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Case Study]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간호과정 (이론적 근거)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최근 들어 간호과정에 대한 글을 주로 포스팅 중인데요. 난다(NANDA) 간호진단에는 다양하고 많은 간호진단이 있지만 사실상 그 많은 간호진단을 세워 보는 경우보다는 간호진단에서도 단골손님처럼 자주 쓰이는 것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그중 하나가 피부통합성장애가 그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이번에 공유하고 함께 알아갈 사례를 정리해 보면서 수술 후 환자, 골절로 인하여 움직임이 제한된 환자, 무의식 환자 등 이러한 환자 같은 경우에는 움직임이 제한되는 부동자세를 피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 보니 사정 시 피부 사정은 정말 중요한 사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한 환자가 침상가 직접 맞닿게 되는 피부를 사정하지 않는다면 피부손상과 욕창은 피할 수 없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번에도 골관절염 환자 사례를 가져왔는데 골관절염에 대한 정리는 이전과 다르게 정리해봤습니다. 이런 사례의 환자를 통하여 부동으로 인한 피부통합장애라는 간호진단으로 함께 공부해봤으면 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함께 보시면서 오탈자나 조금 더 추가할 만한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지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골관절염(Osteoarthritis)
1. 정의 - 고관절 골절은 허벅지 뼈의 가운데 위쪽 끝(골두), 골두 바로 아래 허벅지 뼈의 좁은 부분(경부), 또는 경부 바로 아래 보다 넓은 부위의 돌출부에서 발생 2. 원인 - 고령자, 골다공증, 낙상, 고관절 골절의 위험을 높이는 약물 복용 대부분 고관절 골절은 낙상으로 인해 초래 됨. 3. 증상 - 보통 매우 고통스럽고 보통 서혜부 통증 야기 뼈의 부러진 조각이 분리된 경우, 걷거나 일어서거나 다리를 움직일 수 없음. 누워있을 때는 영향을 받은 다리가 더 짧아 보일 수 있으며 바깥쪽으로 향할 수도 있음. 그러나 부러진 조각이 걸려서 움직이지 않 고 골절이 작을 경우, 때로는 걸을 수 있고 경미한 통증만 경험할 수 있으며, 다리가 정상으로 보임. 때로는 고관절이 부러질 때 고관절 대신 무릎에서 통증이 생기는 것처럼 보이는 연관통증이 있음. 4. 진단 - X-ray: 보통 X-ray에 골절이 선명하게 나타나 의사들이 고관절 골절 진단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됨 - MRI(자기공명영상): X-ray에서 정상으로 보이나 고관절 골절이 의심되거나 환자가 낙상 후 1일 넘게 계속 통증을 느끼고 설 수 없는 경우, 작은 골절을 확인하기 위해 이용 - CT(컴퓨터 단층 촬영): 작은 고관절 골절을 발견하는데 MRI보다 덜 정확함 5. 치료 고관절 복구: 경부를 통해 허벅지뼈 골두로 금속핀을 삽입하여 복구하는 수술 고관절치환술: 고관절 부분 치환술 - 대퇴골의 상단 부분이 심하게 손상되면 금속 재질의 인공 부속물로 치환 고관절 전치환술 - 고관절을 형성하는 소켓의 표면도 치환, 소켓은 내구성이 있는 플라스 틱 내 막이 있는 금속 외층으로 치환 - 재활: 고관절 골절 치료 후 가급적 빨리 시작, 보통 수술 후 1~2일째부터 보행기를 사용하여 보행 가능 6. 합병증 - 고령자의 경우 움직임이 제한되면서 욕창, 폐렴, 심장질환 등 나타날 수 있음 |
사례요약
