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01 [정신간호학] 사고장애 정의 및 의학용어 정리 사고장애 사고란 연상, 추리, 상상, 통합 등 모든 정신기능올 총동원하여 내 · 외적 자극올 이해하고 해석하며 판단하는 최고의 정신기능을 말합니다. 사고 형태 및 진행의 장애 자폐적 사고 (autistic thinking) 모든 정신에너지가 외부로부터 철수하여 현실과는 단절된 채 자신만의 내부 세계에만 몰두되어 있는 상태로 사고가 비현실적이며 비논리적. 마술적 사고 (magical thinking) 떠오른 특수한 생각이나 말, 몸짓, 행동 등이 어떤 사건이 일어나도록 하거나 미리 막을 수 있는 초자연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것. 신어 조작증 (neologism) 환자가 자기 자신 만의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여 만든 새로운 말로 다른 사람들에게는 의미가 이해되지 않는다. 정신분열병에서 나타나며 특별한 .. Nurse/정신간호학 2023. 3. 15. 더보기 ›› [정신간호학] 조현병 진단기준 / 특징 / 증상 / 약물 요약 및 정리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정신간호학 전공 공부를 하게 될 때 매 학기마다 빠질 수 없는 질환이 조현병(schizophrenia)입니다. DSM 진단기준으로 조현병의 유형을 구분하고 특징과 증상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치료 약물에 대해서 함께 공부해 보겠습니다. 특히 조현병의 증상과 약물은 꼭 구분하고 기억하셔야 국가고시에도 대비할 수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조현병(schizophrenia) 조현병은 망상, 환청, 와해된 언어, 와해된 행동, 정서적 둔마 등의 증상이 주로 나타나고, 사회적 기능에 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는 질환으로, 일부 환자의 경우 예후가 좋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여 환자나 가족들에게 상당한 고통을 주지만, 최근 약물 요법을 포함한 치료법에 뚜렷한 발전이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에 .. Nurse/정신간호학 2023. 3. 14. 더보기 ›› [정신간호학] DSM-5 정신장애 분류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정신간호학은 타 과목과는 다르게 NANDA의 진단기준으로 간호과정을 세우기도 하지만 정신장애를 다루는 데 있어 장애를 분류한 기준이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DSM-5 정신장애 분류입니다. 이를 통해 정신간호학 간호과정을 세우고 질환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특히 성격장애에서 A, B, C군의 성경장애는 꼭 분류하고 구분할 줄 아셔야 합니다. DSM - 5 정신장애 분류 신경발달장애(Aleurodevaldopmeantal Disociers) 지적 장애, 의사소통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 주의력 결합 과잉행동 장애, 특정 학습장애, 운동장애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증적 장애(Schizophrenia Spectrum and Other Psychotic Disor.. 카테고리 없음 2023. 3. 14. 더보기 ›› [정신간호학] 사고장애 / 정동장애 / 지각장애 / 행동장애 / 언어장애 요약 및 정리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정신간호학 중에서 특히 증상학이라고 불리고 연관되는 사고장애, 정동장애, 지각장애, 행동장애 마지막으로 언어장애를 분류 및 요약해서 준비했습니다. 이번 내용도 학부 과정 중에서도 매 학기마다 연관되어 나오는 내용에다가 국가고시에도 매년 나오는 내용들이기 때문에 꼭 숙지하고 분류할 수 있어야 합니다. 최대한 정리하고 보기 편하도록 정리했으니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사고장애 분류 1) 사고형태의 장애 자폐적 사고 외부 현실을 무시하고 외부와의 적절한 관련성 없이 자신의 내적 세계에 집착하고 자신만의 논리 속에 빠져서 일반 상식이나 논리와 동떨어진 비현실적 사고 마술적 사고 특수한 생각, 말, 연상, 몸짓, 태도 등이 어떤 초자연적인 방법에 의해 그대로 성취될 수 있.. Nurse/정신간호학 2023. 3. 14. 더보기 ›› [정신간호학] 치료적 인간관계와 치료적 의사소통 치료적 인간관계 · 간호사와 대상자 간의 인격에 기반을 두고 문화적 차이점을 수용하여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는 상호적 과정 · 돌봄의 기술이 필요하고 대상자의 정서적 치유에 중점을 둠 · 대상자의 자기실현, 자기 수용, 자존감의 증진을 목적으로 함 치료적 인간관계의 기본요소 신뢰성 · 간호사의 일관적, 수용적 전문적 태도는 대상자가 신뢰감과 안정감을 형성 · 모든 인간관계는 신뢰를 바탕으로 형성 · 정신건강 대상자들은 기본적으로 타인을 신뢰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돌봄성 · 대상자 개인의 고유 감정을 파악하여 배려하는 것 · 돌봄은 간호실무의 본질 · 따뜻한 관심, 수용적 태도, 격려, 지지 등의 속성을 지님 진실성 · 진실성은 간호사의 개방적이고 진실되며 실제적일 수 있는 능력 · 간호사는 자신 내면의 생.. Nurse/정신간호학 2023. 3. 13. 더보기 ›› 728x90 반응형 이전 1 ··· 79 80 81 82 83 84 85 ··· 1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