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01

[아동간호학] 학령전기(3~6세) 발달단계 총정리 (이론 / 발달특성 / 놀이) 학령전기 (3~6세) 지속적인 생리적 · 심리적 · 인지적 성장과 자신을 더 잘 보호하며 다른 친구와 노는 것에 흥미를 가지는 시기입니다. 자신이 누구인가 하는 것에 대한 개념을 처음으로 발전시키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발달이론 및 발달특성 심리사회적 발달 (에릭슨: 솔선감 vs 죄책감) · 유아기의 자율감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자기 주도적으로 무엇인가를 시도하고자 하는 시기이며, 어떻게 하는 것인지 배우고자 하며 활동으로부터 만족감과 자신감을 획득하는 시기입니다. · 활발하고 적극적인 활동을 하며 진취적인 정신과 강한 상상력이 솔선감을 대표하며 다양한 경험과 장난감을 체험하고자 합니다. · 역할 모델을 모방하는 시기입니다. · 풍부한 상상력이 활발한 시기입니다. (1) 현실과 상상을 자주 혼동합니다. (.. Nurse/아동간호학 2023. 3. 10.
[아동간호학] 유아(1~3세) 발달단계 총정리 (이론 / 발달특성 / 놀이 / 배변훈련 / 훈육 / 사고예방) 유아 (1~3세) 운동능력, 협응, 감각 기능의 발달, 기본적인 느낌과 감정, 독립심이 중요한 시기입니다. 신체발달 · 1년에 2.5kg씩 증가하고 출생 시 체중의 4배가 됩니다. · 1세 경이되면 머리둘레와 가슴둘레가 거의 같아지며 이후 점차적으로 가슴둘레가 머리둘레를 능가하게 됩니다. · 생후 30~36개월에 20개의 유치가 모두 발현되므로 치아 검진이 권장됩니다. · 18~24개월에는 배변훈련이 가능하게 됩니다. · 근육 협동을 이용한 신체활동이 증가하는 시기 ⓐ 12개월: 혼자 걷기 ⓑ 18개월: 달리려고 하며 잘 넘어짐. ⓒ 24개월: 두 발로 계단 내려올 수 있음. 공을 발로 차고 놀거나 뛸 수 있음. ⓓ 30개월: 한 계단을 두 발로 오르내릴 수 있음. 한 발로 잠시 서 있을 수 있으며 점프.. Nurse/아동간호학 2023. 3. 10.
모스비 널싱스킬(Nursing Skills) 정답 총정리 모스비 널싱스킬 정답 총정리 수행항목(ㄱ~ㅎ순) 문항 1~5번 문항 6~10번 가정간호의 안전: 인지장애를 가진 대상자의 적응 ABBDB A 간호기록 ADCBA DCACA 간호보고 ADBBB 간호사와 대상자의 관계 DABCD 간호사정 : 섭취량과 배설량 CABDA 간호사정 : 심혈관계 BAACB AACAB 간호사정 : 흉곽과 폐 DBABC BDABC 간호사정 : 욕창과 상처 AADBA BCABA 간호사정 : 전반적 조사 DDDDB BC 간호사정 : 호흡 DABCA CBDAC 거즈계수 BBAAC 건습식 드레싱 BADD 검체관리 ACADA 검체수집 : 대변검사 ADDBB 검체수집 : 모세혈 가스분석 ABDAC A 검체수집 : 소변검사-중간뇨 CBACA 검체수집 : 요당, 케톤, 요단백, 요잠혈, 산성도 및 .. Nurse/간호사 국가고시 2023. 3. 9.
[기본간호학] 통증(원인 / 종류 / 간호중재) 총정리 및 이론적 근거 통증이란? 실제적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에 동반되는 불유쾌한 감각 및 정서적 경험을 말합니다. 통증의 원인 자극 형태 원인 병태 생리학적 과정 기계적 체액 변화 체조직의 팽창이나 부종 관의 팽창 관의 좁은 내강의 과도한 팽창(예: 신결석의 요관 통과) 공간을 치유하는 병소(종양) 제한된 공간 내에 병소의 성장으로 말초신경의 자극됨 화학적 장기천공 감각신경말단에 분비물의 화학적 자극(예: 충수파열 혹은 위궤양) 온도 열 또는 추위 표피의 표면층 상실 또는 염증으로 인한 신경말단의 민감성 증가 전기적 화상 근육과 피하조직을 포함한 피부층의 확상으로 인한 신경말단손상 통증의 종류 기간에 따른 분류 분류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임상양상 · 갑작스럽게 발생 · 강도와 지속기간이 다양함 · 시간이 지나면 소실되기도 .. Nurse/기본간호학 2023. 3. 9.
[핵심기본간호술]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핵심기본간호술 주요 항목 중 드디어 마지막 핵심기본간호술을 다루게 되었습니다. 심근경색, 부정맥, 급성 쇼크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갑자기 쓰러져 시행하고 적용하게 되는 술기가 기본 심폐소생술과 제세동기 일 텐데요. 이 항목은 모든 국민이 관심을 가지고 예기치 못한 상황을 대비하기 위하여 기억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간호사를 꿈꾸는 의료인이라면 환자의 생명을 살리기 위하야 심폐소생술의 원칙과 제세동기의 적용법은 기본적으로 숙지하여야 응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어야 합니다. 임상에서 일어나는 상황이 아니라 아무도 예상하지 못한 상황에서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이 심폐소생술 상황이기 때문에 좀 더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정리해 봤습니다. 심폐소생술(Cardio Pulmo.. Nurse/핵심기본간호술 2023. 3.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