1. 입원상태 및 병력 입원동기 : 입원동기: 10.01 18:00경 집에서 나오다가 Slip down 하면서 앞으로 넘어져 Rt. Hip pain 있어 센 OO병원 방문, lab normal하여 상급종합병원 권유받아 본원 ER 통해 입원 현병력 ➀ 병원도착 시 상태 : 의식수준은 alert, V/S 141/65-118-24-36.5℃(100%), 키155cm, 몸무게 60kg 보행 불가능하고 자세 변화 시 악화되는 통증 지속적으로 호소 ➁ 병원도착 후부터 지금까지의 경과 - C.C: Rt. Hip pain - 10.07 : Rt. jugular HD catheter insert ion, HD 위해 인공신장실 이동 - 10.10 : NRS 7점으로 Rt. hip부위 쑤시는 듯한 통증으로 Ausmadol 50mg/amp 1amp IV 1시간 후 NRS 4점 16시 NRS 5점으로 Ausmadol 50mg/amp 1amp IV - 10.12 : 13일 B ipolar hip art hroplasty 수술 예정, Hb 9.5g/dl 측정되어 RBC T /F - 10.13 : Ge neral anesthesia 하에 Rt. Bipolar hip arthroplasty 시행 수술 후 V/S 131/68-85-20-36.4℃, NRS 4점, PCA, foley cathe ter, Hemovac keep 과거병력 - 2005년 Cerebral infarct - 2010년 HTN 진단, local PO medication 중 - 2016년 CKD 진단, 약물치료 받는 중 |
영상검사
검사명 | 날짜 | 결과 |
Hip both AP Lat (양측 엉덩이 전후/ 측면촬영) |
10-05 | Fracture of neck of femur. closed 폐쇄성 대퇴골두 골절 |
Chest CT (흉부 CT) |
10-05 | pleural effusion at bot h lung 양측 폐 흉막삼출 no pneumonic consolida tion 폐경결 없음 |
Urograp hy CT (NE) (CT 요로조영술) |
10-05 | no visible obstructive lesion at urinary tract 요로에 눈에 띄는 폐쇄성 결절 없음 bladder wa ll thicekning 방광벽 비후 size decreased at bot h kidney 양측 신장의 크기 줄어듦 |
Chest AP (흉부 X선 검사) |
10-06 | patchy consolidation in Lt. retrocardiac area 좌측 심장후방공간 군데군데 단단함 Both CPA blunt ing senile chest 양쪽 늑골횡경막 노인성 흉부상태 |
Hip Both AP RT. Lat (양측 엉덩이 전후/우측 촬영) |
10-13 | Right THR State 우측 인공고관절치환술한 상태 |
Hip Both AP oplasty, right (양측 엉덩이 관절고정술 전후 촬영, 우측) |
10-20 | S/P arthroplasty, right 수술 후 우측 관절고정술 |
진단적 검사결과
검사 |
정상치 |
결과지 | 임상적 의의 | |||||||
10/5 | 10/12 | 10/13 | 10/21 | 증가 | 감소 | |||||
WBC | 4.0-10.0 x10^3 /㎕ |
11 .8 | 3.5 | 12.6 | 10.4 | 세균감염, 백혈병 | 재생불량성 빈혈, 바 러스성 감염, 조혈성 질환 | |||
RBC | 3.6-5.9 x10^6 /㎕ |
2.8 | 3.5 | 3.2 | 2.8 | 백혈병, 염증, 선천성 심질환, 탈수 | 빈혈, 관절염, 출혈 | |||
Hb | 10.8-15.0 g/dL |
10.3 | 9.5 | 11.8 | 12 | 탈수증, 심장질환, 혈 색소 농축 | 빈혈, 관절염, 출혈 | |||
Hct | 32-52 g/dL |
27.6 | 27.3 | 29.4 | 31.3 | 탈수, 다혈구증, 출혈, 백혈병 | 재생불량성 빈혈, 백혈 병 | |||
MPV | 9.2-12 .0fl | 10.5 | 11.3 | 9.8 | 10.1 | 골수증식이상,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병 | 비장기능 항진증 | |||
PDW | 9.6-15.2% | 13.7 | 15.1 | 14.2 | 13.5 | 혈전증, 거대적아구성 빈혈, 만성골수성빈혈 | - | |||
platelet | 140-430 x10^3 /㎕ |
100 | 71 | 86 | 69 | 만성백혈병, 진성다혈 구증 | 급성 백혈병, 재생불량 성 빈혈 | |||
seg . Neutrophil |
30-75% | 84.5 | 96.7 | 91.5 | 74.8 | 세균감염, 염증성 질환, 조직 괴사 | 독소적 질병, 항원, 호르몬 | |||
