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 사고장애 정리 (+요약본 파일)
정신간호학 사고장애
사고장애의 분류
1) 사고 형태의 장애
자폐적 사고: 외부 현실을 무시하고 외부와의 적절한 관련성 없이 자신의 내적 세계에 집착하고 자신만의 논리 속에 빠져서 일반 상식이나 논리와 동떨어진 비현실적 사고
마술적 사고: 특수한 생각, 말, 연상, 몸짓, 태도 등이 어떤 초자연적인 방법에 의해 그대로 성취될 수 있다거나 악을 쫓을 수도 있다고 믿는 것. 어린아이나 강박장애, 심한 조현병에서 나타날 수 있음.
1차 사고 과정: 사고가 무의식적인 경향의 작용으로 질서나 논리성이 결여되고 비조직적이고 비논리적이며 비현실적이고 마술적일 때 사용함.
구체적 사고: 은유를 사용하지 못하고 그 의미를 잘 헤아리지 못하는 문자적이고 1차원적인 사고
신어조작증(Neologism): 2가지 이상의 단어를 합해 새로운 임의의 용어를 만들고 자신만이 아는 엉뚱한 뜻을 부여해 사용하는 것
2) 사고 과정의 장애
사고의 비약: 한 생각에서 다른 생각으로 여상활동이 지나치게 빠르게 진행되는 현상
사고의 지연: 사고 과정에서 연상 속도가 매우 느려짐으로써 사고가 원활하지 못한 현상
사고의 우회증: 연상되는 사고는 너무 많고 선택적인 억제기능은 너무 적기 때문에 많은 일련의 사고가 의식계로 나오게 되는 연상의 장애로 불필요한 지엽적 생각으로 탈선하는 경우
사고의 단절과 박탈: 사고의 흐름 혹은 문자의 중간에서 갑자기 멈추는 현상
사고의 이완: 전혀 관련이 없거나 관련이 적은 대상으로 연상이 진행되는 엉성한 사고
사고의 지리멸렬: 사고나 말에 있어서 논리나 문법적으로 앞뒤가 서로 연결되지 않아 줄거리가 없고 일반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상태
사고의 부적절성: 질문 내용과 전혀 연관성이 없는 동문서답식의 엉뚱한 대답을 하는 경우
보속증: 새로이 자극이 주어져도 사고가 더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이전 자극에 머물러 지속적인 반응을 보이는 현상
3) 사고 내용의 장애
망상(Delusion)
사실과 다른 불합리하고 잘못된 믿음으로 사회생활에는 문제는 없음(대인관계 원활)
피해망상: 다른 이에 대한 공격적인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신체 접촉은 금지
과대망상: 남들이 모르는 자신이 어떤 위대한 재능이나 통찰력을 가졌다고 생각함
관계망상: 실제로 자신과 관계 없는 일상생활에서의 상황을 자신과 관련되어 있다고 잘못 이해함
신체앙상: 자신의 신체 일부가 기형이거나 이상이 생겼다고 믿음
종교망상: 자신이 전지전능한 신이라고 주장함
예: TV에 나오는 사람들이 자기를 욕한다고 함, 아내가 외도하고 있다는 의심 등
집착(Preoccupation): 다른 부분에 대한 흥미를 상실하고 어떤 특정 부분에 그 사람의 모든 사고가 집중되어 있는 상태
강박관념(Obsession): 자신이 하는 생각이 쓸데없는 것이라는 점을 알고 있으며, 그것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는데도 이성이나 논리 등의 의식적인 노력으로 교정되지 않고 계속 같은 생각이 의식에 떠올라 고통받는 경우를 의미함
사고장애의 특징
사고의 장애: 사고의 비논리성, 사고의 무질서, 사고연상의 장애, 지리멸렬, 두절, 우회증, 자폐적 사고, 미신적 사고, 망상
정서의 장애: 무감동, 부정적인 정서
지각의 장애: 환각(환청이 흔함), 착각
신체운동과 행동의 장애: 자발성 결여, 시선의 회피나 응시, 충동성, 공격성, 폭력, 흥분, 함구증, 거절증, 기행증, 상동증, 반항행동
대인관계 장애: 사회적 부적응, 오락 활동에서의 의미 결여, 성적 정체성 혼란, 가족 관계 철회
신체적 증상: 발병 초기에 두통, 요통, 무기력, 소화불량 호소와 변비나 무월경과 약물 부작용으로 인한 신체 증상 호소
정동장애
감정: 자연적, 본능적으로 일어나는 마음의 상태 및 이의 외적 표현을 총칭(슬픔, 기쁨, 쾌락, 고통, 불안, 분노, 공포, 수치, 증오 욕심 등)
