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혈 간호] 수혈 간호(목적, 동의서, 검사, 준비 방법, 과정)

널스드림 발행일 : 2023-02-16
728x90
반응형

출처: Unsplash

수혈 (Transfusion)

 

수혈 (Transfusion)

- 환자에게 부족한 혈액의 혈구 성분과 혈장 성분을 타인으로부터 공급받아 보충해 주는 과정
- 적혈구: 산소 공급, 백혈구: 면역체계 유지 , 혈소판(지혈 작용)

→ 혈액 : 혈관 내를 채우고 있는 물질을 총체적으로 부르는 것
→ 혈구: 혈액을 구성하는 세포(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 혈장: 혈액에서 혈구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액상 성분

 

수혈의 목적

- 질병이나 손상으로 인해 손실된 순환 혈액량을 보충하기 위함
부족한 혈액 응고인자 및 결핍성분을 보충하여 혈액을 교정하기 위함
- 빈혈이 있는 대상자의 산소 운반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함

 

수혈 시 준비사항

- 수혈 동의서, (수혈 검사 시행 위한) 수혈 검체 , 혈액 준비 요청 (전산)
→ 수혈 검체에 채혈자 서명 후 혈액은행에 보내야 함
- 처방된 혈액제제, 수혈 세트 또는 혈소판 세트 (필요시 백혈구 제거용 필터) 
- IV Catheter, 알콜솜, (수혈 부작용 예방을 위한) 전처치 약물
→ IV Line : 적혈구 성인 20G 소아 22G 이상혈소판 24G 이상 

 

수혈 전 검사 종류

1) 공혈 혈액검사 (선별기준 검사)
- ABO/Rh 검사 (혈액형 검사) , VDRL(매독 검사), Anti-HIV(에이즈 검사) 


2) 수혈 전 검사
-  ABO/Rh Test, AST(Anti Screening Test), Cross Matching Test 

 

 

수혈 동의서

수혈 동의서

- 수혈 전에 의사가 직접 환자 및 보호자에게 설명하고 받는 것이 원칙임
- 최종 수혈일로부터 60일 이상 경과 시 수혈 동의서 다시 받아야 함
- 외래의 경우 수진별 1회씩 받으므로 동일 진료과의 경우 수혈 동의서의 유효기간이 개월이지만, 진료과가 변경될 경우 새로 받아야 함
→ 병원 지침에 따라 수혈 동의서 유효기간을 1년으로 보는 곳도 있음
- 긴급 수혈 시 해당 사유를 기록하고 후에 환자/보호자에게 설명해야 함
- 응급 수혈 시 교차시험 미완료 응급혈액 출고요청서 작성해야 함

 

수혈 동의서 유효기간

- 입원: 입원 수진 별로 1번만 받음
- 외래: 동일 과수진별로 1회 받음
- 응급실: 수진별로 회 수혈 동의서 받음

 

각 동의서 별 작성 시점 및 고려사항

 

진정 동의서 - 매 시행 시 동의서 작성
- 검사, 시술 동의서에 진정이 포함된 경우 함께 설명
(단, 진정 내용이 없을 시 별도 진정 동의서 작성) 
마취 동의서 - 매 시행 시 동의서 작성
- 수술, 시술, 검사 동의서에 포함되어 설명 
- 환자 상태에 따라 별도 마취 설명 가능
수술 및 시술
검사 동의서
- 매 시행 시 동의서 작성
조영제 동의서 - 검사, 시술 동의서에 포함되어 함께 설염
항암 동의서 - 항암치료 첫 시행 시
- 약제가 변경될 시
중환자실
입실 동의서
- 중환자실 입실 전 동의서 작성
- 심혈관 조영실 경유하여 시술받고 단기 체류는 제외
특수치료실
입실 동의서
- 특수 치료실 입실 전 동의서 작성
- 대상 집중 치료실, 공기 매개 격리실, 무균실, 고위험 산모태아 집중치료실, 방사서 옥소 치료실 
728x90
반응형

 

혈액불출 요청확인서

혈액불출 요청확인서 예시

혈액은행으로부터 혈액을 수령해 올 때 위와 같은 혈액 불출 요청서가 필요한데, 위 요청서를 EMR 전산상에서 출력하게 되면 처음에는 혈액백 스티커 부분( 이 비어 있는 요청서로 출력됩니다. 이 ‘요청서’와 혈액을 담아 올 '혈액 보관용 Box'를 가지고 혈액은행에 가면 그곳에서 수령자 (사원 or 간호사와 혈액은행 직원이 ‘혈액 요청서’와 혈액’을 비교하여 정보가 맞는지 확인 후 혈액백 스티커를 붙여주게 됩니다.


전반적인 수혈 과정

1. 의사와 환자: 수혈 여부 결정 →  Lab 수치 or 증상으로 수혈 적응증 확인
2. 의사 Order: 혈액 처방 → 환자에게 수혈 동의서 받음
3. 간호사: 혈액 처방 확인  → 혈액 불출 관리 화면의 입력사항을 확인함
4. 간호사 2인: 혈액 검체 채취
→ ABO & Rh 검사용 Tube, 항체 선별검사용 Tube와 바코드를 가지고 병실로 가서 대상자 확인 후 혈액 채취함
5. 보호사(없는 경우 간호사가 직접): 혈액 검체 접수

→ ABO & Rh Sample, 항체선별 검사용 Sample을 혈액은행에 접수함
6. 혈액은행 - 수령자(보호사 혹은 간호사)와 임상병리사: 혈액확인 
→ 수령자와 임상병리사는 함께 혈액 스티커와 수령을 혈액을 확인함
→ 수령자의 ID(사원번호)를 압력함
→ 확인 내용: 부서, 주민등록번호, 성명, 나이, 성별, 병실, 혈액번호, ABO & Rh형, 혈액 종류, 수량, 방사선 유무
7. 간호사실 - 간호사 2인: 혈액확인
→ 담당 간호사는 불출된 혈액을 다른 간호사 1인과 함께 확인함
→ 혈액과 혈액 불출 요청서에 부착한 혈액백 스티커 확인함
→ 확인 내용: 부서, 주민등록번호, 성명, 나이, 성별, 병실, 혈액번호, ABO & Rh형, 혈액 종류, 수량, 방사선 유무
→ 매 혈액백 스티커마다 2명의 간호사가 확인함. 혈액형에 동그라미 표시와 서명함
8. 병실 - 간호사: 대상자 확인(이중 확인)
→ 개방형 질문으로 이름과 등록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확인함
9. 수혈 준비: 적혈구 18G~22G, 혈소판 24G 이상 IV line 확보
→ 수혈의 필요성, 목적 설명, V/S 측정, 부작용 교육, 수혈 전 처치 시행 
10. 수혈 시작: 간호사
→ 처음 15분 간 15~ 20gtt/min 천천히 수혈 시작함 
→ 수혈 시작 15분 후 V/S 이상 없을 시 50~ 80gtt/min 수혈속도 조정
11. 수혈 기록 및 정리
→ 방사선 조사, 백혈구 제거 여부, 수혈 전 처치 여부, 수혈 V/S 등


참고문헌

주혜선. 2019. 암또의 임상노트2. 포널스 출판사

나무위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