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01

[핵심기본간호술] 기관절개관 관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기관 내 흡인에 이어서 조금 더 난이도가 있는 기관절개관 관리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기관절개관 관리 프로토콜에 앞서서 상처관리, 드레싱 용액의 차이점, 기관절개관 관리 시 주의사항에 대해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술기를 진행하면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상처 간호 상처(Wound)란, 외상(Trauma)에 의해 신체의 피부와 조직의 통합성이 파괴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처는 수술과 같은 기계적인 힘으로 발생되거나 화상과 같은 자연적인 현상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드레싱은 민감하고 손상받기 쉬운 상처를 보호하고 조직 회복과 재생 증진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상처 간호 목적 1. 상처를 깨끗하게 하고 병원균의 침입을 막아줍니다. 2. 상처의 혈액,.. Nurse/핵심기본간호술 2023. 3. 8.
[핵심기본간호술] 기관 내 흡인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보다 흡인압을 점검하고 무균술을 지켜야 하는 기관 내 흡인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기관 내 흡인 프로토콜 전에 먼저 흡인의 구분 및 삽입길이, 흡인 압력, 흡인 시간에 대해 간단명료하게 정리했으니 사전에 알고 프로토콜을 행하면 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함께 기관 내 흡인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하여 공부해 보록 하겠습니다. 기관 내 흡인 이물질의 흡입, 출혈, 가래 등에 따른 하기도의 폐색을 제거할 목적으로 행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는 가는 흡인용 카테터를 비강에서 삽입, 혀를 끄집어내고 흡기 시에 기관 내로 밀어 넣어 기도 내에 있는 것을 확인하고 흡인합니다. 흡인 종류 및 카테터 삽입 길이 흡인 종류 카테터 삽입길이 .. Nurse/핵심기본간호술 2023. 3. 7.
[핵심기본간호술]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산소포화도 측정 술기 및 저산소혈증과 연관이 있는 산소요법 중에서도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요법에 대해 함께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저산소혈증에 대해서는 말초산소포화도 측정 및 심전도 모니터 적용에 정리했으니 참고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비강캐뉼라 말고도 산소요법 방법과 산소농도에 대해 분류하고 FiO2(흡입산소농도)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내용을 통해 함께 공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산소요법의 적응증 및 종류별 산소투여량 적응증 저산소혈증, 저산소혈증 예방 및 완화, COPD(만성폐쇄성페질환)환자, 폐렴, 심한 천식, 발작, 기관지 폐이형성증, 심장마비, 청색증, 기흉, 심장마비, 쇼크 등에 적용합니다. 산소요법 종류 및 특징 종류 주입속도(FiO2) 특징 비강캐뉼라 (.. Nurse/핵심기본간호술 2023. 3. 7.
[핵심기본간호술]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EKG) 적용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이번에 함께 공부할 핵심기본간호술은 임상 어느 부서에서든지 가장 많이 하게 되는 술기 중 하나라고 생각되는 말초산소포화도 측정과 심전도 모니터 적용입니다. 흔히 말초산소포화도를 SPO2라고 부르고 심전도도 EKG 혹은 ECG라고 부릅니다. EKG 모니터링은 적용위치와 부착방법에 대해 꼭 숙지해 놓는 것이 좋습니다. 전반적으로 알아야 할 사전지식에 대해서도 정리했으니 함께 공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산소포화도 산소 포화도는 신체에 있는 전체 헤모글로빈 중 산소와 결합하여 포화된 헤모글로빈의 비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 95~100%의 값을 지니며 90% 이하이면 저산소혈증(hypoxemia)이라고 하며, 80%이하이면 신체의 여러 조직이 심각한 상해를 초래합니다. 산소포화도 측.. Nurse/핵심기본간호술 2023. 3. 6.
[핵심기본간호술] 보호장구 착용 및 폐기물관리 (목적, 절차, 이론적 근거, 간호기록) 안녕하세요. 널스드림입니다. 보호장구를 착용하는 사례는 어쩌면 코로나가 확장된 후 보건소나 병원에서 쉽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코로나 전에는 특수부서에서 볼 수 있었던 장구들이었는데 코로나로 인해서 선별 진료소나 병원에서 흔히 보게 되는 사례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학생 간호사 실습 때는 보호장구가 착용하는 방법도 어려울뿐더러 너무 덥고 불편했던 기억이 남는데요. 이런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환자를 위해서 최선을 다한 의료진 분들의 수고가 더욱 귀함을 느낍니다. 특히 내과적 & 외과적 무균술은 수술실과 같은 부서에서 가장 기본 선행지식이니 수술실을 희망한다면 미리 공부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흔히 보거나 접할 수 없는 핵심술기 항목이지만 보호장구 착용과 폐기물 관리에 대해 함께 공부해 봐요. 내과적 무균술.. Nurse/핵심기본간호술 2023. 3. 6.
728x90
반응형