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 이론적 모형 <프로이트 정신분석 모형>
프로이트 정신분석 모형
정신분석 모형
- 정신은 모든 인간 행동의 기초다.
- 개인의 억압된 행동, 내적 갈등, 아동기의 정신적 외상들과 같은 의식적 영향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프로이트에 의해 소개된 정신분석 이론
- 이상행동의 특성에 초점을 두는 것 → 인간 발달의 새로운 조망을 제시함
- 이드, 자아, 초자아, 방어기제 같은 개념과 무의식, 전의식의 구분과 함께 의식 수준을 정리 및 설명하는 이론
행동 일탈에 대한 견해
- 성인기 문제 행동에 대해 초기 발달 단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추정
- 각 발달 단계마다 성취해야 할 과제가 있는데 만약 그 단계를 지나치게 강조하거나 갈등이 있는 경우 정신적 에너지(리비도)는 이 - 갈등을 다루는데 고착 → 이때 발생 되는 불안을 통제하기 위해 너무 낳은 에너지가 소비될 때 신경증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 정신분석이론에서의 증상이란? “근원적인 갈등의 상징으로 표현”
- 예를 들어 강박적으로 손을 씻는 것 → 항문기 동안 어머니가 불결하다고 한 자기를 깨끗이 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음
- 조절하지 못하는 생각이나 느낌, 행동이 충동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
치료과정
- 정신분석: 성격을 재구축하기 위하여 자유연상과 꿈의 분석을 이용
- 자유연상: 어떤 의식적인 검토나 검열 없이 떠오르는 대로 생각을 언어화하는 것
- 사고의 무의식적 검열이나 자아를 위협하는 충동은 항상 있으므로 분석가는 무의식적으로 피하는 영역을 찾아내야 함
- 환자가 표현하지 않거나 인식하지 않는 갈등영역을 저항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꿈은 내적 갈등이 상징적으로 교류하는 영역으로 - 환자의 꿈을 분석함으로써 저항 특성을 더 잘 알 수 있음
- 치료자: 해석을 통해 환자가 내적 정신세계의 갈등을 인지하도록 도와야 하고 해석은 환자에게 꿈의 의미와 표현되었거나 회피했던 문제의 중요성을 설명해주는 것
- 분석과정: 전이로 인해 보다 복잡해지는데 이 느낌은 분석가의 현재 행동이나 특성과는 관계없이 환자에게 과거에 중요했던 사람(대게는 부모)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것
- 강한 긍정적 전이가 있을 때: 치료에 만족하며 치료자의 해석을 받아들임
- 강한 부정적 전이가 있을 때: 저항을 불러일으켜 치료에 방해가 됨
- 치료자가 환자에 대해 갖는 역전이도 제대로 다루지 않으면 치료에 방해가 될 수 있음
- 치료자는 일시적으로 환자의 생의 초기경험에서 중요했던 사람으로 대치될 수 있기 때문에 해결하지 못했던 과거의 갈등을 끌어들여 해결하게 함으로써 보다 성숙한 성인으로 기능하도록 함
환자와 치료자의 역할
- 환자: 능동적인 참여자로서 떠오르는 모든 생각을 표현하고 모든 꿈을 묘사함
- 분석가: 음영자의 역할
- 치료자: 개인적인 어느 것도 표현하지 않아야 하며 자유연상이 잘 되도록 환자를 편안히 눕히고 치료자는 환자의 시야밖에 앉아 비언어적으로만 격려하여 환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함
- 언어적 반응: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아~”, “계속 하십시오”, “좀 더 이야기 해보십시오” 등 간결하게 사용
- 행동을 분석할 때에는 의사소통 유형을 바꾸며 치료자의 해석에 대해 환자가 받아들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는데 치료가 끝날 즈음에는 갈등과 의존 욕구를 해결함으로 치료자를 현실적으로 볼 수 있어야 함
'Nurse > 정신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간호 이론적 모형 <사회적 모형> (0) | 2025.02.13 |
---|---|
정신간호 이론적 모형 <대인관계 모형> (0) | 2025.02.11 |
[정신간호학] 불안장애 단계 / 종류 / 간호중재 총정리 (간호사 국가고시) (0) | 2023.03.21 |
[정신간호학] 조현병 간호진단 및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0) | 2023.03.20 |
[정신간호학] 기억장애 · 행동장애 정의 및 의학용어 정리 (0) | 2023.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