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핵심기본간호술] 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관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널스드림 발행일 : 2023-03-06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보호장구를 착용하는 사례는 어쩌면 코로나가 확장된 후 보건소나 병원에서 쉽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코로나 전에는 특수부서에서 볼 수 있었던 장구들이었는데 코로나로 인해서 선별 진료소나 병원에서 흔히 보게 되는 사례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학생 간호사 실습 때는 보호장구가 착용하는 방법도 어려울뿐더러 너무 덥고 불편했던 기억이 남는데요. 이런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환자를 위해서 최선을 다한 의료진 분들의 수고가 더욱 귀함을 느낍니다. 특히 내과적 & 외과적 무균술은 수술실과 같은 부서에서 가장 기본 선행지식이니 수술실을 희망한다면 미리 공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흔히 보거나 접할 수 없는 핵심술기 항목이지만 보호장구 착용과 폐기물 관리에 대해 함께 공부해 봐요.

 

내과적 무균술

무균술은 병원감염을 줄이기 위해 수행되어야 하는 절차로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로 나뉩니다. 모든 미생물을 사멸해 멸균상태를 유지하는 외과적 무균술과 달리, 내과적 무균술은 일정한 지역에 있는 미생물 수를 감소시키거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손위생, 관장, 장루주머니 교환 등에 적용됩니다.

외과적 무균술

외과적 무균술은 미생물이 없는 멸균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주로 수술실에서 사용됩니다. 기본 개념은 멸균한 것은 멸균한 것만 접촉이 가능하다는 것. 따라서 어떤 부위나 물체가 멸균상태가 아닌 것에 접촉하면 이는 오염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의 차이점

내과적 무균술의 손 씻기는 손끝이 아래로 가도록 한 후 비누를 이용해 1~2분간 씻는다. 반면 외과적 무균술의 손씻기는 팔꿈치가 손보다 아래로 가도록 한 후 15분 이상 솔을 이용하여 씻습니다.

가운을 착용할 때는 내과적 무균술은 가운의 겉이 겉으로 나오게 하고 앞부분에 손이 닿지 않도록 입습니다. 반면 외과적 무균술은 가운의 안쪽이 겉으로 나오게 하고 뒤 끈은 수술실 순회간호사가 묶습니다. 이 역시 가운의 앞부분에는 손이 닿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 평가항목 (수행시간: 13분)

성취 목표

1. 보호 장구 착용과 폐기물 관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보호 장구 착용과 폐기물 관리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3. 멸균가운 입기 및 오염가운 벗기를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4. 사용한 폐기물을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관련 선행지식

내과적 무균술, 외과적 무균술, 보호장구 착용과 제거법, 폐기물 관리법

필요장비 및 물품

멸균가운(일회용 가운 혹은 천가운), 모자, 마스크(일회용), 멸균 장갑, 오염세탁물 수집용기, 격리의료 폐기물 전용용기, 외과적 스크럽용 싱크대 및 물품 세트, 손소독제

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 및 수행항목

멸균가운과 보호장구 착용

1.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2.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

3. 가운의 멸균포를 몸에서 먼 바깥쪽부터 차례대로 열어 펼친다.

4. 수술용 장갑(Surgical glove)의 겉포장 끝을 벌려서 속포장지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의하며 가운을 펼친 멸균포 안에 넣는다.

(이론적 근거: 가운과 멸균 장갑이 멸균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5. 모자 착용 : 머리카락이 나오지 않도록 모자를 착용한다.

(이론적 근거: 머리카락으로 인하여 멸균 영역이 오염되어 모든 과정을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는 것을 방지합니다.)

6. 마스크 착용 : 코와 입이 완전히 덮이도록 마스크를 착용한다.
① 마스크의 윗부분을 콧마루 위에 놓고 마스크의 하단부는 턱 밑에 고정시킨다(안경을 쓴 경우는 마스크
가 안경 밑으로 들어가도록 한다).
② 마스크의 금속선을 콧마루에 맞추어 눌러 밀착시킨다.

(이론적 근거: 호흡기계 또는 비말로 인한 미생물의 전파를 완전히 차단하기 위함이다.)

 

7. 외과적 손위생을 실시한다.(※ 외과적 손 씻기 후 멸균 타월을 보조자가 건네준다.)

8. 멸균가운 착용: 가운 내부의 목둘레 아래 5-7cm 부위를 잡고 주변이 오염되지 않도록 들어 올려 가운을 길게 늘어뜨린 후 소매로 들어가는 구멍(arm hole)을 찾는다.

9. 양쪽 손으로 각각의 구멍(arm hole)을 잡은 후 양쪽 손을 동시에 소매 안으로 밀어 넣어 손이 가운소매 밖으로 나오지 않게, 양쪽 팔을 가운의 소매까지만 집어넣는다.

