인 내용 위주로 정리해 봤습니다.

자가통증조절장치(PCA)

통증이 있을 때마다 정맥이나 경막외강으로 설치된 자가통증조절장치를 통해 환자가 스스로 진통제를 투여하는 방법입니다. 통증이 있으면 진통제를 요구하게 되고 통증이 감소되면 진통제 요구가 사라지는 음성 되먹임 기전(negative feedback loop)에 기초를 두고, 정맥 투여 방법과 경막외강 투여 방법을 주로 사용합니다.

정맥 투여 방법은 상대적으로 안전하나 약물 투여량이 경막외강 투여에 비해 많으면서도 원하는 정도의 통증 조절을 얻을 수 없고 많은 약물 투여로 인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배액관

배액관의 목적

1. 수술 후 상처의 분비물의 배액을 위해 적용합니다.

2. 체내에 고여 있는 분비물의 배액을 위해 적용합니다.

3. 수술과 시술 후 분비물 배액과 출혈 유무를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배액관의 종류

헤모백(Hemovac)

헤모백(Hemovac)은 폐쇄배액법으로 200, 400, 400, 800mL 정도의 배액통을 연결하여 진공흡인으로 분비물을 당겨 제거하게 된다. 헤모백은 통에서 분비물을 비운 후, 손으로 눌러 음압으로 흡인시키는 기구로서 척추, 둔부, 유방절제술, 두경부, 회음부 등 다량의 분비물이 배액 되는 수술 상처에 사용됩니다. 배액관은 수술 시 상처에 삽입하게 되며, 수술 후 보통 3~7일 정도 사용합니다. 간호사는 상처흡인 유지에 책임이 있으며, 육아조직 형성으로 배액이 잘 안 되는 삼출물 배액을 도와 상처 치유를 촉진시키도록 해야 합니다.

J-P 흡인백

J-P 흡인백은 수술 부위의 과도한 배액을 흡인하기 위해 실리콘으로 만든 원형의 폐쇄 배액 기구입니다.

펜로즈 배액관

펜로즈 배액관은 개방 배액법으로 상처 부위의 옆쪽을 절개하여 배액관을 사입한 후, 배액관 부위에 안전핀을 꽂아 상처 내부로 미끄러져 들어가는 것을 방지합니다. 튜브는 최소 2인치 정도 나오도록 남겨 둡니다. 펜로즈 배액관은 납작하고 유연한 고무, 실리콘 또는 플라스틱 제품이여, 배액관이 하나 또는 여러 개로 열려 있는 배액과 등이 있습니다.

 

수술 후 간호 평가항목 (수행시간: 7분)

성취 목표

1. 수술 후 간호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수술 후 간호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3. 수술 후 간호(수술부위 확인, 배액관 관리, 통증간호, 섭취와 배설, 조기이상 등)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수술 후 간호 수행을 기록할 수 있습니다.

관련 선행지식

수술 후 상처배액 종류에 따른 관리법, 수술 후 통증관리, 수술 후 합병증

필요장비 및 물품

전신 마네킹 또는 부분 복부 모형, 소독솜, 쟁반(Tray), 곡반, IV PCA, Hemovac, JP Drain, 배액 측정컵, 일회용 장갑,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용기, 손소독제, 간호 기록지, 필요시 겸자(Kelly)

 

수술 후 간호 프로토콜 및 수행항목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

안녕하세요? 학생간호사 OOO입니다.

4.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5.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또는 처방지)를 대조하여 대상자(이름, 등록번호)를 확인한다.

성함이 어떻게 되시나요? (환자: OOO입니다.)
네. 입원팔찌와 등록번호도 확인해 보겠습니다.
OOO님 확인되셨습니다.

IV PCA 관리 교육

6. 대상자에게 IV PCA 적용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수술 후 수술 부위의 통증이 있을 수 있으므로 통증이 있을 때마다 환자분께서 필요시마다 스스로 통증을 완화하는 진통제가 투여되는 장치를 적용하였으니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7. IV PCA 적용부위의 피부를 확인한다(부종, 발적, 통증 등 사정)

(이론적 근거: 적용한 부위의 피부 상태를 확인함으로 2차적인 문제를 미리 발견하고 해결하기 위함이다.)

