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Nurse182

[간호사 국가고시] 여성간호학 건강검진 요점정리 (신체 검진 / 유방 검진 / 생식기 검진) 신체 검진 전신 검진 혈압, 신장, 체중, 림프절(머리, 목, 겨드랑이. 서혜부), 갑상샘, 시장, 폐, 유방, 복부, 사지, 비뇨 생식기와 항문 등의 사정 유의사항 (★★★) (1) 검진계획과 모든 절차에 대한 정보 제공 (2) 안락하고 편안한 부위기 조성, 대상자의 프라이버시 보호 (3) 병원에 오기 전 24시간 이내에 질 세척하지 않도록 하고 월경 중인지 확인 (4) 생식기 검사 전 방광을 비우게 함 (5) 진찰자의 손과 질경을 따뜻하게 준비 (6) 대상자의 자세 : 쇄석위(ithotomy position) 유방 검진 검진 시기 ① 사춘기 이후 : 매달 월경 후 1주일 안에 시행(부종이나 압통 없어 검진하기에 적절) ② 폐경 후 : 매달 같은 날 시행. 특별한 이상 없어도 매년 1회 이상 정기검진 .. Nurse/간호사 국가고시 2023. 3. 17.
[여성간호학] 호르몬 및 생식작용 (프로게스테론 / 에스트로겐 / 난포자극호르몬 / 황체형성호르몬) 난소 주기와 난소 호르몬 호르몬의 종류는 난포 호르몬(에스트로겐), 황체 호르몬(프로게스테론), 릴락신(Relaxin)이 있다. 난소주기 · 난소 내에 있던 원시난포가 성장난포, 성숙난포, 배란, 황체, 백체 과정을 거쳐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일어나는 과정 원시난포(여아 출생 시 각 난소에 40~50만 개가 존재) → 성장난포(난포상피가 증식하여 과립막 형성) → 성숙난포(그리피안 난포: 난포가 커짐에 따라 난포액이 형성되기 시작) → 배란(난포액의 팽창으로 인한 내압과 난포막의 괴사변성으로 난자를 복강 내로 배출) → 황체(난포액과 난자의 배출로 쭈글쭈글해지며 밝은 황색을 띰) → 백체 ① 난포기 · 원시난포가 성숙하여 배란하기 전까지 · 에스트로겐의 양이 점차 증가하는 시기 ② 배란기 · 배란기에 황체.. Nurse/여성간호학 2023. 3. 17.
[정신간호학 Case Study] 우울과 관련된 수면장애 간호과정 (이론적 근거)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이전 정신간호학 케이스 스터디와 비슷한 맥락으로 우울증을 진단받거나 우울한 감정을 느끼게 될 때 식욕이 감소할 뿐만 아니라 수면에도 많은 영향을 받게 됩니다. 특히, 우울증 환자의 경우에는 다양한 방어기제를 활용하기도 하면서 다양한 기분변화를 경험하게 되는데 그러한 대상자의 사례를 가지고 케이스 스터디를 함께 해보려고 합니다. 이번에 가져온 케이스 스터디의 간호진단은 우울과 관련된 수면장애라는 간호과정을 세워봤는데 공부하고 적용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진단 의미 있는 자료 진단명 범주 주관적 자료 “잠을 자도 충분한 휴식이 되지 못하는 것 같아요.” “나는 잠을 자는 것을 원해요.” “나는 너무 피곤해요.” “낮에도 밤에도 잠을 자지만 제대로 잠을.. Nurse/간호과정 2023. 3. 16.
[정신간호학 Case Study]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간호과정 (이론적 근거)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이번에는 간호과정을 준비했는데 정신간호학 케이스 스터디를 보고 함께 공부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이라는 간호진단을 세운 케이스 스터디인데 우울증을 경험하는 환자에게서 흔히 나타나고 세울 수 있는 진단입니다. 이론적 근거도 함께 포함하여 정리했으니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간호진단 간호사정 간호진단 의미 있는 자료 진단명 범주 주관적 자료 “오늘 아침에 아무것도 먹지 않았어요.” “최근에 밥을 많이 먹지 않았어요.” “간식은 먹기 싫어요.” “지난 한 달 동안 체중이 4kg정도 빠진 것 같아요.” “요즘 바지 크기가 헐렁 해졌어요."라고 직접 말함. 체중감소로 나타나는 식욕감소와 관련 된 영양불균형 영역.2 영양, 과 03. 섭취.. Nurse/간호과정 2023. 3. 16.
[정신간호학] 기억장애 · 행동장애 정의 및 의학용어 정리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사고장애, 정서장애, 지각장애 의학용어 정리에 이어서 끝으로 자주 나오는 증상과 용어들을 정리했습니다. 한 번에 정리해서 올리려고 고민했다가 구분 및 정리하여 올리면 궁금하거나 모르는 용어와 정의에 대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올려드렸는데 이후 한 번에 보기 원하시는 분들이 있다면 한 번에 정리하거나 깔끔하게 꾸며서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기억 (memory) 뇌에 저장되었던 정보를 다시 의식 속으로 회상하는 기능이며, 인지적 능력이다. 중추신경계를 통해 들어온 인상을 등록하는 등록된 경험을 유지하고 보유하는 단계로 등록된 경험을 회상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기억과다 (hypermnesia) 기억의 회상능력이 항진되는 현상이다. 특정기간에 일어난 일에 대해 자세한 것까.. Nurse/정신간호학 2023. 3.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