10. 보조자가 멸균가운 착용자의 등 뒤에 서서, 보조자의 손이 멸균가운의 앞부분과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하며 가운 착용자의 손이 멸균가운 소매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가운 뒷부분을 잡아당긴 후 등 쪽의 가운 끈을 묶어준다.

(이론적 근거: 시행자와 보조자 모두 무균술을 지켜야 하며 행하는 행위 도중 오염 영역에 닿게 되면 모두 오염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11. 손은 가운소매 속에 위치한 채로 몸을 앞으로 살짝 구부려 양쪽 허리띠가 앞으로 늘어지도록 하며 보조자는 양쪽 허리띠 끝부분을 각각 잡아 가운착용자의 허리 뒤쪽에서 묶어준다.
※ 참고) 1회용 가운인 경우
① 가운의 앞면에 늘어진 끈 중에 짧은 끈은 가운 착용자가 잡고 있고, 긴 끈은 끝에 달린 종이와 함께 보조자에게 건네준다.
② 보조자는 끈에 달린 종이의 끝 부분만 잡고, 긴 끈을 가운착용자의 등 뒤로 한 바퀴 돌린 후 다시 가운 착용자에게 건네주며 종이를 꼭 잡고 있는다.
③ 가운 착용자는 전달받은 긴 끈을 당겨서 종이가 떨어지게 한 후, 짧은 끈과 함께 허리 앞쪽에서 묶는다.

 

12. 멸균장갑 착용 : <폐쇄법>
양손 모두 가운의 소매 안에 둔 채로 손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주의하며 멸균장갑의 속포장지를 펼치고 왼손으로 오른쪽 장갑의 손목 부분을 집어 올린다.(양쪽 장갑을 모두 착용할 때까지 손은 소매 밖으로 나오지 않아야 함)

13. 왼손으로 집어 올린 오른쪽 장갑의 손목 부분이 오른쪽 가운 소매의 끝부분에 오도록 하고 장갑의 엄지 손가락 부분은 몸의 바깥쪽(소매 안의 손바닥 엄지손가락 쪽)을 향하게 하여 오른쪽 가운 소매 위에 올려놓는다.(장갑의 손가락 부분이 팔 쪽으로 향하게 됨)

14. 오른손으로 장갑 소매 부분을 잡고, 왼쪽 손으로 장갑 끝을 잡아 가운의 오른쪽 소매 끝부분을 완전히 뒤집어씌운 다음, 왼손으로 소매부분을 잡아당기며 장갑을 착용한다.

15. 오른손으로 왼쪽 장갑을 잡아 같은 방법으로 왼손 가운소매 위에 올려놓고, 왼손으로 장갑 소매부분을 잡고 오른손으로 장갑 끝을 잡아 가운의 왼쪽 소매 끝부분을 완전히 뒤집어씌운 다음, 오른손으로 소매부분을 잡아당기며 장갑을 착용한다.

 

※ 참고) 수술실에서는 폐쇄식 멸균장갑 착용(Closed gloving technique)을 권장하며, 손이 노출된 상태에서는 개방식 멸균장갑 착용법(Open gloving technique)을 적용한다.

오염가운과 보호장구 벗기

1. 장갑을 벗는다. 
    1) 한쪽 장갑의 소매 끝을 잡고 손가락 끝 위로 장갑을 뒤집으며 벗지는 않는다.

2. 2) 다른 쪽 장갑의 소매 끝을 잡아 아래쪽으로 뒤집으며 벗는다.

3. 3) 남은 장갑의 안쪽을 잡아당겨 뒤집어 벗으며 양쪽 장갑을 모아 격리의료 폐기물 전용용기에 버린다.

4. 가운의 끈을 목, 허리 순으로 푼다.

※ 참고) 가운의 허리끈을 앞(복부)에 묶는 경우에는 끈을 풀고 장갑을 제거하며, 가운의 허리끈을 뒤(등)에 묶는 경우에는 장갑을 벗고 끈을 목→등의 순서로 푼다.

5. 오른쪽 검지를 오염가운의 왼쪽 소매 밑에 넣어서 소매 끝을 손등 위로 조금 끌어내린다.

6. 오염가운의 오른편 소매를 소매에 덮인 왼손으로 잡고 약간 끌어내린다. 

7. 손을 소매 속에서 움직이면서 어깨의 내면을 잡고 가운을 벗은 다음, 일회용의 경우 격리의료 폐기물 전용 용기에 넣고 재사용 가운의 경우는 오염세탁물 수집용기에 넣는다. 

8. 마스크를 벗어 격리의료 폐기물 전용 용기에 넣는다. 

9.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10. 방 밖으로 나와서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728x90

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 수행 후 간호기록

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 관리 핵심기본간호술은 수행 후 특별히 간호기록이 없다는 점 참고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문헌

송경애 외. (2017).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서울: 수문사.

간호교육인증평가 핵심기본간호술 평가항목 프로토콜. 재단법인: 한국간호평가원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