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관리학] 동기부여

널스드림 발행일 : 2023-03-24
728x90
반응형

 

[간호관리학] 리더십의 이해 요약정리 (+요약본 파일)

간호관리학 리더십의 이해 1. 리더십의 개념 리더십이란? Leader(지도자, 지휘자, 통치자) - ship (능력있음) = Leadeship (리더로서 자격과 능력이 있음) 즉, 리더십은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리

nursingroom.tistory.com

 

[간호관리학] 동기부여 내용 이론 요약정리 (+요약본 파일)

[간호관리학] 동기부여 동기부여 동기부여 개념 동기부여란, 라틴어 ’모베레‘에서 기원된 말로 이 용어는 움직인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즉, 어떤 삶을 자극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할 수 있도

nursingroom.tistory.com

 

[간호관리학] 동기부여 과정 이론 요약정리 (+요약본 파일)

[간호관리학] 동기부여 동기부여 동기부여 개념 동기부여란, 라틴어 ’모베레‘에서 기원된 말로 이 용어는 움직인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즉, 어떤 삶을 자극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할 수 있도

nursingroom.tistory.com

동기부여

동기부여 개념

동기부여란, 라틴어 ’모베레‘에서 기원된 말로 이 용어는 움직인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즉, 어떤 삶을 자극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이끄는 것이다. 이를 리더십 관점으로 정의하면 ’조직구성원으로 하여금 조직목표 달성을 위해 행동하도록 자극하여 동기가 생기도록 유발시키고, 구체적 행동으로 유도하고 이끌며 그 행동을 지속하게 하는 과정‘

 

최근 들어 우리나라의 대형 종합병원의 경우 병원이념으로 경의 효율성을 내세울 정도로 의료계에서도 합리적인 경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고, 이러한 영향의 일환으로 조직의 성과 증대를 위해 구성원의 동기부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병원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구성원들의 행동을 이해하고 적절한 교육과 보상을 통해 구성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면, 그 결과 내부 고객인 구성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더불어 조직의 목표인 외부고객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모든 인간은 자신에게 스스로 동기를 부여하려는 욕구가 있다. 리더는 개개인의 욕구와 필요에 초점을 맞추고 각 개인과 상황에 맞는 동기부여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동기부여에는 개인의 열망수준과 직접적으로 관련하여 성취를 독려하는 내재적 동기부여와 근무환경이나 외적인 보상을 통해 자극하는 외적 동기부여가 있다.

내적 동기부여와 외적 동기부여

내적 동기부여는 개인과 일 자체의 직접적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일을 수행하면서 얻어지는 심리적인 성취감, 도전감, 확신감, 등과 같은 내재적 보상들이 촉진요소가 되는 동기부여를 말한다.

 

외적 동기부여의 중요한 요소인 보상은 업무가 완수된 후에 주어지는 것이므로 내재적으로 어느 정도까지는 동기부여가 된다. 조직은 근로자에게 내적 동기요인과 외적 동기요인 둘 다 자극할 수 있는 풍토를 제공해주어야 한다. 사람들의 욕구와 욕망은 끊임없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항상 동기부여가 된다. 또한 모든 인간은 고유하며 각기 다른 욕구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기 다르게 동기부여가 된다.

 

따라서 동기부여는 아주 복잡하기 때문에 리더는 개인적인 그리고 집합적인 동기부여 요인들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며, 심지어 거의 비슷하거나 거의 동일한 근무환경에서도 개인 및 집단의 동기부여는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동기부여 이론

이론가들은 직무만족감과 생산성을 촉진하는 구체적인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장 효과적인 관리는 직원에게 높은 동기부여를 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동기부여 이론은 개인의 노력과 성과에 초점을 맞추어왔다. 즉, 동기가 부여된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보다 더 열심히 일하며 더 좋은 성과를 낼 것이라는 가정이다. 전통적인 관리 철학에서는 직원들의 동기유발요인은 기본적으로 경제적 요인이라고 본다.

이 시대에 가장 잘 알려진 인간의 동기부여에 관한 연구는 엘튼 메이요에 의해 시행된 호손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조직구성원의 동기부여 요소는 외적인 인센티브, 보상과 같은 경제적인 요인에만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가치관, 신념, 감정도 중요한 요소가 됨이 밝혀졌다.

동기부여 이론은 크게 ’무엇이 동기를 유발시키는가‘에 관한 이론인 내용 이론과 ’어떤 과정이 동기를 유발시키는가‘에 관한 이론인 과정 이론으로 구분한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