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Nurse182

[간호사 국가고시] 성인간호학 비뇨기계 질환 총정리 (+요약본 파일)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이번 간호사 국가고시 성인간호학 대비를 위하여 비뇨기계 질환을 준비했습니다. 이전 요약본도 마찬가지이지만 비뇨기계 질환 파트는 정말 나오는 내용들 위주로 준비했습니다. 정말 길고 이해하기 어려운 이론 중심이 아니라 기억하기 쉽고 핵심 단어 위주로 준비했으니 국가고시 대비 뿐만 아니라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대비하는 간호학과 모든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배뇨장애 진단검사 1) 혈액검사 검사 정상범위 증가 감소 혈청크레아티닌(Cr) 0.6~1.5mg/dL 신질환 - 혈청요소질소(BUN) 6~20mg/dL 신질환 - BUN/Cr 비 12:1~20:1 수분부족, 폐쇄성 신질환 수분과잉 요산 2.1~7.5mg/dL 신질환 - [혈액검사] 신장기능지표(BUN, eGFR, Cr.. Nurse/간호사 국가고시 2023. 3. 21.
[정신간호학] 불안장애 단계 / 종류 / 간호중재 총정리 (간호사 국가고시) 불안(Anxiety) 정의 · 불확실하고 무력한 느낌과 관련되어 있으며, 속성이 모호한 막연한 염려를 말합니다. ·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며 주관적으로 경험되는 정서 상태라는 점이 특징입니다. · 내적 · 외적 자극으로 인한 갈드응로 조절 능력의 상실 또는 약화로 인해 초래됩니다. · 잠시 느끼는 불안은 정상적이며 지속되고 스스로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 불안장애로 봅니다. 불안의 단계 단계 특성 및 행동 경증 불안 - 긴장 상태 - 신체적 징후 없음 - 지각영역 확대 - 학습을 동기화, 성장과 효율성을 가져오므로 유용 - 직접적인 중재 필요없음 _ 학습이나 문제 해결력을 높이며 정보 얻기를 갈망 - 교육 : 대상자가 경증불안 수준일 때 매우 효과적 - 일상생활을 하면서 느끼는 긴장 상태 중등도 불안 - 동.. Nurse/정신간호학 2023. 3. 21.
[정신간호학] 조현병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정신간호학을 다루면서 조현병의 이론과 케이스 스터디는 메인 중에 메인입니다. 이번에는 조현병 케이스 스터디와 간호진단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진단과 중재를 나열하고 정리했습니다. 특히 영화나 드라마를 소재로 사례 분석 및 케이스 스터디를 하는 경우에 적용하고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조현병 간호진단 및 중재 긴장형 및 해리성 조현병 간호중재 간호진단 중재 우울 · 환자에게 우울증을 처리하기 위해 증상 관리 기법들을 사용하도록 돕는다. · 우울증이 재발 요인인지 사정하고, 만약 그렇다면 뎡증 단계에 있는 동안에 우울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계획을 세운다. 불안 · 불안을 유발하는 것이 무엇인지 환자가 확인하도록 돕는다. · 불안을 처리하기 위하여 환자가 증상 관리 기법.. Nurse/정신간호학 2023. 3. 20.
[간호사 국가고시] 성인간호학 체액불균형 장애 총정리 (+요약본 파일)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성인간호학의 범위는 워낙 다양하고 넓어서 최대한 핵심적인 내용들을 요약하여 공부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내용이 워낙 방대하여 어려운 과목으로 느껴질 수 있지만 문항 수가 많은 과목이어서 점수를 획득하기에 좋은 과목입니다. 학기 중에 연관되는 내용들이 많아 오히려 기억에 많이 남는 과목이기도 합니다. 이번에는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었던 내용인 체액불균형 장애를 준비했습니다. 전해질 수치의 정상범위와 ABGA(동맥혈 가스분석 검사)의 정상범위부터 각 범위 별로 정리했으니 공부에 도움되시면 좋겠습니다. 전해질 정상범위 · 나트륨(Na+): 135~145mEq/L · 칼슘(Ca2+): 4.5~5.5mEq/L (혈장 9~11mg/dL) · 칼륨(K+): 3.5~5.0mEq/L .. Nurse/간호사 국가고시 2023. 3. 20.
[간호사 국가고시] 성인간호학 소화기계 질환 총정리 (+요약본 파일)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지난 성인간호학 면역 및 신체손상과 안위 변화에 이어서 소화기계 질환을 요약하고 총정리한 내용들을 준비했습니다. 특히 소회가계 질환은 출제 빈도가 높은 파트이므로 빨간색이나 강조된 내용들은 반드시 기억하셔야 합니다. 이번에도 정리한 내용들은 출제 빈도가 높은 내용 위주로 정리한 것이니 요약하고 공부하실 때 도움이 되면 합니다. 국가고시 뿐만 아니라 소화기계 파트를 배우고 있을 간호학과 학부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진단검사 복부검사: 시진 → 청진 → 타진 → 촉진 일반검사: 시진 → 촉진 → 타진 → 청진 식도 연하장애 Point: 콜린성 약물과 항콜린성 약물이 하부식도괄약근 작용의 차이 구분하기 위식도역류질환(GERD) 식도이완불능증 합병증: 바렛식도로 인.. Nurse/간호사 국가고시 2023. 3.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