lymphocyte | 20-44% | 9 .4 | 18.6 | 11.9 | 12.7 | 세균성 상기도 감염, 호르몬 질환 | 호지킨병, 화상, 외상 | |||
Neutrophil | 1.7-7.0 x10^3 /㎕ |
2 .8 | 4.6 | 6.9 | 5.8 | 세균감염, 화상, 당뇨, 심근경색 | 발열, 구내염, 설사 | |||
Eosinophil | 0-5% | 1 .1 | 1.1 | 1.0 | 1.0 | 과면역 알러지, 에디 슨 병 | 쿠싱증후군 | |||
Monocyte | 2-9% | 0 .4 | 0.3 | 0.58 | 0.75 | 암, 결핵, 백혈병 | 만성감염 |
728x90
반응형
간호사정 및 진단
간호사정 | 간호진단 | ||
의미 있는 자료 | 진단명 | 범주 | |
주관적 자료 |
" 움직이지 못하겠어서 누워만 있어야 해요“라고 직접 말함. |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
영역 11. 안전/보호 괴 38. 신체적 손상 |
객관적 자료 |
① 87세 ② 21.10 .01 집에서 나오다가 slip down하면서 앞으로 넘어져 Rt. hip pain 있어 ER 통해 입원함 ③ 병원 도착 당시 보행이 불가능하고 자세 변화 시 악화되는 통 증 호소 ④ V/S 141/65-118-24-36.5(100%) ⑤ foley ca th keep(16Fr) ⑥ 10 /01 Rt. femoral skin traction 4파운드 적용 ⑦ ROM 운동제한 ⑧ 체위변경 효율적으로 되지 않음 ⑨ Coccyx 5 *5*0.1 G2, Rt heel 3*3*0 G1 욕창 있음 ⑩ 10 /5 Hip both AP Lat - Fracture of neck of femur. closed ⑪ 10 /13 Hip Both AP RT. Lat - Right THR State ⑫ 10 /20 Hip Both AP oplasty, right - S/P arthroplasty, right ⑬10 /5 욕창사정 점수 11점 |
간호계획
간호계획 | ||
목표 | 장기 목표 | 대상자는 4주 이내 욕창의 정도가 악화되지 않을 것이다. |
단기 목표 | ① 7일 이내 대상자의 욕창부위에 감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② 5일 이내 대상자의 T-prote in과 Albumin 수치가 정상범위로 돌아올 것이다. |
|
계획 | 진단적 계획 |
① 대상자의 V/S을 4시간마다 사정한다. ② 매일 대상자의 욕창부위 상태를 사정한다. ③ 대상자의 T -protein과 Albumin 수치를 사정한다. |
치료적 계획 |
① 대상자에게 에어 매트리스를 적용해준다. ② 2시간마다 대상자의 체위를 바꾸어준다. ③ 욕창발생부위에 단계에 맞는 드레싱을 적용한다. |
|
교육적 계획 |
①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욕창예방법에 대해 교육한다. ② 대상자의 보호자에게 체위 변경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
참고문헌
사울아산병원. 건강정보. 질환백과. 골관절염(Osteoarthritis)
가톨릭대학교 가톨릭혈액병원
728x90
반응형
'Nurse > 간호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간호학 Case Study]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간호과정 (이론적 근거) (0) | 2023.03.16 |
---|---|
간호과정 작성법 및 예시 (간호사정 / 간호진단 / 간호계획 / 중재 및 평가) (0) | 2023.02.26 |
[성인간호학 Case Study] 오심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간호과정 (이론적 근거) (0) | 2023.02.11 |
[성인간호학 Case Study] 수술과 관련된 정맥혈전색전증의 위험 간호과정 (이론적 근거) (0) | 2023.02.11 |
[여성간호학 Case Study] 양수파막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성 간호과정 (이론적 근거) (0) | 2023.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