8. IV PCA의 사용방법(버튼기능, 용량, 간격)에 대해 설명한다.
1) 주입펌프에 달린 버튼을 누르면 정해진 용량이 주입된다.

2) 정해진 용량이 투여된 후 일정기간(보통 10~15분간) 버튼을 눌러도 진통제가 투여되지 않음을 
 설명한다.

스스로 통증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므로 통증이 있을 때마다 정해진 용량의 진통제가 투여됩니다. 진통제는 정해진 용량만 투여되므로 계속 누른다고 해서 계속 투여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 알고 계시면 되겠습니다.

9. IV PCA의 부작용(오심, 구토, 어지러움 등)에 대해 설명하고, 부작용이 있으면 즉시 알려줄 것을 교육한다. 

자가통증조절장치로 인하여 이후 토할 것 같은 느낌이나 어지러움 증상이 있다면 간호사 호출벨을 눌러 도움을 요청하시면 됩니다.

(이론적 근거: 부작용에 대해서 교육을 하고 환자가 인지함으로 부작용 발생 시 미리 대처하고 의사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JP Drain 혹은 Hemovac 관리

10. 대상자에게 배액관 적용의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수술 후 수술 부위의 출혈 유무 확인과 분비물 배액을 위해서 적용한 배액관을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1.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2. 일회용 장갑을 착용한다.

13. 배액이 잘되고 있는지, 배액관이 꼬이거나 접혀있지 않은지, 막힌 부분이 없는지 배액관을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배액이 잘 되고 있는지와 막혀있지 않은지 확인함으로 2차적인 문제를 방지한다.)

14. 배액관 삽입부위 dressing 상태(부종, 발적, 삼출물, 출혈 등)를 확인한다.

(이론적 근거: 배액관 삽입부위의 피부 상태를 확인함으로 출혈, 부종, 삼출물 등의 상태를 최대한 빨리 확인하여 의사에게 알리고 상태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15. 배액관 위쪽을 잠근 후 흡인백을 안전하게 잡고 주의 깊게 마개를 연다.

(이론적 근거: 공기 유입이 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16. 흡인백의 내용물을 눈금이 있는 측정컵에 옮겨 담는다.

17. 소독솜으로 배출구와 흡인백 마개를 닦고 사용한 소독솜을 곡반에 버린 후 흡인백을 눌러 음압이 유지된 상태에서 배출구를 닫는다. 

(이론적 근거: 배액관의 입구의 미생물 유입 및 감염원을 차단하며 원활한 배액을 위해 흡인백을 음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18. 배액관 위쪽의 잠금장치(clamping)를 열어서 배액 여부를 확인한다.

19. 배액용 측정컵에 담긴 배액양상(배액의 양, 색깔, 투명도)을 확인한다. 

20. 배액물을 오물배출구(clinical sink)에 버리고 측정컵을 물로 헹군다.

21. 장갑을 벗어 의료폐기물 용기에 버린다.

22.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

23.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4. 수행 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1) 배액관 삽입부위 상태
2) 배액양상(배액의 양, 색깔, 투명도 등)
3) 교육내용

728x90

수술 후 간호 수행 후 간호기록

날짜 시간 간호기록 서명
03.05 10:00 수술 후 IV PCA 삽입 부위 사정 결과 통증, 발적, 종창, 삼출물 등 없었음. PCA 적용 목적과 사용방법, 유의사항, 부작용에 대해 교육하였으며 필요시 간호사 호출벨을 누르도록 교육함. SN 김OO
  10:05 LUQ 부위에 JP Drain 적용하여 유지중이며 적용 부위 출혈, 삼출물, 발적, 부종 등은 없었음. JP Drain 통해 연한 빨간색 배액물 40cc 배액되었음. SN 김OO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서울: 수문사.

간호교육인증평가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재단법인: 한국간호평가원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