정동(Affect)
타인이 관찰 가능한 감정경험의 외부적 표출 자체 혹은 그 표출의 방식
부적절한 정동: 정동표현이 상황, 사고, 기분 상태와 불일치
정동의 둔마: 자극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이 없어 보이고 감정의 표현의 강도가 감소된 무딘 감정 상태
불안정한 정동: 정동의 폭이 크고 빠르고 쉽게 변하는 상태
무감동: 쾌감, 불쾌감에 대한 감수성이 저하된 상태
기분(Mood)
주관적으로 경험되는 긍정 및 부정의 방향성을 띠는 정서적 가치가 부여된 전반적 혹은 지속적 감정상태
감정의 자가 보고와 다른 사람의 관찰 등의 객관적인 요소 포함
들뜬 기분
다행감: 낙관적인 태도, 자신감
고양감: 행동 및 욕구가 과장될 정도의 즐거움
기고만장: 과도한 정도의 즐거움
황홀감: 초월적 신비감, 전지전능감 등의 극도로 들뜬 기분
우울한 기분
불쾌감: 즐겁지 못하고 나쁜 기분으로 에너지의 저하가 동반되지 않음
무쾌감: 일상이 좋아하는 일에 대한 즐거움을 상실한 상태로 흥미와 관심, 재미, 의욕의 저하에 초점을 맞춘 개념
멜랑콜리아: 극심하게 가라앉고 우울한 기분, 에너지의 저하와 함께 극심한 절망, 비관, 식욕 및 체중 변화를 동반함
기타
양가감정: 동일한 대상에 대해 상반된 감정, 태도, 생각을 동시에 가짐
병적 분노: 유발하지 않은 분노의 폭발
수치: 자신 또는 타인의 기대에 맞추지 못했다는 감정
죄책감: 주관적으로 잘못된 일을 했다는 감정
불안: 뚜렷한 외부 자극 없이 초조하거나 불안함
공포감: 어떤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해 사실무근의 두려움을 느낌
지각장애
실인증
자극의 중요성이나 의미를 파악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상실하여 사물을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
치매, 뇌종양 등의 질환에서 볼 수 있음
시각, 촉각, 청각, 실인증 등
착각
실제 외부 자극을 뇌에서 통합하고 해석하는 과정에 문제가 발생해서 왜곡되게 인식하는 현상
거시증/미시증: 사물이 실제보다 크게 작게 보이는 현상
공감각: 실제의 자극이 다른 형태의 감각으로 나타나는 현상
이인증: 자기가 자신이 아닌 것처럼 느껴짐
비현실감: 익숙한 환경이 생소하게 느껴지거나 낯선 환경이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
행동장애
긴장증: 자발적인 운동이 없거나 극도의 초조한 흥분을 나타냄
강직증: 반복적 행동의 가장 심한 경우로 보통 사람이라면 견디기 힘들 정도로 일정한 자세를 움직이지 않고 유지함
납굴증: 심각한 강직증으로 취해진 어떤 자세를 계속 유지하는 상태
상동증: 운동의 반복적인 유형을 말하며 타인의 행동을 모방한 것일 수 있음
기행증: 이상한 버릇이나 표정으로 상동증보다 덜 지속적이고 단조로움
보속증: 새로운 동작을 하려고 노력하나 계속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경우
자동증: 자신의 의지는 전혀 없이 타인의 요구에 따라 딱딱한 자세로 운동기능 수행 (반향언어, 반향행동)
거부증: 모든 요구에 대하여 극도로 반대 자세를 취함 (함구증, 거식증 등)
무의욕증: 과제를 수행하려는 동기가 전혀 없는 상태
'Nurse > 정신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간호 이론적 모형 <행동모형> (0) | 2025.02.17 |
---|---|
정신간호 이론적 모형 <실존적 모형 및 의사소통 모형> (0) | 2025.02.13 |
정신간호 이론적 모형 <사회적 모형> (0) | 2025.02.13 |
정신간호 이론적 모형 <대인관계 모형> (0) | 2025.02.11 |
정신간호 이론적 모형 <프로이트 정신분석 모형> (0) | 2025.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